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교육 사이트]] ||<-2>
'''{{{+1 족보닷컴}}}[br]zocbo.com''' || ||<-2> [[파일:족보닷컴 로고.svg|width=8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종류''' ||교육|| || '''소유''' ||[[이투스|교육지대(주)]]|| || '''언어''' ||[[한국어]]|| || '''회원가입''' ||필수|| || '''웹사이트''' ||[[http://zocb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zocb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facebook.com/zocboco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blog.naver.com/edu_zocbo|[[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출문제 공유 사이트. 변형 문제나 기출 예상 문제[* 예상 문제에 오류가 좀 있다] 등도 제공하고 있다. 많은 중고등학교의 시험 기출문제가 이곳에 박제되어 있다.[* 수년 전 자신이 풀었던 문제도 볼 수 있다. 단, 모든 연도 및 학기의 문제가 다 있지는 않다.] == 상세 == 로딩 창을 자세히 보면 인터넷 주소가 왠지 모르게 '''[[이투스]]'''로 변했다가 족보닷컴으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2016년 이투스에서 인수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이투스와 족보닷컴의 통합회원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2022년에 분할했다. 2015 교육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중시하는 추세에 따라, 최근 과정중심 수행평가 콘텐츠가 신설되었다. == 콘텐츠 == === 중등 === *개념완성 말 그대로 "개념"단계로, 최하~하 정도의 난이도에 해당하며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다. *단원별 문제 많은 문제를 모아놓은 콘텐츠로, 20~30문제 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이도는 하~상까지 난이도가 다양하다. *고난도 문제 난이도가 상~최상 정도인 콘텐츠로, 시험에서 killer 문항 정도의 난이도라고 봐도 될 정도로 상당히 어렵다. 시험이 정말 어려운 학교가 아닌 이상 학교 시험에 잘 나오지는 않는다. *최다빈출 문제 말그대로 학교 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제로, 난이도는 학교 시험 난이도인 중상~상 정도이다. 적중률은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80~90% 정도. *최다오답 문제 학교 시험에서 나올만한 오답률이 높은 문제를 모아놓은 콘텐츠이다. *강남3구 기출 시험문제가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강남 학군의 기출문제를 모아놓은 콘텐츠로, 중상~최상 정도 난이도의 문제가 수록되어 있다. === 고등 === == 비판 == 시험지는 각 학교에 [[저작권]]이 있고, 일반적으로 무단 배포가 금지되어 있다.[[https://blog.naver.com/honestcta/222089184277|#]] 그리고 이는 시험지에도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족보닷컴은 '학교별 기출족보' 콘텐츠에 학교 시험 문제를 올려놓고, 다운로드 이용료를 받으며 팔았었다.''' [* 한글 파일로는 '''1600원''', PDF 파일로는 '''1250원''', 스캔(이미 누군가 푼 흔적이 있는 것)은 '''500원'''정도를 받았다. 근데 스캔은 인쇄하면 상태가 매우 구리다.] 2022년 6월 22일부터는 이용자들의 무분별한 배포를 이유로 학교별 기출족보 콘텐츠가 다운로드 방식이 아닌 열람 방식으로 변경됐다. 따라서 기출 문제 파일 다운로드가 불가능하게 됐다. 또, 학교 기출 문제를 모은 학습지[* 물론 자체 제작 문제를 섞어서 판매하기도 한다.]를 판매 중이기도 하다. 열람 방식이긴 하지만 편집된 파일은 유상 판매를 하고 있어 저작권 위반이다. [* 학원에서 학생들의 시험지를 받아 수집한 시험지를 족보닷컴에 전달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일선 학교에선 기출 문제를 제공해 주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족보닷컴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고 있다.[* 대다수의 학교는 학교 홈페이지 또는 학교 도서관에서 기출문제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시 한번 찾아보자.] 이러한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족보닷컴의 존재가 유지되고 있다. 수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현 입시 체제에서 족보닷컴이 없어진다면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족보닷컴이 없어진다면 족보를 사고파는 행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고 그 가격도 훨씬 비싸질 것이다. 비싼 돈을 주고서라도 족보를 구할 수 있다면 그나마 다행인데, 인맥이 닿지 않아 족보를 구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족보를 구하지 못하여 내신에서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고 좋은 대학에 가지 못하는 상황이 빈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 족보닷컴은 그래도 누구나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을 처음 배우는 세대의 경우 족보가 무의미할 수 있다.] 때문에 각 학교에서 기출 문제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교사들의 불편함 때문에 번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애초에 각 학교가 기출 문제를 공개한다면 족보닷컴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학교 교사들이 2005년 족보닷컴에 소송을 걸어[[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107613|#]] 2006년 '''저작권법 위반으로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http://www.law.go.kr/precInfoP.do?precSeq=70565|#]] 즉, 족보닷컴의 위와 같은 행위는 명백한 저작권법 위반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결 이후로도 족보닷컴은 잘만 운영되고 있다. 각 시험지의 저작권자는 개별 교사들이어서 실질적으로 족보닷컴에 손해배상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 교사들을 모아 공동소송을 진행해야 해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송이 힘들다. 족보닷컴 기출을 여러 번 푼 학생이라면 알겠지만 문제 오류[* 문제의 선지 중에서 옳지 않지만 옳은 것이라 나올 때도 있고, 애초에 문제 자체가 미완성인 경우도 있다.]가 꽤 많이 나온다. == 여담 == * 학원이나 학생 개인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의 경우 다른 학교의 기출문제도 접해볼 수 있다는 이유로 상위권 학생 일부가 애용하기 때문이다.[* 강남 8학군이나 목동 등 시험 문제가 어려운 학교에 다니고 있을 경우 모르는 학생이 없을 정도다.] * 등록 시 쿠폰과 무료 이용권을 뿌려주는데, 이에 대한 사용 방식이 매우 허접하다. 파일 구매 방식을 선택하는 UI가 없고 무료 이용 횟수 차감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는다. * 타 사이트에 비해 이벤트가 적고 광고가 적은 편이다. 공부에만 치중하는 극상위권과 학원에서 이용하는 사례가 많은 걸 봐서는 당연한 듯하다. * 족보닷컴 이용권을 구매할 때, 웬만해선 다운로드 건수를 기준으로 한 이용권 구매를 권장한다. 포인트 구매도 있긴 하나 몇 개 뽑지 못해 다 써버리고, 그렇다고 가격이 그리 낮은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