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성욱_프로필 사진.jpg|width=100%]]}}} || ||<-2> '''{{{#ffffff 프로필 }}}''' || || '''{{{#ffffff 성명 }}}''' || 주성욱 || || '''{{{#ffffff 로마자 이름 }}}''' || Ju Seong Wuk || || '''{{{#ffffff 생년월일 }}}''' || [[1992년]] [[7월 11일]] ([age(1992-07-11)]세) || || '''{{{#ffffff 국적/출생지 }}}''' ||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시]][br](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 '''{{{#ffffff 신체 }}}''' || 180cm/76kg || || '''{{{#ffffff 혈액형 }}}''' || [[B형]] || || '''{{{#ffffff 가족 }}}''' || 아버지[* 생전 직업군인이셨다. 2011년 작고.], 어머니[* IEM Katowice 2022 대회 직전에 작고하셨다고 한다.], 할머니, 1남 2녀 중 셋째 || || '''{{{#ffffff 병역 }}}''' || [[사회복무요원]] 복무 중[* 만 29세가 되던 2022년까지 대회 출전을 해서 복무 여부에 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았으나, 트위치 스트리머 [[크랭크]]의 언급에 의하면 2022 GSL Season 2 탈락 직후에 프로게이머 은퇴를 하고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이후 2023년 4월 26에 [[우주전쟁 마이너 갤러리]]에 올라온 글에 의해 [[장민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복무요원 복무 중 4월 6일부터 3주동안 기초군사훈련을 받는 선복무로 소집되어 훈련소 생활을 마쳤음이 확인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1179722&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3.B5.EC.9D.B5&page=1|#]]] || || '''{{{#ffffff 종족 }}}''' || [[프로토스]] || || '''{{{#ffffff 現 소속 }}}''' || 은퇴[* DPG 홈페이지에는 최초에 은퇴로 적혔으나, 추후 인터뷰에서 복무로 인해 쉬는 것이고 소집 해제 뒤 스타2 리그가 아직 건재하다면 돌아올 생각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 '''{{{#ffffff ID }}}''' || '''Zest'''[* eSTRO에서 위메이드 시절에는 WooKi, KT시절과 스2 극초반에는 P7GAB라는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 || '''{{{#ffffff 경력상금 }}}''' || [[https://www.esportsearnings.com/players/4674-zest-joo-sung-wook|$616,652.07 USD]] || || '''{{{#ffffff 2013 WCS 순위/점수 }}} ''' || 공동 149위/150점 || || ''' {{{#ffffff 2014 WCS 순위/점수 }}} ''' || 3위/5800점 || || ''' {{{#ffffff 2015 WCS 순위/점수 }}} ''' || 12위/3675점 || || ''' {{{#ffffff 2016 WCS Korea 순위/점수 }}} ''' || 4위/6250점 || || ''' {{{#ffffff 2017 WCS Korea 순위/점수 }}} ''' || 공동 20위/1400점 || || ''' {{{#ffffff 2018 WCS Korea 순위/점수 }}} ''' || 4위/6275점 || || '''{{{#ffffff 2019 WCS Korea 순위/점수 }}} ''' || 16위/2600점 || || ''' {{{#ffffff 2020/21 EPT Korea 순위/점수 }}} ''' || 7위/1845점 || || ''' {{{#ffffff 2021/22 EPT Korea 순위/점수 }}} ''' || 6위/1976점[* [[https://liquipedia.net/starcraft2/ESL_Pro_Tour/2021/22/Standings/KR|참고]]] || || ''' {{{#ffffff SNS }}}'''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Zest_SC2, 크기=25)] || || ''' {{{#ffffff 방송국 }}} ''' || [[https://www.twitch.tv/sc2_zest|[[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5]]]] [[http://bj.afreecatv.com/sc2zest|[[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5]]]][* 스타2 멸망전을 위해 만든 방송국으로, 평소에는 트위치에서 방송하는 편.] || ||<-2> {{{#ffffff '''소속 기록'''}}} || || {{{#000000 '''[[eSTRO]]'''}}} || 2009-09-04 ~ 2010-10-12 || || {{{#ffffff ''' [[위메이드 폭스]] '''}}} || 2010-10-13 ~ 2011-08-22 || || {{{#ffffff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 2011-11-09 ~ 2016-10-18[* KT 롤스터의 공식적인 해단은 18일이나, 계약은 [[2016 WCS Global Finals]]의 지원까지로 연장되었다.] || || {{{#000000 '''Scythe Esports'''}}} || 2018-08-22 ~ 2019-01-04 || || {{{#000000 '''Ocean Gaming'''}}} || 2019-01-20 ~ 2019-11-12 || || {{{#ff8317 '''Raise Your Edge'''}}} || 2020-01-30 ~ 2021-02-02 || || {{{#ff8317 '''[[Dragon Phoenix Gaming]]'''}}} || 2021-02-08 ~ 2022-06-19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역대 GSL 우승자)] [include(틀:역대 GSL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GSL 4강 진출자)] [include(틀:임재덕 상)] [include(틀:IEM World Championship SC2/역대 우승자)] [include(틀:IEM World Championship SC2/역대 준우승자)] [include(틀:스타케스파컵 우승팀 및 선수)] ||<-5> '''{{{#white 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5> [[2014 KeSPA Cup]] 우승자 || || [* 이전의 팀단위 리그에서 개인리그로 개편. 또한 [[2014 KeSPA Cup]]은 1티어 대회이다. 이후 2015년부터 연간 대회에서 시즌 형식의 대회가 되면서 2티어 대회가 되었다가 2016년부터는 다시 연간 대회가 되면서 1티어 대회가 되었다.] || → || '''주성욱''' || → || [[2015 KeSPA Cup Season 1]] [br][[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 ||<-5>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 우승자 || || [[IEM Season Ⅷ - World Championship]] [br]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br] --IEM Season Ⅸ - Taipei [br] [[이승현(1997)|이승현]]-- || → || '''주성욱''' || → || [[2016 WCS Circuit Winter Championship|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br]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단, 시즌10 IEM 월드 챔피언십은 대회의 이름만 IEM일 뿐 기존의 IEM 대회와 실제로 연관되지는 않았으며, 외국 WCS 프리미어 리그의 계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면 시즌10 IEM 월드 챔피언십은 대회의 이름만 IEM일 뿐 기존의 IEM 대회와 실제로 연관되지는 않았으며, 해외 WCS 프리미어 리그와 겸해서 치룬거라 볼 수 있다.] [br] IEM Season X - Shenzhen [br][[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5>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5> [[HomeStory Cup]] XV 우승자 || || [[HomeStory Cup]] XIV [br] [[조지현]] || → || '''주성욱''' || → || [[HomeStory Cup]] XVI [br] 주성욱 || ||<-5> [[HomeStory