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2>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width=9%]] [br] {{{+1 {{{#fff '''주 홍콩 · 마카오 미국 총영사관'''}}}}}}'''[br]'''{{{#fff '''Consulate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br] Hong Kong and Macau'''}}}'''[br]'''{{{#fff '''美國駐香港及澳門總領事館'''}}}'''[br]'''{{{#fff '''Consulado Geral dos Estados Unidos da América [br] Hong Kong e Maca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ng_Kong_(2017)_-_06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Consulate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Hong Kong and Macau, 너비=100%, 높이=100%)]}}} || || '''{{{#fff 위치}}}'''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7]] [[홍콩|홍콩 특별행정구]] [[홍콩섬]] [[센트럴]] [br] Garden Road NO. 26''' || || '''{{{#fff 업무시간}}}''' || '''평일 09:00 ~ 16:00''' || || '''{{{#fff 운영기관}}}''' || '''[[미국 국무부]]'''[* 총영사관이지만, [[특별행정구]]에 위치한 홍콩 및 마카오의 지위로 인해 [[주중미국대사관]]이 아닌 [[미국 국무부]]의 직접 통제를 받는 대사급 외교공관이다.] || || '''{{{#fff 공관장}}}''' || '''그레고리 메이 (Gregory May)''' || || '''{{{#fff 홈페이지}}}''' || [[https://hk.usconsulate.go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USConsulateHongKong/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USAinHKMaca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usainhkmaca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SEmbassyTokyo,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Consulate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Hong Kong and Macau''' }}} [[홍콩]]에 위치한 미국의 [[총영사]]관으로, 홍콩섬 센트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홍콩 뿐만 아니라 [[마카오]]의 총영사관 업무를 겸임한다.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등 다른 나라와 달리 홍콩 뿐만 아니라 마카오를 병기한 점이 특이할 만한 점이다. == 역사 == 홍콩의 첫 미국 영사관은 [[영국령 홍콩]]시절인 [[1843년]]에 개설되었다. 영사관저는 현 [[HSBC]] 은행 빌딩에 위치해있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했을때, 일본 점령군에 의해 강제 퇴거당했으며, 종전 후 영국이 다시 홍콩을 수복하자, 이미 파괴된 영사관을 대체할 부지를 물색하기 시작하여 현 위치인 센트럴구 가든 로드 지역에 부지를 얻어 영사관을 건립하였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홍콩의 특별행정구 지위에 따라 대사관급에 준하는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고, [[1999년]] 마카오 반환 이후에는 마카오의 총영사관 지위도 겸임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사급 지위에 따라, 본토의 [[주중미국대사관]]이 아닌 [[미국 국무부]]의 직접 지휘를 받는 독립 영사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 기타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홍콩 및 중국 중앙정부와 마찰을 빚어왔다. * 홍콩 민주화 시위대가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관으로 몰려와 지원 호소 시위를 벌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188276?sid=104|#]] * 홍콩 민주 활동가 4명이 미국 총영사관으로 망명신청을 했으나 거부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518673?sid=104|#]] *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즈]]는 홍콩 미 영사관이 반정부 활동을 해온 스파이센터라고 비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67376?sid=104|#]] [[분류:외교공관]][[분류:미국의 외교]][[분류:홍콩]][[분류:마카오]][[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