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미국 국무장관)] ---- [include(틀:타임지 올해의 인물/1950년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72172 0%, #1A2478 20%, #1A2478 80%, #172172)" '''[[국무장관|{{{#ffc224 미합중국 제52대 국무장관}}}]][br]{{{#ffc224 {{{+1 존 포스터 덜레스}}}[br]John Foster Dull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nator_John_Foster_Dulles_(R-NY).jpg|width=100%]]}}}|| ||<|2> {{{#ffc224 '''출생'''}}} ||1888년 2월 25일 || ||[[미국]] [[워싱턴 D.C.]] || ||<|2> {{{#ffc224 '''사망'''}}} ||[[1959년]] [[5월 24일]] (향년 71세) || ||[[미국]] [[워싱턴 D.C.]] || || '''{{{#ffc224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미국]] || || '''{{{#ffc224 직업}}}''' ||[[정치인]], [[변호사]] || ||<|2> {{{#ffc224 '''재임기간'''}}} ||제52대 국무장관 || ||1953년 1월 26일 ~ 1959년 4월 2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ffc224 '''부모'''}}} ||알렌 메이시 덜레스 || || '''{{{#ffc224 형제자매}}}''' ||남동생 [[https://en.wikipedia.org/wiki/Allen_Dulles|알렌 웰스 덜레스]] || || {{{#ffc224 '''배우자'''}}} ||Janet Pomeroy Avery || ||'''{{{#ffc224 자녀}}}'''||에브리 로버트 덜레스[br]존 왓슨 포스터 덜레스[br]릴리어스 덜레스 || || {{{#ffc224 '''종교'''}}} ||장로교 || || {{{#ffc224 '''학력'''}}} ||[[프린스턴 대학교]] {{{-2 ([[학사|B.A.]])}}}[br][[조지 워싱턴 대학교]] {{{-2 (법학 / [[학사|LL.D.]])}}} || || '''{{{#ffc224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c224 '''주요 경력'''}}} ||뉴욕 주 상원의원[br]미 국무부 고문[br]제52대 국무장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직 국무장관이자 외교관. 전임자인 [[딘 애치슨]]과 함께 냉전 초기의 핵심 인물들 중 하나로 1953년부터 1959년까지 국무장관을 재임했다.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조인한 미국 측 대표이다.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이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생애 == 1888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장로교 목사인 알렌 메이시 덜레스의 자녀 5명 중장남으로 태어났다. 친할아버지인 존 웰시 덜레스는 인도에서 장로교 선교사로 활동했었고 외할아버지인 존 왓슨 포스터는 제32대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존 덜레스와 동생인 알렌을 애지중지했다.[* 여기서 알렌은 나중에 CIA 국장을 역임한다.]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고 변호사로 재직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육군에 지원했으나 약시인 탓에 입대할 수 없었다. 아이젠하워의 대통령 재임기 대부분을 국무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아이젠하워가 임기를 마치기 불과 1년여 전인 1959년 4월 암으로 사직했다. 그리고 한달만인 같은 해 5월에 세상을 떠났다. == 한국과의 관계 == || [[파일:Walter_S._Robertson;Syngman_Rhee;John_Foster_Dulles,_Seoul,_Korea_3.jpg|width=75%]] || [[파일:Walter_S._Robertson;Syngman_Rhee;John_Foster_Dulles,_Seoul,_Korea.jpg|width=100%]] || ||<-2> 1953년 8월, [[휴전]] 협상을 마무리하고 [[경복궁]] [[근정전]]을 거닐고 있는 왼쪽부터 [[국무장관|미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래스(John Foster Dulles),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월터 로버트슨(Walter S. Robertson) [[미 국무부]] [[차관보]]. || 한국과는 앞서 설명한 6.25 휴전 직후 성립된 한미 양국의 상호방위조약, 동맹 관계 수립의 당사자로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재임 시절 일본측이 [[독도]] 영유권 주장의 근거들 중 하나로 주로 내세우는 [[러스크 서한]]에 대해 미 [[국무장관]] 자격의 전문(1953.12.9)으로 사실상 러스크 서한을 무력화(無力化)해주는 전문을 남겨 독도 영유권에 관해 한국측 입장의 정당성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의 전문에 의하면, [[딘 러스크]] 당시 미 국무성 차관보가 작성한 러스크서한은 일본에도 알리지 않았고 또한 러스크서한에 명시된 미국의 입장은 여러 조약서명국들(48개국) 중의 한 나라의 의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러스크서한을 가지고 영유권을 주장하거나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미 국무장관 명의의 전문으로 분명히 한 것이다. [[http://m.aubreaknews.com/98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3&aid=0000026632|##]] 요컨대 차관보가 저지른 오류를 그보다 상급자인 장관이 직접 바로잡은 것이다. 그러나 당시 덜레스의 전문이 독도 대립에 관해 전적으로 한국의 편을 든다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당시 덜레스 장관이 러스크 서한의 국제법적 효력을 부정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미국이 독도 영유권에 대해 한일 양측 가운데 어느 편도 들지 않는 중립, 불개입을 선언한 것이 보다 정확하다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도 미국의 입장으로 유지되고 있다.] [[https://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20053100418|##]] [[분류:1888년 출생]][[분류:1959년 사망]][[분류:미국 국무장관]][[분류:미국 상원의원]][[분류:미국의 변호사]][[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타임지 올해의 인물]][[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출신]][[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출신]][[분류:워싱턴 DC 출신 인물]][[분류:미국 공화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