Cup]] XVI 우승자 || || [[HomeStory Cup]] XV [br] 주성욱 || → || '''주성욱''' || → || [[HomeStory Cup]] XVII [br] [[이신형]] || ||<-5> 2018 [[Master's Coliseum]] 우승자 || || 2017 Master's Coliseum 2 [br]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 → || '''주성욱''' || → || Master's Coliseum 4 [br] [[어윤수]] || ||<-5> '''{{{#white 준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5> [[IEM Season Ⅸ - Toronto]] 준우승자 (vs [[이영호]], 1:4) || || [[IEM Season Ⅸ - Shenzhen]][br][[강민수]] || → || '''주성욱''' || → || IEM Season Ⅸ - San Jose[br] [[정윤종]] || ||<-5>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5> [[HomeStory Cup]] XIV 준우승자 (vs [[조지현]], 3:4) || || HomeStory Cup XIII[br][[사샤 호스틴]] || → || '''주성욱''' || → || HomeStory Cup XV[br]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 ||<-5> [[2018 GSL Season 2]] 준우승자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0:4) || || [[2018 GSL Season 1]][br] [[김대엽]] || → || '''주성욱''' || → || [[2018 GSL Season 3]][br] [[전태양]] || ||<-5> [[IEM Katowice 2020]] 준우승자 (vs [[이병렬]], 1:4) || || [[IEM Katowice 2019]][br] [[김대엽]] || → || '''주성욱''' || → || [[IEM Katowice 2021]] [br] [[주성욱]] || ||<-5> [[IEM Katowice 2021]] 준우승자 (vs [[리카르도 로미티]], 2:4) || || [[IEM Katowice 2020]] [br] [[주성욱]] || → || '''주성욱''' || → ||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 [br] [[리카르도 로미티]] || ||<-5>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3]] 준우승자 (vs [[김도욱]], 2:4) ||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2]] [br]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 → || '''주성욱''' || → || [[2022 HOT6 GSL Season 1]] [br]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 ||<-5> '''[[AKB48|{{{#white KT 롤스터}}}]] {{{#white 스타크래프트팀 역대 주장 }}}''' || || [[고강민]] || → || '''주성욱[br](2013.12~2015.12)''' || → || [[김대엽]] ||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개인 리그 ==== * [[2013년]]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IEM_Season_VIII_-_New_York|IEM Season Ⅷ - New York]] 16강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orld_Cyber_Games/2013/Qualifiers/Korea|WCG 2013 한국 대표 선발전]] 8강[* 방송 경기까지 갔으나 [[이신형]]에게 아쉽게 패배. 이 과정에서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를 꺾었다고 한다.] * [[2014년]] * [[2014 WCS Korea Season 1]] [[코드 S]] '''로열로드 우승''' (VS [[어윤수]] 4:3) * [[2014 HOT6 GSL Global Tournament]] '''우승''' (VS [[원이삭]] 4: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SHOUTcraft/Invitational/5|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3위 (VS --[[정우용]]-- 4:1) * [[2014 WCS Korea Season 2]] [[코드 S]] 8강 (VS [[방태수]] 1:3) * [[2014 WCS Korea Season 3]] [[코드 S]] 4강 (VS [[어윤수]] 3:4) * [[IEM Season Ⅸ - Shenzhen]] 8강 (VS [[윤영서]] 0:3) * [[IEM Season Ⅸ - Toronto]] 준우승 (VS [[이영호]] 1:4) * [[2014 KeSPA Cup]] '''우승'''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4:1) * [[2014 HOT6 CUP: Last Big Match]] 4강 (VS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2:3) * [[2014 WCS Global Finals]] 16강 (VS --[[이승현(1997)|이승현]]-- 2: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IeSF_2014_World_Championship|IeSF 2014 World Championship]] '''우승''' (VS Zanster 3:0) [* 전승 우승 및 금메달][*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4111617100696210]]] * [[2015년]] *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 '''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4:1) * [[2015 KeSPA Cup Season 1]] 16강 (VS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2:3) * [[SSL 2015 Season 2]] 8강 (VS [[김대엽]] 1:3) * [[SBENU SSL 2015 Season 3]] 8강 (VS [[전태양]] 2:3) * [[2015 HOT6 GSL Season 3]] 코드 S 8강 (VS [[이신형]] 1: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Kung_Fu_Cup/2015/2|2015 Kung Fu Cup Season 2]] 4강 (VS --[[이승현(1997)|이승현]]-- 1:3) * [[2015 WCS Global Finals]] 16강 (VS [[이신형]] 0:3) ==== 팀리그 ====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 '''우승'''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공동 다승왕'''[* 총 '''21승''' 11패로 21승 10패인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와 공동 다승왕.][* 4라운드 우승 및 MVP 선정.]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개인 리그 ==== * [[2016년]]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SHOUTcraft/Invitational/6|SanDisk SHOUTcraft Invitational II]] 8강 (VS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1:3) * [[2016 HOT6 GSL Season 1]] 코드 S '''우승''' (VS [[전태양]] 4:2) * [[2016 GSL Season 2]] 코드 S 16강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Kung_Fu_Cup/2016/1|2016 Kung Fu Cup Season 1]] 7~8위 (VS [[현성민]] 1:3) * [[2016 WCS Korea Season 1 Cross Finals]] 4강 (VS [[김대엽]] 1:3)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2]] 8강 (VS [[조지현]] 1:3) * [[2016 KeSPA Cup]] 8강 (VS [[전태양]] 0:3) * [[2016 WCS Global Finals]] 8강 (VS [[김대엽]] 2: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StarCraft_II_Cataclysm_Tournament|GSLTV 스타크래프트2 대격변 토너먼트: The Beginning]] '''우승''' (VS [[한지원]] 