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소방공무원|[[파일:ROK-Fire-Fighter--emblem.png|height=40]]]] {{{+1 '''[[:분류:소방공무원|{{{#ffffff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 || {{{#ffffff '''이름'''}}} ||조철희|| || {{{#ffffff '''임용시기'''}}} ||2013년|| || {{{#ffffff '''채용구분'''}}} ||화생방 특별채용|| || {{{#ffffff '''계급'''}}} ||[[소방경|[[파일:소방경_계급장.svg|height=30]]]]|| || {{{#ffffff '''소속'''}}} ||[[대한민국 소방청]]||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화학공학자, [[화생방]] 전문가이다.[* [[https://fpn119.co.kr/141845|https://fpn119.co.kr/141845]]] == 생애 == 2004년 화학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내ㆍ외 연구소에서 일하였다. 2013년 경기도 소방위로 임용되었다. 재직중 119화학사고 현장 대응 가이드북을 편찬하였다. 2014년 6월 23일 혈관육종암이라는 희귀병으로 순직한 고 [[김범석(소방공무원)|김범석]] 소방장의 가족이 5년여의 소송 끝에 공무상 사망으로 인정받는 데에는 조철희 소방경의 연구가 인용되었다. 소방공무원 업무 활동과 혈관육종암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밝혀내었다. >“건축물에 사용되는 가연성 내ㆍ외벽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염화비닐과 부타디엔이 포함된 유독 연기가 생성됩니다. 이 유독 물질에 간헐적 또는 지속해서 노출되면 심장혈관육종이 발병한다는 연구가 있어요. 이를 토대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공무원과 심장혈관육종과의 인과관계를 밝혀냈습니다” >---- >2020년 소방방재신문 인터뷰 2020년 대한민국 공무원상을 수상하였다. == 경력 == * [[중앙119구조본부]] 특수사고대응 담당 * KAIST 생명화공과 연구조교수 == 학력[* (보도자료)경기도 북부소방재난본부, 화학사고 대응능력 강화 교육] == *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연구조교수) * [[아이오와 대학교|아이오와주립대]] 화학과 Ph.D * 중앙대학교 화학공학과(공학박사) [[분류:소방공무원/화생방]][[분류:소방공무원/2013년 임용]][[분류:아이오와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