[include(틀:역대 의회 명예 황금 훈장)] ||<-2> '''{{{+1 조지 M. 코핸[br]George M. Coh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36021.jpg|width=100%]]}}} || || '''본명''' ||조지 마이클 코핸[br]George Michael Cohan || ||<|2> '''출생''' ||[[1878년]] [[7월 3일]] ||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 ||<|2> '''사망''' ||[[1942년]] [[11월 5일]] (향년 64세) ||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작곡가, 배우, 가수, 프로듀서 || || '''자녀''' ||4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작곡가, 배우, 가수. == 생애 ==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유랑극단을 운영하는 아일랜드계 부부에게서 태어났고 8세부터 바이올린 연주자, 댄서로 활동하며 여러 지역에서 투어를 다녔으며 1893년 브로드웨이에 데뷔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노래와 노래사이에 대사를 넣는 북 뮤지컬방식을 도입했다.[[탭댄스]]등 여러 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평생 500여개의 곡과 51개의 뮤지컬을 작곡했다. 그리고 그가 작곡하지 않았던 31 개의 뮤지컬을 제작했다. 작곡가, 작사가, 극작가, 프로듀서, 댄서, 배우로서 불가사의한 능력을 선보였던 그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시대를 연 주인공이었다. 1917년 미국이 1차대전에 참전하자 미국을 응원하는 군가인 [[Over There(군가)|Over There]]를 작곡하기도 했다.[*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이 결정된지 이틀 후에 만들어진 노래로, 코헨은 이 곡을 1시간 거리의 통근열차 속에서 이 노래를 만들어냈다] 한때 한물 갔다는 평을 받기도 했으나 1930년대 중후반에 다시 정상으로 복귀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예술가로는 처음 1936년 미국 의회가 수여하는 최고상인 의회 명예 훈장을 받았다. 하지만 1942년 방광암으로 맨해튼에 있는 자택에서 가족들과 지인들이 보는 앞에서 사망했다. 그리고 1959년 미국의 극작가 겸 작사가인 오스카 헤머스타인 2세의 청원으로 타임스퀘어에 그의 동상이 세워지게 됐다. [[분류:1878년 출생]][[분류:1893년 데뷔]][[분류:1942년 사망]][[분류:프로비던스 출신 인물]][[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 작곡가]][[분류:미국의 프로듀서]][[분류:방광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