4:1) * [[HomeStory Cup]] XIV 준우승 (VS [[조지현]] 3:4) * [[IEM Season XI - Gyeonggi]] 16강[*초청시드] * [[2017년]] * [[2017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12강 * [[SSL Premier 2017 Season 1]] 10위 (챌린지 강등) * [[VSL|2017 VSL Season 1]] 4강 (VS [[김준혁(1995)|김준혁]] 2:3) * [[2017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Game_Land_Invitational|Game Land Invitational]] '''우승''' (VS [[황규석]] 4:3) * [[Master's Coliseum#s-2.1|Master's Coliseum 1]] 16강 * [[SSL Challenge 2017 Season 2]] 퍼스트 스테이지 5위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Ballistix_Brawl/Finals_1|Ballistix Brawl Finals]] #1 5~6위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0:2)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Team_Liquid_Map_Contest_Tournament|WardiTV Team Liquid Map Contest]] 16강 * [[HomeStory Cup]] XV '''우승'''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4:2) * [[2017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16강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0:3) * [[Master's Coliseum#s-2.2|Master's Coliseum 2]] 16강 * [[HomeStory Cup]] XVI '''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4:1)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PeopleImages_Starcraft_League/Korean_Group|PeopleImages Starcraft League: Korean Group]] 5~12위 * [[2018년]] * [[IEM Season XII - PyeongChang]] 8강 (VS [[Elazer]] 1:3) * [[2018 GSL Season 1]] 코드 S 8강 (VS [[박령우]] 1:3) * [[IEM Season XII - World Championship]] 24강 * [[2018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16강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1: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PeopleImages_Starcraft_League_2/Korea_Group|PeopleImages Starcraft League 2: KR Group]] 2위 * [[2018 GSL Season 2]] 코드 S '''준우승'''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0:4) * [[HomeStory Cup]] XVII 5~6위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0:3) * [[GSL vs. the World 2018]] 16강 (VS [[ShoWTimE]] 1:3) * [[Master's Coliseum#s-2.3|Master's Coliseum 3]] '''우승''' (VS [[어윤수]] 4:3) * [[2018 GSL Season 3]] 코드 S 4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4) * [[2018 WCS Global Finals]] 16강 * [[HomeStory Cup]] XVIII 4위 (VS [[이신형]] 1:3) * [[2019년]] * [[Master's Coliseum#s-2.4|Master's Coliseum 4]] 8강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0: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OSC_Championship_6|OSC Championship Season 6]] 15~18위 (VS [[이병렬]] 0:3) * [[NetEase Esports X Tournament|NeXT 2018 Winter]] 3위 (VS [[전태양]] 0:2)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Ting_Open_Season_5|Ting Open Season 5]] '''우승''' (VS [[김도욱]] 5:2)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Team_Liquid_Map_Contest_Tournament_4|WardiTV TeamLiquid Map Contest Tournament 4]] '''우승''' (VS [[이병렬]] 5:4)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IEM Season XIII - Katowice]] 12강 (VS [[어윤수]] 0:3) * [[2019 마운틴듀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8강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2:3)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HomeStory Cup]] XIX 3위 (VS [[전태양]] 2: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Team_Liquid_Map_Contest_Tournament_5|WardiTV TeamLiquid Map Contest Tournament 5]] 준우승 (VS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1:5) * [[Master's Coliseum#s-2.5|Master's Coliseum 5]] 8강 (VS [[김도욱]] 2:3)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3]] 코드 S 8강 (VS [[이병렬]] 2:3) * [[Assembly Summer 2019]] 4강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0:3) * [[HomeStory Cup]] XX 4위 (VS [[Serral]] 0:3) * [[2020년]]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2020|WardiTV 2020]] 24강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Team_Liquid_Map_Contest_Tournament_6|WardiTV Team Liquid Map Contest Tournament 6]] 13~14위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 준우승 (VS [[이병렬]] 1:4) * [[2020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8강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1:3) *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1]] 코드 S 16강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1]] 32강 * [[TeamLiquid StarLeague 5]] 4위 (VS [[이신형]] 0:3)[*초청시드]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2]] 5~6위 (VS [[이신형]] 0:1)[* 컴퓨터 문제로 인해 기권하였다.]