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들. 극초기에 등장한 특정 종족을 피아 구별 없이 파괴하는 카드로서, 해당 종족 대상 무소비 [[라이트닝 보텍스]] 정도의 위력을 선보인다. 이걸 전 종족 대상 몬스터 카드로 낸 것이 바로 [[동족 감염 바이러스]]. 이후 다른 종족 대상 카드는 나오지 않았다. 대체로 한 종족만을 노린 카드이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져 메인 덱에 투입되는 일이 드문 편이었으며 환경 변화에 따라 광역 제거 카드들의 제재가 완화되면서 가치를 잃었다. == 목록 == === 신의 입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042_1.jpg]] || 한글판 명칭 ||'''신의 입김'''|| || 일어판 명칭 ||'''神の息吹'''|| || 영어판 명칭 ||'''Breath of Light'''||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암석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2>'''마법 카드! 신의 입김을 사용하겠어! 암석족 몬스터는 성스러운 바람에 의해 풍화! 산산히 부서져 버리는 거야!''' - 듀얼링크스에서 안수진(DSDO) 전용 대사|| 암석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제일 먼저 등장한 카드로, 원작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마자키 안즈]]가 사용해 [[죠노우치 카츠야]]의 '[[바위 마신 오우거록]]'을 파괴했다. 원작 정발판 및 [[SBS]]판의 번역명은 '신의 숨결'이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토너먼트 팩 2008 Vol.3 || TP03-KR01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볼륨(유희왕)|Vol.4]]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 [[레어]] || 일본 || || || 토너먼트 팩 2007 Vol.3 || TP03-JP010 || [[노멀]] || 일본 || || === 가시신의 살충제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EradicatingAerosol-B04-JP-R.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EradicatingAerosol-GLD4-EN-C-L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가시신의 살충제''' (미발매, 게임판 공식명칭)|| || 일어판 명칭 ||'''トゲトゲ神の殺虫剤'''|| || 영어판 명칭 ||'''Eradicating Aerosol'''||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의 곤충족 몬스터는 전부 파괴된다.|| 곤충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설정상 상당히 상당히 강력한 살충제라 [[충혹마]]들을 만나도 여유롭게 도망칠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충혹마들은 식물족도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 [[인섹터 하가]]가 사용했던 곤충족 몬스터 1장을 파괴하는 살충제라는 이름의 마법 카드로 사용되었다. 자신 필드의 [[대타 메뚜기]]를 파괴해서 [[곤충 여왕]] 등을 소환하는 데에 사용되었으나, 이후 [[죠노우치 카츠야]]가 [[도굴꾼(유희왕)|도굴꾼]]으로 빼돌려 곤충 여왕을 파괴한다. 애니판 오리지널 스토리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에서도 [[다이노서 류자키]]와 태그를 맺어 [[지크 로이드]]랑 듀얼을 할 때도 이 콤보를 사용해 첫 턴만에 곤충 여왕을 소환하지만 이후 [[지크 로이드]]의 [[왈큐레(유희왕)|왈큐레]]들한테 다굴당해 패배한다. 일본판에서는 이름에 걸맞게 'GOD'이란 단어가 손에 새겨졌지만 해외판에서는 역시 종교적 문제로 삭제되고 이름 또한 단순한 '퇴치 스프레이'로 바뀌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4]]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 [[레어]] || 일본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가시신의 살충제, version=7)] === 악마지불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049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xileoftheWicked-GLD2-EN-C-LE.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악마지불'''|| || 일어판 명칭 ||'''悪魔払い'''|| || 영어판 명칭 ||'''Exile of the Wicked'''||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의 악마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악마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배틀쉽 본선 전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바쿠라 료|어둠의 바쿠라]]와의 듀얼 중 사용. 상대 몬스터가 아니라 [[암흑 성역]]의 효과로 나타난 원령을 [[힘의 집약]]으로 전부 [[크리보]]에게 장착시켜 자멸시켜서 원령 콤보를 깨뜨리려는 용도였지만 1턴 만에 수포로 돌아갔다. 한국판 번역명은 오역이다. '払(はら)い'는 '지불'만이 아니라 '없앰', '제거'의 뜻도 있다. 제대로 옮기면 '악마 퇴치'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오역된 사례로 [[하쿠레이 레이무]]의 '지불봉'이 있다. 이 또한 이 카드와 마찬가지로 번역이 잘못되어 퍼진 경우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남자는 악마에게 가족이 전부 몰살당하여 이에 복수할 방법을 갈구해왔고, 마침내 그 수단을 찾아냈다는 설정이 있다. 