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부|가정에서 전업으로 집안일을 하는 사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부)] == 벼슬 이름 == [include(틀:고구려의 관직)] 主簿 1. 불내예국에서, 기록과 문서를 맡아보던 벼슬. 2. 울절. 3. 신라 때에, 행정 실무를 맡아보던 벼슬. 경덕왕이 관제를 중국식으로 개혁할 때 [[대사]](大舍), [[5두품|청위]](靑位) 따위를 고친 것이다. 4. 고려 시대에, 여러 관아에 둔 육품에서 팔품까지의 벼슬. 선부, 사헌부, 춘추관, 전교시 따위에 두었다. 5. 조선 시대에, 각 아문의 문서와 부적(符籍)을 주관하던 종육품 벼슬. 6.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의원(의사)를 맡아보던 관직. [[어의]]가 임금을 전담하는 의원이라면 주부는 [[중전]]과 왕자들을 상대로 하는 의원이라고 보면 된다. 지금의 [[주사]]라고 보면 된다. [[토끼전|별주부]]의 주부가 이 주부다. ==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 [[무령왕]]이 [[자칭]]한 칭호 == 主父 [[군주]]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무령왕이 [[아들]] 혜문왕에게 양위한 후 자칭한 칭호다. 이것은 훗날 [[진시황]]이 아버지 장양왕을 [[황제]]로 [[태상황]]으로 추존하면서 태상황의 기원이 된다. == [[주부(일본)|일본의 중부 지방]](中部地方)을 가리키는 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부(일본))] == [[수호전]]의 등장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부(수호전))] == [[삼국지]] 시대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부(삼국지))] == [[복소해석학]] 용어 == {{{+1 principal part / [[主]][[部]]}}} [[복소해석학]]에서 어떠한 [[함수]]를 [[로랑 급수]]로 전개할 때, [[테일러 급수]] 부분[* 해석부([[解]][[析]][[部]], analytic part)라고 한다.]을 제외한 항을 말한다. [[특이점#s-2.1|고립특이점]], [[유수]]와 관련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뱀, version=85)]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해석학(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