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Spring_Championship|WardiTV Spring Championship]] '''우승''' (VS [[어윤수]] 4:1) *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2]] 코드 S 16강 * [[Douyu Cup 2020]] 3위 (VS [[Reynor]] 3:4)[*초청시드] * [[NetEase Esports X Tournament|NeXT 2020 Summer]] 4강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1:2) *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3]] 코드 S 8강 (VS [[박진혁]] 2:3) * [[NetEase Esports X Tournament|NeXT 2020 Winter]] 16강 * [[2020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16강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0:3) * [[TeamLiquid StarLeague 6]] 9~12위 (VS [[김대엽]] 1:3)[*초청시드] * [[2021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0: Last Chance 2021]] 16강 * [[2021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4강 (VS [[박한솔(프로게이머)|박한솔]] 0: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2021|WardiTV 2021]] '''우승''' (VS [[전태양]] 4:1) *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 '''준우승''' (VS [[Reynor]] 2:4)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3]] 5~6위 (VS [[김도욱]] 2:3)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1]] 코드 S 8강 (VS [[이병렬]] 2: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Spring_Championship_2021|WardiTV Spring Championship 2021]] '''우승''' (VS [[김도욱]] 4:3) * [[NeXT 2021 S1-SC2 Masters]]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7]] 3위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2:4)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2]] 코드 A 16강 (VS [[원이삭]] 0: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Season Finals]] 16강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ardiTV_Team_Liquid_Map_Contest_Tournament_7|WardiTV Team Liquid Map Contest Tournament 7]] 11~12위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3]] 코드 S 준우승 (VS [[김도욱]] 2:4) * [[ASUS ROG Fall 2021]] 8강 (VS [[박령우]] 2:3)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4]] 5~6위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0: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PiG_Sty_Festival|PiG Sty Festival]] 8강 (VS MaxPax 2: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Wint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1: Winter - Season Finals]] 8강 (VS [[사샤 호스틴|Scarlett]] 2:3) * [[King of Battles 2]] 16강 * [[2021 GSL Super Tournament Season 3]] 16강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1:3) * [[NeXT 2021 S2-SC2 Masters]] 3위 (VS [[박령우]] 3:2) * [[TeamLiquid StarLeague 8]] 25~32위 (VS [[Elazer]] 1:2) * [[2022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1: Last Chance 2022]] 8강 (VS [[김도욱]] 2:3)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OSC_Championship_9|OSC Championship 9]] '''우승'''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4:2) * [[2022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우승''' (VS [[박령우]] 4:3) *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 24강 * [[2022 HOT6 GSL Season 1]] 코드 S 20강 * [[2022 HOT6 GSL Season 2]] 코드 S 20강 ==== 팀리그 ====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 준우승 (VS 진에어 그린윙스 0:4)[*KT ] * [[StarCraft II: NationWars|StarCraft II: NationWars IV]] '''우승''' (VS [[폴란드]] 5:4)[* [[변현우]], [[이신형]],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과 함께 한국팀으로 참가.] * [[VSL|2017 VSL Season 1 - Team League]] '''우승''' (VS TEAM herO 4:3)[* [[변현우]],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와 함께 'Team Zest'라는 팀명으로 참가.]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QCL:_Power_Overwhelming_Pro_Teamleague|QCL: Power Overwhelming Pro Teamleague]] 준우승 (VS 셀렌디스와 벌레들 4:5)[* [[이신형]], [[어윤수]]와 함께 '이신형 원맨팀'이라는 팀명으로 참가.] * [[NetEase Esports X Tournament]] 2019 Spring 준우승 (VS [[Newbee]] 2:4)[*OceanGaming ] * [[2019 스타크래프트 2 BJ 멸망전 Season 2]] 준우승 (VS 팀멸망 3:4)[*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와 함께 '토스의 판타지'라는 팀명으로 참가.] * [[War Chest Team League]] '''우승''' (VS War Pigs 3:1)[* [[남기웅]], [[박수호]], [[전태양]]과 함께 'Benny and the Boys'라는 팀명으로 참가.] * [[World Team League 2021 Summer]] 준우승 (VS [[Team NV]] 3:5)[*DPG ] * [[World Team League 2021 Summer]] 어워드 '''베스트 프로토스'''[*DPG ] * [[World Team League 2021 Winter]] '''우승''' (VS [[Team NV]] 4:1)[*DPG ] * [[World Team League 2021 Winter]] 어워드 '''베스트 프로토스'''[*DPG ] ====# 기타 개인 리그 #==== * [[2016년]]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Leifeng_Cup/158|Leifeng Cup 158]] 5~6위 * SHOUTcraft Kings December 2016 4위 * Still Making Korea Great 4강 * [[2017년]] * WardiTV Weekly 1 16강 * [[올리모 리그]] #77 8강 * WardiTV Weekly 3 우승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3:0) * SHOUTcraft Kings January 2017 4위 * ESL ANZ Summer Cup #11 9~12위 * WardiTV Weekly 5 4강 * [[올리모 리그]] #79 준우승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2:3) * IQ Cup 2017 - International 16강 * SHOUTcraft Kings March 2017 6~10위 * [[올리모 리그]] 2017년 2월 월장원전 8강 * [[올리모 리그]] #85 우승 (VS [[김도경]] 3:0)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3 Round 1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0:3)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3 Round 2 8강 * [[올리모 리그]] 2017년 4월 월장원전 8강 * Tournament of Legends #3 by Nxus 4위 * [[올리모 리그]] #91 4강 * Qué será será Sunday League #3 우승 (VS [[한이석]] 3:2) * WardiTV Weekly S2 Finals 8강 * [[올리모 리그]] #92 8강 * SHOUTcraft Kings June 2017 10~21위 * Qué será será Sunday League #4 4강 * [[올리모 리그]] 2017년 6월 월장원전 준우승 (VS [[김준혁(1995)|김준혁]] 