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장군에 위치한 동해선의 역, rd1=좌천역(동해선))] ||<-3> {{{+2 '''좌천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부산진역|부산진]][br]← 1.0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16)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범일역|범 일]][br]0.9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좌천동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wacheon || || [[한자]] ||<-2><|2> 佐川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佐川, ruby=チュアチョ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지하446 ([[좌천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범일역|범일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87년 5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2.99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Jwacheon1.jpg|width=100%]]}}}|| || '''{{{#FFF [[스크린도어|{{{#FFF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현재는 부역명이 삭제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6번.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지하446 ([[좌천동]]) 소재. 부역명은 '''일신기독병원'''이었으나, 계약 미갱신으로 부역명이 사라졌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동대신역]]~[[노포역]] 구간에서 유일하게 승하차가 1만을 넘지 못하는 역. 1호선 내에서 이용률이 저조한 나머지 역들은 모두 서대신역 건너편 서부산 지역의 역들이라 유독 튄다. == 역 정보 == 이 역에서 [[범일역]] 사이의 구간은 특이하게도 도로를 따라가지 않고 '''주택가와 [[경부선]] [[철도]] 밑을 관통하여 지나간다.''' 이런 건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모라역]] ↔ [[구남역]]과 비슷하다. 양 역 사이 드리프트가 있기에 약간의 소음은 나지만 '''서면역↔전포역''' 사이에서 나오는 소음과는 비교할 바가 아니다. 역명은 좌천동에 역이 있어서 역명이 이렇게 붙었다. 원래는 '''좌천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이 삭제되어 '''좌천역'''으로 개명하였다. 그런데 같은 부산 안에서도 끝과 끝에 있는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동해선]] [[좌천역(동해선)|좌천역]]과 역명이 중복되는 바람에, 구분을 해 줘야 할 필요가 생겨 버렸다.--그러면 다시 '''동'''을 붙여 '''좌천동역'''으로 다시 바꿔야지-- 그러나 [[동래역]]과 저 멀리 [[양평역]]의 사례를 보아 바꿀 가능성은 없을 듯 하다. 현재 [[청원24]]에 역명 변경 청원이 올라왔다. [[https://www.cheongwon.go.kr/portal/petition/open/viewdetail/PRI3224e6d471254884b081e10145e92772|#]] == 역 주변 정보 == [[가구]]점들이 많은게 특징. 거의 역 일대가 가구거리로 조성되어 있다.[* 때문에 버스 정류장 명칭도 좌천동가구단지(좌천역)이고 비슷한 지역으로 구평가구단지가 위치한 [[장림역]]이 있다.] 서울의 [[아현역]] 가구거리와 유사하며, 좌천동 고가도로를 통해 범일동 방면으로 갈 수 있다. 한편 이 역 인근에는 매축지 마을이 있다.[[http://www.busan.go.kr/news/specnews/view?bbsNo=6&dataNo=62370&srchThemeNo=212|걸어서 만나는 부산 역사 ‘범일동 매축지마을’]] [[일제강점기]] 시절 [[부두]]와 연계한 마부와 말이 쉴 수 있는 [[마구간]]이 있던 곳으로 [[8.15 광복|해방]] 이후 마구간을 개조하여 마을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주변 지역 [[재개발]]로 인해 개발되지 않은 이 곳은 현재 도심 속의 섬처럼 남은 곳. 최근 영화 [[아저씨(영화)|아저씨]] 촬영과 [[다큐멘터리 3일]] 등 언론에 소개되어 방문객이 늘었다. 다만 이것도 과거의 이야기로 [[2019년]] 들어서 매축지마을은 재개발이 진행되어 철거 후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 아파트가 들어섰으며, 길 건너편으로는 [[범일 써밋]]이 공사중이고 2028년 완공 예정이다. 남은 매축지 마을 역시 조만간 [[자이 힐스테이트 하이퍼시티]] 아파트가 들어서기 위해 철거될 예정이다. 인근 주요 건물 및 시설로 보자면 [[오션브릿지]] 아파트, 두산위브 범일뉴타운, 부산항 일동미라주 더오션, [[금성고등학교(부산)|금성고등학교]], [[데레사여자고등학교]], [[범일동 한성기린프라자]], 봉생병원, 일신기독병원, 부산혜민병원, 부산진 일신여학교,안용복기념 부산포 개항 문화관이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좌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9,251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8,525명 || || || 2004년 || 7,921명 || || || 2005년 || 8,552명 || || || 2006년 || 6,772명 || || || 2007년 || 6,587명 || || || 2008년 || 6,812명 || || || 2009년 || 6,832명 || ||}}}}}}}}} || || 2010년 || 6,702명 || || || 2011년 || 6,879명 || || || 2012년 || 6,893명 || || || 2013년 || 6,956명 || || || 2014년 || 7,239명 || || || 2015년 || 7,370명 || || || 2016년 || 7,482명 || || || 2017년 || 7,421명 || || || 2018년 || 7,566명 || || || 2019년 || 8,424명 || || || 2020년 || 6,080명 || || || 2021년 || 6,248명 || || || 2022년 || 6,858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부산 1호선의 [[노포역]] ~ [[동대신역]] 구간 사이에서 유독 튀는 역이다. 