또한 일본판에서는 성경과 십자가를 들고 있는 전형적인 신부의 모습이지만 해외판에서는 역시나 종교 문제 때문인지 성수 비슷한 걸 들고있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토너먼트 팩 2 || TP2-KR00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 4 || TP4-KR008 || [[레어]] || 한국 || || || [[부스터(유희왕)|Booster.6]]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부스터 Chronicle]] || || [[레어]] || 일본 ||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 B3-47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레거시 Volume.4 || DL4-119 || [[노멀]] || 일본 || || || 토너먼트 팩 2012 Vol.3 || TP23-JP009 || [[노멀]] || 일본 || || === 전사 말살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WarriorElimination-V4-JP-R.jpg]] || 한글판 명칭 ||'''전사 말살'''|| || 일어판 명칭 ||'''戦士抹殺'''|| || 영어판 명칭 ||'''Warrior Elimination'''||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의 전사족 몬스터는 전부 파괴된다.|| 전사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밤안개의 스나이퍼]]와는 달리 해외판에서도 일러스트에 있는 라이플 스코프 부분이 삭제되지 않고 나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토너먼트 팩 2008 Vol.2 || TP02-KR00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볼륨(유희왕)|Vol.4]]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 [[레어]] || 일본 || || || 토너먼트 팩 2007 Vol.2 || TP02-JP009 || [[노멀]] || 일본 || || === 마녀사냥 ===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LastDayofWitch-B06-JP-C.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LastDayofWitch-DL9-EN-SR-U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마녀 사냥'''|| || 일어판 명칭 ||'''魔女狩り'''|| || 영어판 명칭 ||'''Last Day of Witch'''||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마법사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마법사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내수판 일러스트는 [[중세]] 시대에 자행되었고 현대에도 억울한 사람을 내몬다는 뜻으로 쓰이는 [[마녀사냥]]을 보여주고 있지만, 해외판은 종교 문제 때문에 카툰풍 마녀를 그려놓고 거기다 금지 표식을 넣어놓는 걸로 바뀌고 이름 또한 사냥의 의미를 없앤 '마녀의 마지막 날'로 바뀌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은 일본어판에도 해외판 일러스트를 채용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6]]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부스터 Chronicle]] || BC-76 || [[노멀]] || 일본 ||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 B3-46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레거시 Volume.4 || DL4-118 || [[노멀]] || 일본 || || === 산성 폭풍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AcidRain-B04-JP-R.jpg]] || 한글판 명칭 ||'''산성 폭풍'''|| || 일어판 명칭 ||'''酸の嵐'''|| || 영어판 명칭 ||'''[[애시드 레인|Acid Rain]]'''||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기계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기계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영문판 번역이 [[산성비]]로 번역되어 나중에 등장한 [[애시드 레인]]의 카드명이 바뀌는 원인이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토너먼트 팩 1 || TP01-KR00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볼륨(유희왕)|Vol.4]]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 [[레어]] || 일본 || || || 토너먼트 팩 2007 Vol.1 || TP01-JP009 || [[노멀]] || 일본 || || || [[듀얼 터미널]] 3 -반격의 저스티스!!- || DT03-JP037 || [[듀얼 터미널|DTP 노멀]] || 일본 || || === 영원한 가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050_1.jpg]] || 한글판 명칭 ||'''영원한 가뭄'''|| || 일어판 명칭 ||'''永遠の渇水'''|| || 영어판 명칭 ||'''Eternal Drought'''|| ||<-2> 일반 마법 || ||<-2>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어류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어류족 전체 제거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4]] ||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 [[레어]] || 일본 || || [[분류:유희왕/OCG/공통 효과 시리즈]][[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