1:4) * [[올리모 리그]] #94 8강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6 Round 1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0:3)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6 Round 3 준우승 (VS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2:3) * Ballistix Brawl Week #3 8강 * Ballistix Brawl Week #6 8강 * OG 6 Start 4 4강 * SHOUTcraft Kings August 2017 5~9위 * Ballistix Brawl Week #7 우승 (VS [[이신형]] 3:1) * [[올리모 리그]] #98 준우승 (VS [[이병렬]] 1:3) * Ballistix Brawl Week #8 8강 * Gosu_PvP Cup 5~6위 * Ballistix Brawl Week #9 4강 * [[올리모 리그]] 2017년 8월 월장원전 8강 * [[올리모 리그]] #100 4강 * 온풍 스타2 마스터즈 시즌 1 우승 (VS 강민수 4:3) * WardiTV Weekly 17 8강 * [[올리모 리그]] 2017년 9월 월장원전 4강 * SHOUTcraft Kings September 2017 8~23위 * [[연승전#s-6|온풍 끝장전: 패자의 역습]] 2회차 패 (VS [[이신형]] 3:8) * [[올리모 리그]] #104 8강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7 Round 2 4강 * MeUndies Invitational 2 준우승 (VS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2:3) * [[올리모 리그]] #106 우승 (VS [[전태양]] 3:2) * BaseTradeTV Star League Season 7 Finals 우승 (VS [[김대엽]] 3:1) * WardiTV Weekly 19 4강 * SHOUTcraft Kings November 2017 1~3위 (VS [[Has]] 0:1) * [[올리모 리그]] #108 4강 * [[온풍 스타2 마스터즈 시즌 2]] 4강 * WardiTV Weekly Season 3 Finals 4강 * [[올리모 리그]] 2017년 11월 월장원전 우승 (VS [[고병재]] 4:0) * [[연승전#s-6|온풍 끝장전: 패자의 역습]] 6회차 패 (VS [[박령우]] 5:6) * BaseTradeTV Star League 2017 Special 16강 * [[2018년]] * [[올리모 리그]] #111 8강 * Ballistix Brawl: Season 2 Week #4 8강 * [[올리모 리그]] #114 우승 (VS [[방태수]] 3:0) * Ballistix Brawl: Season 2 Week #6 우승 (VS [[고병재]] 3:2) * [[올리모 리그]] 2018년 2월 월장원전 우승 (VS [[신희범]] 4:1) * Ballistix Brawl: Season 2 Week #7 우승 (VS [[고병재]] 3:2) * [[올리모 리그]] #115 16강 * [[올리모 리그]] #117 4강 * [[올리모 리그]] 2018년 3월 월장원전 4강 * Ballistix Brawl: Season 2 Finals 우승 (VS [[김준혁(1995)|김준혁]] 4:2) * [[올리모 리그]] #118 8강 * Kung Fu Cup Weekly #1 8강 * [[올리모 리그]] #119 우승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3:2) * Kung Fu Cup Weekly #2 우승 (VS [[Elazer]] 3:1) * [[올리모 리그]] #120 16강 * Kung Fu Cup Weekly #3 16강 * PeopleImages Starcraft League 2: KR Group 2위 (VS [[문성원]] 0:1) * [[올리모 리그]] 2018년 4월 월장원전 8강 * Kung Fu Cup Weekly #4 우승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3:2) * [[올리모 리그]] #121 우승 (VS [[이병렬]] 3:1) * Ballistix Brawl: Season 3 Week #5 8강 * Kung Fu Cup Weekly #5 16강 * Ballistix Brawl: Season 3 Week #7 4강 * Kung Fu Cup Weekly #7 16강 * [[올리모 리그]] 2018년 5월 월장원전 4강 * Kung Fu Cup Weekly #8 4강 * Anonymous #1 8강 * Kung Fu Cup Weekly #9 4강 * Slow Week Cup 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3:1) * Kung Fu Cup Weekly #11 8강 * [[올리모 리그]] Summer Finals 3위 * Kung Fu Cup Weekly #12 8강 * RavenZ Cup IX 8강 * [[올리모 리그]] #129 4강 * [[올리모 리그]] 2018년 7월 월장원전 8강 * Kung Fu Cup Weekly #14 4강 * [[올리모 리그]] #130 16강 * Kung Fu Cup Weekly #15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2:3) * [[올리모 리그]] #131 4강 * Ting Open Online Cups: Korea #1 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3:1) * [[온풍 스타2 마스터즈 시즌 3]] 8강 * [[올리모 리그]] 2018년 8월 월장원전 우승 (VS [[고병재]] 4:2) * Montreal Waiting Room #1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0:2) * [[올리모 리그]] #133 16강 * WardiTV Summer Championship: South Korea 4강 * [[올리모 리그]] #134 준우승 (VS [[김도욱]] 1:3) * Ballistix Brawl: Season 4 Week #1 4강 * [[올리모 리그]] 2018년 9월 월장원전 준우승 (VS [[이병렬]] 1:4) * WardiTV Summer Championship 4강 * Ballistix Brawl: Season 4 Week #5 우승 (VS [[고병재]] 3:2) * [[올리모 리그]] #139 16강 * Kung Fu Cup Weekly #21 준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2:3) * Ballistix Brawl: Season 4 Week #8 4강 * [[올리모 리그]] #141 우승 (VS [[이병렬]] 3:2) * [[올리모 리그]] 2018년 11월 월장원전 8강 * Kung Fu Cup Weekly #23 8강 * [[온풍 스타2 마스터즈 시즌 4]] 16강 * [[올리모 리그]] #142 준우승 (VS [[이병렬]] 2:3) * Kung Fu Cup Weekly #24 우승 (VS [[원이삭]] 3:0) * [[올리모 리그]] #144 우승 (VS [[이병렬]] 3:1) * [[연승전#s-6|온풍 끝장전: 패자의 역습]] 14회차 패 (VS [[박령우]] 4:7) * [[2019년]] * [[올리모 리그]] 2018년 12월 월장원전 4강 * OSC Championship Season 6 15~18위 * [[올리모 리그]] Winter 4위 * RavenZ King of the Hill #1 패 (VS [[전태양]] 1:6) * [[올리모 리그]] #146 우승 (VS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3:1) * [[올리모 리그]] 2019년 2월 월장원전 4강 * Alpha Pro Series Match 65 패 (VS [[어윤수]] 2:5) * [[올리모 리그]] #149 8강 * [[올리모 리그]] #150 우승 (VS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3:0) * [[올리모 리그]] 2019년 3월 월장원전 우승 (VS [[조지현]] 4:3) * [[올리모 리그]] #151 준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1:3) * WardiTV Invitational 7 준우승 (VS [[고병재]] 1:3) * Alpha Pro Series Match 73 패 (VS [[고병재]] 2:5) * [[올리모 리그]] #153 8강 * [[올리모 리그]] #155 8강 * The Gemini Korean Invitational: May 4위 * [[올리모 리그]] #156 우승 (VS [[김대엽]] 3:1) * [[올리모 리그]] 2019년 5월 월장원전 4강 * [[올리모 리그]] #157 우승 (VS [[김도욱]] 3:2) * Alpha Pro Series Match 88 승 (VS [[김준혁(1995)|김준혁]] 5:4) * [[올리모 리그]] 2019년 6월 월장원전 준우승 (VS [[김도욱]] 0:4) * [[올리모 리그]] #160 우승 (VS [[김대엽]] 3:2) * MSI Pro Challenge 8강 * Momentum Cup Season 3 KR Cup 2 준우승 (VS [[황규석]] 2:3) * [[올리모 