이 튄다는 의미는 좋은 의미가 결코 아니고,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적어서(...)''' 튄다. 이 구간 안에서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명 미만인 곳은 이 역 하나뿐이다. 좌천역 다음으로 수요가 적은 [[초량역]]조차 하루 평균 12,000명 이상이 타고 내려 이 역의 2배에 가깝다. 바로 전 역인 [[범일역]]의 1/5, 부산진역의 40% 수준의 수요에 불과해 성공적이라 평가받는 1호선 안에서 계륵과 같은 느낌을 준다. 다만 역세권을 보면 수요가 적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납득이 될 것이다. 역 인근에 아파트 단지는 두산위브 범일뉴타운밖에 없었으며, 역 뒤에는 [[경부선]]이 지나가지, 역 앞에는 급격한 산비탈에 놓인 달동네가 있으며 그나마도 [[수정산]] 자락의 증산공원에 막힌 형국이며, 경부선 너머에는 역시 오래된 [[달동네]] 중 하나인 매축지마을이 있었는데 그나마도 고령화가 상당히 심한 동네였고 철길을 건너야 해서 접근성이 그렇게 뛰어나지 못하다보니 주변 인구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했다. 그렇다보니 좌천역의 승하차 인원은 주변 역들과 비교하면 한참 낮으며, 그나마도 무임승차 비중이 높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이 일대가 [[북항재개발]] 2단계 구역이다보니 2017년 48층 규모의 [[오션브릿지]] 아파트가 완공되어 입주했고, 2022년에는 일동미라주 아파트가 입주했다. 거기다 매축지마을이 [[재개발]]로 인해 철거되고 2,300세대가 넘는 49층짜리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 아파트가 2023년에 건설되었다. 거기다 2,600여세대 57층 규모의 [[자이 힐스테이트 하이퍼시티]], 1,300여세대 69층 규모의 [[범일 푸르지오]] 등 좌천역 인근으로 초고층 아파트가 대거 들어설 이용이라 개발이 완료되면 역 이용객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25 좌천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25 좌천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116.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부산진역|부산진]]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범일역|범일]]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남포역(부산)|남포]]·[[하단역|하단]]·[[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서면역|서면]]·[[연산역(부산)|연산]]·[[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괴정역|괴 정]] || ◁ || {{{#c0c0c0 좌 천}}} || ▷ || [[명륜역|명 륜]]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남천역|남 천]] || ◁ || [[서면역|서 면]] || ▷ || [[사상역(도시철도)|사 상]]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망미역|망 미]]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미남역|미 남]]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낙민역|낙 민]]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연계 교통 == === 중앙대로 가변 정류장 === * 좌천동가구거리(좌천역)(정류장 번호: 03-136) - 7번 출입구 * [[부산 버스 17]]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59]] - 남포동행 * [[부산 버스 61]] -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67]] - 엄궁아파트단지행 * [[부산 버스 85]] - 청학고개행 * [[부산 버스 88]]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103]] - 다대동입구행 * 좌천동가구거리(좌천역)(정류장 번호: 03-138) - 8번 출입구 * [[부산 버스 17]] - 백양터널행 * [[부산 버스 59]]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61]] - 동의대역행 * [[부산 버스 67]] - 개금아파트단지행 * [[부산 버스 85]] - 전포동행 * [[부산 버스 88]]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03]] - [[연제공용차고지]]행 === 자성로 BRT 정류장 === * 좌천역·좌천삼거리(정류장 번호: 03-708) - 2번 출입구 * [[부산 버스 43]]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52]]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1004|부산 버스 심야1004]] - 김해(구산동)행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좌천역]][[분류:동구(부산)]][[분류:중앙대로(부산)]][[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