리그]] #161 준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2:3) * Momentum Cup Season 3 KR Cup 6 우승 (VS [[SpeCial]] 3:2) * [[올리모 리그]] #162 8강 * [[올리모 리그]] 2019년 7월 월장원전 우승 (VS [[이병렬]] 4:2) * WardiTV Summer Championship 2019: South Korea 16강 * Alpha Pro Match 102 패 (VS [[전태양]] 1:3) * [[올리모 리그]] #163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1:3) * Momentum Cup Season 3 KR: Finals 2위 * Alpha Pro Series: Ultimate Showdown 8강 * [[올리모 리그]] #169 8강 * [[올리모 리그]] #170 16강 * Afreeca World 44 3~4위 * Alpha Pro Series Match 119 패 (VS [[이신형]] 3:5) * [[올리모 리그]] #171 8강 * WardiTV Invitational 9 4강 * Alpha X Series #1 패 (VS [[Astrea]] 3:4) * WardiTV Invitational 10 2위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2:3) * Kung Fu Cup 2019 Weekly #1 4강 * 국밥 리그 시즌2 준우승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1:3) * Afreeca World 48 3~4위 * Alpha Pro Series Match 133 승 (VS [[김도욱]] 5:4) * [[올리모 리그]] #177 8강 * Kung Fu Cup 2019 Weekly #2 16강 * WardiTV Christmas Invitational 4 8강 * Alpha Pro Series Xmas Showdown 4강 * Kung Fu Cup 2019 Weekly #3 4강 * 국밥 리그 시즌3 준우승 (VS [[김도욱]] 2:3) == 선수 소개 == ||
[youtube(uG2m5n-Yq2s, width=100%)] || [[위메이드 폭스]] 말기 [[박세정]], [[이영호(프로토스)|이영호]]의 부진과 [[안기효]]의 군입대로 막장화가 돼버린 토스 라인의 떠오르는 샛별이었다. KT로 오고서는 1년을 지나서야 KT 토스의 대표 주자 중 하나가 되었다. 데뷔는 [[eSTRO]]에서 했다. [[신정민]] 코치의 눈에 들어 온라인 연습생으로 들어온 후,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0|2009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감독 추천으로 [[프로게이머]] 자격증을 얻었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졸업해야 한다는 집안의 반대로 숙소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서류상으로만 소속되어 있었다. 09-10 시즌이 끝난 후 [[eSTRO]]의 해체와 함께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236&article_id=0000032722|드래프트]]를 통해 [[위메이드 폭스]]에 입단했다. 이후 10-11 시즌에는 신인답지 않은 실력 덕분에 [[잉여라인|폭스의 토스 라인]] 중 가장 승률이 높았다. 당시 [[이효민]] 수석 코치의 말에 따르면, 신인들은 부대 지정 같은 최적화된 습관들을 들이기 위해 오랜 시간이 걸리는 데 반해 주성욱은 이미 그런 습관이 몸에 배여 있었다고... 그러나 위메이드 폭스도 시즌이 끝난 후에 해체되어, 공개 포스팅을 통해 [[박성균]]과 함께 [[kt 롤스터]]로 이적하였다. 폭스 시절에 한 인터뷰에서는 스스로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란전]]에 강점이 있다고 했는데, 정작 KT로 넘어오고서는 [[테막]]+프프전기계가 되었다. [[우정호]]가 빠진 후 [[김대엽]] 혼자 떠받히던 KT 토스 라인을 어느 정도 지탱하더니, 12-13 시즌 들어서서는 아예 [[김대엽]]을 밀어내고 팀 내 프로리그 다승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김대엽의 회사원 본능까지 물려받아 [[2014년]]에야 겨우 [[코드 S]]에 올라와 로열로더 우승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국내 개인리그 성적이 전무했고 해외대회까지 포함한들 IEM 본선 1회전 광탈이 전부였다. [[2010년]] 당시 할머니와 두 누나들, 아버지와 함께 살다가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009913|이듬해 부친상을 당했다]]. 이른 나이에 가장이 돼 버린 그는 [[프로게이머]]로 성공해서 가족에게 힘이 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2022년]] [[6월 19일]]부로 군 문제로 인해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다고 한다. 은퇴 직전 마지막 인터뷰에서 스타2 프로씬이 계속 유지된다면 꼭 복귀하고 싶다고 밝혔다.[[https://m.dcinside.com/board/sc2/1054913|#]] == 플레이 스타일 == 프프전 기계라고 불릴 정도로 동족전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다. 회사원 시절에도 프로리그에서 동족전으로 각광을 받았었고, 2014년 국내 프로토스를 이끌어가는 3대장 (주성욱, 김유진, 정윤종) 중 한 명으로 불린다. 2014년 초반 당시 테란의 암흑기와 프로토스가 득세하는 시기였기 때문에 주성욱에게 있어서는 더할나위 없는 판이 깔린 셈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GSL 우승을 차지하는 등 2014년 상반기 최고의 선수라고 꼽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정작 우승 후에 2014년 프로리그에서 의외로 프로토스에게 많이 졌지만(8승 9패), [[2014 KeSPA Cup]]에서 '''토스만 때려 잡으면서''' 우승하면서 프프전 기계의 명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하지만 프프전만 잘 하는 것은 아니고 프프전이 생각만큼 안 풀리던 2014년 프로리그에서도 저그전만큼은 안정적이고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7승 2패, 7연승). 프테전 하면 [[원이삭]]이라면 프저전은 주성욱일 정도. -- [[원이삭]] 어머니가 왜 너는 주성욱처럼 저그전을 못하니라고 말씀하셨단다(...)-- --주성욱의 저그전과 원이삭의 테란전을 합치면 완전체?--- 맞춰가는 운영에 특화된 만큼 저그전 장기 운영에서 만큼은 절대 지지 않을 것 같은 포스를 보여준다. 특히 KT 토스 답게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매우 강하다. 운영에 장점이 있는 김민철에게 운영에서는 절대 밀리지 않는 주성욱은 천적에 가까운 상대다. 2014년에 진행된 [[GSL]] 세 번 연속 김민철을 16강에서 만나 세 번 다 잡고 8강에 진출했으며, [[2014 HOT6 GSL Season 3]]에선 김민철만 두 번 잡고 최종전에서 진출했고, 핫식스컵에서도 8강에서 만나 3:1로 승리하고 4강에 진출했다. --상위라운드 급행 열차 티켓--2014년 12월 기준 상대전적 14:4이며, 저 패배한 경기도 다전제에서 내준 세트에 불과할 뿐 최종 경기의 승패는 언제나 주성욱이 웃었다. 하지만 상대방이 극단적인 날빌이나 예상 밖의 변칙적인 플레이를 하면 대응하지 못 하고 무너지는 모습도 보여주는데, 대표적인 경기가 2014 HOT6 GSL Season 2의 방태수 전과 2014 HOT6 GSL Season 3의 어윤수전. 심지어 2020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Reynor, Serral 등 현존하는 최강 저그들을 때려잡고 결승에 올라왔으나 이병렬의 4연속 올인에 처참히 무너지며 다시 한번 노잼결승의 주인공이 되어 버렸다. 이렇듯 전성기의 무시무시한 토스전과 저그전과는 달리 테란전엔 유독 약한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도 테란전이 가장 자신 없다고 항상 입버릇처럼 말하고 다녔으며, 첫 개인리그 우승 후 기세를 타며 테란전 승률은 높아졌지만 다른 종족전에 비해서는 부족하고, 중요한 경기마다 인상깊게 패배하며 테막 이미지가 제대로 박혔다. 특히 [[윤영서]]와의 상대전적은 참담한 수준. 헌데 의외로 [[이신형]]은 상대전적에서 더블 스코어로 압살하고 있다. 결정적인 상황에서 테란에 패한 경기가 많아서 그렇지 기복이 심한 편이긴 해도 적어도 A급은 된다는 평가가 많다. 승률도 생각보다 준수한 편이고 결정적인 경기에서 패한 기록이 많아 테막 이미지가 굳어진 측면이 있다. 2015년 들어서는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한테 7연패를 달성하면서 다시 한번 주테막(...) 소리를 들었으나, [[SBENU SSL 2015 Season 3]] 16강에서 조성주만 두 번 잡아내며 8강에 진출, 기나긴 테막 꼬리표를 떼어냈다. 특히나 [[2016 GSL Season 1]]에서 테란전에서 16승 3패의 극강의 모습을 보이며 우승하며 이젠 테란전 잘하는 토스로 꼽히는 수준이다. -- 근데 이젠 저그전이... 악마와의 거래를 한듯 싶다...-- 수비적인 운영을 선호하는 선수이며, 특히 토스전과 저그전에서 [[불사조(스타크래프트 2)|불사조]] 운영을 매우 좋아한다. 스스로도 2014년엔 불사조로 저그를 때려잡고 다녔다고 할 정도. 실제로 후반으로 갈 수록 거의 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같은 팀 토스인 [[김대엽]]도 비슷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걸 봐선 KT토스의 팀컬러인듯. 이러한 운영은 같은 정파토스인 정윤종과는 확실히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정윤종의 정파 운영이 로봇공학 테크 위주의 전형적인 [[니가와]] 전법이라면, 주성욱은 수비적인 운영을 지향하면서도 그 연결고리로써 끊임없는 불사조, [[차원 분광기]] 견제를 통해 상대방의 속을 박박 긁어놓은 다음 물량으로 밀어버리는 스타일이다. 이는 스타1으로 치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의 운영과 흡사한 부분이기도 하다.[* 사실 정명훈이 현역 시절 화려한 벌처 견제 플레이나 저그전 레이트 메카닉 같은 독특한 빌드를 선보인 점 때문에 사파라고 오해하기 쉬운데, 실제 정명훈의 스타일은 이런 플레이 그 자체만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아닌, 짜임새 있는 빌드와 안정적인 운영을 기반으로 한 플레이를 구사하는 선수라서 정파형 테란으로 분류된다. 주성욱 역시 불사조와 차원 분광기 견제와 뛰어난 운영을 통해 상대를 제압하는 정파형 프로토스이기에 유사점이 있는 것이다.] 후반 운영을 잘 하다 보니 대규모 교전에 매우 뛰어나다. 200vs200 싸움에서 웬만하면 지지 않으며, 뛰어난 교전컨 때문에 다 진 경기도 역전해 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너무 후반만 바라보는 운영을 해서 그런지 초반 저격에 무너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수비적인 경기 양상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팬들의 주문이 많은데, 그에 대해서는 프로토스는 원래 수비적인 종족이라고 2015 SSL Season 3 8강 진출 인터뷰에서 말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38899&iskin=esports|kt 주성욱 "조성주 두 번 잡아 더 기쁘다"]][[http://web.archive.org/web/20190814083915/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38899&iskin=esports|@]] ~~김대엽, 조성호 부들부들~~ 그 외에 조금 부족한 점이 있다면 자원관리에서 조금씩 문제가 생긴다는 점이다. 경기 내에서 광물 1000을 넘어가는 모습을 자주 확인할 수 있고, 당황할 시에는 심해져서 자원이 폭발적으로 치솟는데 대표적으로 GSL 프리시즌 4강 이승현과의 경기에서는 정면애서 압박을 받자 자원이 광물 3000 가스 1000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상기한 자원 관리에서 문제를 보이는 경우들의 대부분은 중반에 고테크 유닛을 추가하여 조합을 갖추려는 타이밍에 견제를 당해 유닛과 자원의 밸런스가 무너졌을 때 많이 보인다. 수비적인 플레이가 한번 균열을 내기 시작하면 유닛 조합도 어정쩡해지고 자원 관리가 안되는 것. 2018 시즌 들어 저그전 성적은 오프라인 기준으로 30퍼 가까이 추락하면서 [[http://aligulac.com/players/1658/results/?after=2018-01-01&before=2018-09-20&event=&race=z&country=KR&bestof=all&offline=offline&game=LotV&wcs_season=&wcs_tier=&op=|최악]]의 기량이지만, 그에 반비례해 테란전과 토스전은 날개가 달린 수준이다. --근데 상위 무대에 저그가 없다.-- ~~테란, 토스전과 저그전의 성적을 맞바꿨다...~~ == 연도별 경기내용 == * [[주성욱/2011-2013]] * '''[[주성욱/2014]]''' * [[주성욱/2015]] * '''[[주성욱/2016]]''' * [[주성욱/2017]] * [[주성욱/2018]] * [[주성욱/2019]] * [[주성욱/2020]] === 2021년 === IEM에서 결승에 올랐으나 Reynor에게 2:4로 패하며 2년 연속 결산대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조별리그에서 Reynor를 2:0으로 잡았던 만큼 이번에야말로 우승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끝내 저그를 넘지 못하였다. 이후 [[2021 GSL Season 3]]에서도 테란전 매치 승률을 90% 넘게 기록하고 있었으나 김도욱을 상대로 결승에서 2:4로 패하며 프로토스 최다 우승 타이틀은 획득하지 못했다. 4강에서 이병렬의 오프라인 7전제 무패를 깨면서 올라왔고, 테란전 포스가 좋았던 만큼 주성욱의 우승을 예상하는 팬들이 많았지만 아쉽게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긴장한 탓인지 에이징 커브인지 아쉬운 장면이 자주 나왔고 특히나 6세트의 경우 승리해서 7세트로 끌고 갈 수 있었지만 기회를 잡지 못하며 역전을 허용, 준우승에 그치게 되었다. === 2022년 === [[2022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에서 박령우를 상대로 풀세트 접전 끝에 4:3 승리를 거두며 2022년을 기분 좋게 시작했으나 IEM에서 24강 탈락, 이어진 GSL 두 시즌 모두 20강 탈락에 그치게 되었다. 그래도 입대 전 우승 트로피를 하나 추가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2018년 1:8 관광을 당하며 계속해서 지고 있던 조성주를 슈퍼 토너먼트 4강에서 3:1로 꺾었고, 상대전적 열세였던 박령우를 결승에서 4:3으로 꺾으며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 입대했다. == [[주성욱/라이벌|라이벌]] == [[주성욱/라이벌]] 문서 참고. == 여담 == * 'P7GAB'이란 아이디를 쓴 적이 있는데, 의미는 당연히 '피칠갑'이다.--이때부터 일진의 자질이 돋보였다.-- KT 이적 직후부터 이 아이디를 쓰려고 한 것 같은데, 아이디 등록이 잘못되었는지 PGAB(?)으로 나왔다가 3개월 후에 바꿨다.[* 같이 이적한 [[박성균]]도 원래 아이디는 mind인데 이때에는 maind로 나왔고, 주성욱과 같은 때에 고쳤다.] 그런데 이것을 '프로토스(P)는 7시가 갑(甲)이다.'라고 갖다붙일 수도 있다. 2012년 12월 15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s-2.22|SK플래닛 프로리그 12-13]] [[kt 롤스터]] 대 [[8th TEAM]] 제4경기 [[칼데움]] 주성욱 대 [[하재상]] 경기의 중계진이 한 얘기. 공교롭게도 이날 7시에서 시작한 주성욱은 이겼다. * 날카로운 외모와 근육진 몸매 탓에 '''일진(?)''' 기믹이 있다. 근육도 근육이지만 유난히 혼자 팔뚝의 핏줄이 도드라진다. 그냥 장비 세팅하는데도 헬스 운동하듯 핏줄이 튀어나온다(...) 시골출신이라 어릴 때 밖에서 많이 놀아서 그렇다는데 아무튼 주성욱이 부스에 들어가면 카메라감독도 유난히 팔뚝에다 클로즈업을 많이 넣고 해설들도 신나게 근육얘기를 한다. [[SBENU SSL 2015 Season 3]]에서 주성욱의 티저 사진이 공개되었을 때 주성욱의 이미지와 달리 너무 빈약한 아령의 사이즈를 보고 분노한 스갤러들이 더 무시무시한 무기로 합성을 하며 잠시 합성열풍이 불기도 했다. SSL 1주차 이신형과의 대전에서 프리스타일한 복식으로 화제가 되었는데, 백색 반팔 티셔츠에 청바지라는 단순하지만 강렬한 인상의 복장. 정작 그 대결에서 이신형에게 패했다는 것은 아쉬운 것이지만... ||
[[파일:external/pbs.twimg.com/CRlo5JMUYAA6Aja.jpg|width=100%]] || * --[[조커(DC 코믹스)|조커]]vs[[펭귄(DC 코믹스)|펭귄]]--일진 이미지 때문에 싸이코패쓰 이미지를 가진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과 라이벌 구도로 많이 엮이며 스갤에선 심심할 때마다 한번 씩 주성욱이 더 무섭나 김유진이 더 무섭나란 떡밥이 올라온다. --대부분 주성욱은 맞고 끝나지만 김유진은 진짜 죽을 것 같다라고 결론난다-- --죽을 때까지 맞으면?-- 경기 내적으로도 두 사람은 ~~죽임~~주김록or유성록이라 불리는 프프전 명경기를 자주 선보여 좋은 프프전 라이벌로 취급되지만, 현실은 주성욱이 김유진을 더블 스코어로 압도하는 수준이다. ||
[[파일:external/pbs.twimg.com/B1vOIvZCcAAkP2I.png|width=100%]] || 허나 이런 외모가 여성들에게 먹히는 지 여러 여성팬들 --그리고 몇몇 어묵충들--에게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한다. 알긋냐에서 [[채정원]] 말에 의하면 [[곰TV]] 여직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매우 높으며 심지어 컴퓨터 바탕화면까지 주성욱 사진으로 해놓는다고 (...) * 외국 팬들 사이서 '''Zest is Best'''라는 문구가 자주 쓰인다.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에서 어떤 팬이 치어풀에 쓰면서 외국 팬들 사이서 유행을 탔고, 본인도 이 문구가 맘에 들었는지 IEM World Championship 결승에서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에게 한마디 하라고 할때 주성욱 본인이 영어로 'I'll Show you Zest is Best'라고 말했다.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을 우승한 이후 거의 공식문구로 자리잡았다. 라임이 착착 입에 감겨서 몇몇 한국팬들도 즐겨쓰며, [[https://twitchemotes.com/channels/142034630|트위치 구독 이모티콘]]에도 이를 활용한 이모티콘이 있다. ~~해석하면 주성욱은 [[도재욱]]이다.~~ * 2014년부터 [[kt 롤스터]]의 에이스가 되었지만 생각보다 에결 성적이 좋지 않다.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시즌 초반엔 승률이 좋지 않았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연승하여 다승왕을 차지(김준호와 공동)하였다. * 팀킬에 약한 면모를 보인다. [[이영호]], [[김대엽]], [[이승현(1997)|이승현]], [[전태양]] 모두 개인리그에서 주성욱을 이겼다. *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등장음악은 [[캐리비안의 해적]] [[OST]] 수록곡으로 유명한 He's a Pirate. 현재는 Winner의 '끼부리지마'로 바뀌었다. ~~그럼 끼부리면 패버리겠다는 건가?~~ * 아버지가 생전에 [[직업군인]]이셨고 그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프로게이머의 길을 가지 않았다면 군인이 될 생각이었다고 [[모두의 유채꽃]] 출연회에서 밝혔다. *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조성제]]와 어릴 때부터 친했다고 한다. 2016년 12월 [[조성제]]가 결혼했는데 하객으로 참석하여 둘의 친분을 모르고 있던 수많은 팬들이 놀랐다고 한다.[* 조성제와는 고등학교 동창이다.]GSL 결승전에도 [[https://youtu.be/obyoJkSdw9U?t=12m24s|왔다.]] * 원래도 유달리 근육이 돋보이는 몸이었으나, 2019년을 기점으로 [[벌크업]]을 하면서 더욱 더 몸이 좋아졌다. [[https://imgur.com/IkEtG6z|광전사와 같은 다리근육]]은 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717334&_rk=96k&page=1|(주)성욱]]이란 이름의 회사가 있다. 인천에 본사가 있는 철강, 금속 관련 전문 기업이다. 당연히 주성욱과는 아무 관계 없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성욱 15iem 우승.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성욱 15iem우승3.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성욱 14gsl1 우승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성욱 16gsl1 우승.jpg|width=100%]]}}} || * 우승 세리머니를 멋있게 하기로 유명하다. 특히 2015년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에서 우승을 한 뒤 보여준 조명 속의 트로피 키스와 한 손으로 트로피 번쩍 들기가 자주 언급된다. * 스타2 외에 즐겨하는 게임은 [[카트라이더]]로, 개인 방송에서도 플레이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이를 처음 본 팬들은 주성욱의 이미지와 많이 다른 게임이라는 점에 신기해하면서도 생각보다 잘해서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카트라이더 닉네임이 '''논현동체리'''로 밝혀지면서 ‘어떻게 그 근육에 체리’등 이미지와 정반대인 닉네임을 재밌어하는 반응이 있었다.[* 닉네임을 지을 때 사는 지역과 먹고 있던 음식을 합쳐서 지었다고 한다. 현재는 닉네임을 변경했으며, 공개는 하지 않겠다고 하였다.[[https://youtu.be/poAdSINB6pI|#]]][* 참고로 카트라이더 전 프로게이머였던 [[조성제]]와 친분이 있다. 조성제 결혼식에도 초대 받았을 정도면 꽤나 친한 사이인 듯.] * 베스킨라빈스에서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 민트초코를 즐겨먹는다고 한다. *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의 말에 따르면 겉으로만 보면 진중하고 엄근진한 성격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장난도 잘 치고 웃긴 성격이라고 한다. 해외 리그에서 귀국하는 길에 한국 음식이 그리운 변현우에게 새우깡을 나눠주었다고 한다. --다시 내놔요-- [[https://gall.dcinside.com/m/sc2/1030235|#]] * 혼자 삭이는 성격이라고 한다. 그래서 [[2022 HOT6 GSL Season 1]]에서 20강 탈락한 이후 집에서 혼자 많이 열받아했다고 한다. === [[SKT T1]] 슬레이어 === * KT 이적 이후 2014년, [[우정호]]의 뒤를 이어 T1 슬레이어의 자질을 보이고 있다.[* 우정호의 생전 소속팀이 KT 롤스터였고 주 종족도 프로토스였다. 그런데 우정호는 T1선수들에게 상대전적이 앞서기는 하지만 2:1아니면 1:0으로 앞서기에 슬레이어라는 별명을 받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다만 명장면을 만들거나 결정적인 순간에 승리했기 때문에 슬레이어 이미지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나와있으나 프로리그 기준으로 T1상대로 전승을 달렸기에 T1슬레이어라는 별명이 붙은 것.] 사실 원래는 말기 폭스의 전통대로 T1에 매우 약한 선수였다. 이미 언급한 대로 폭스에서는 T1에게 하루 2패를 당하기도 했고, KT로 넘어와서도 2013년까지는 T1 선수들에게 많이 졌다. 폭스 시절까지 합해서 [[김택용]]에게 2승 4패, [[도재욱]]에게 1패, [[정윤종]]에게 2패, [[어윤수]]에게 1승 3패 등. 하지만 T1의 밥이라고 놀려대기에는 전적이 적은 편이었고, 2014년 들어서는 오히려 엄청난 전적을 쌓아가며 T1의 앞길을 막는 자가 되었다. 프로리그 1라운드 결승전에서 선봉으로 올킬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2014년 4월 30일 기준으로 이 해에만 [[어윤수]]에게 8승 5패,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4승 1패, 원이삭에게 7승 3패, [[정윤종]]에게 5승 2패, [[박령우]]에게 2승을 얻었다. 저 패도 다 개인리그 다전제에서 이기면서 내준 거라 2014년 프로리그와 개인 리그를 합해 무려 12연승을 쌓았다. 정윤종에게 프로리그에서 패배하며 연승은 끊겼다. * 그러나 [[조중혁]]에게는 상대전적 3:5로 밀리고 있고 2015 GSL 시즌3에서 [[이신형]]에게 1:3으로 패배하였다. 이후 [[2015 WCS Global Finals]]에서 [[이신형]]에게 0:3패배를 당했다. * 공허의 유산 2017년 10월을 기준으로 T1의 주요선수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2> 공허의 유산 || || 상대선수 || 스코어 || || [[어윤수]] || 25:20 || ||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24:13 || || [[박령우]] || 13:11 || || [[조중혁]] || 3:5 || || [[이신형]] || 29:31 || == 별명 == * '''주꾸''' : 제일 많이 쓰이는 별명으로 [[송병구]]의 별명인 조꾸를 변형시킨 것 * 주파고: 2016 GSL season 1 4강 경기에서 KT 롤스터의 류원 코치가 붙인 별명. 방송 중계진들이 자주 사용하는 별명이다. * 주판 : 2016년 8월, 개인리그 우승 이후, 정확히는 프로리그 상하이 결승 이후부터 경기력이 퇴화하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625800|스갤에서 비웃는 별명]]. * 주검 : 위의 별명에서 발전하여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677507&page=1&search_pos=-4646736&s_type=search_all&s_keyword=%EC%A3%BC%EA%B2%80|경기력이 퇴화된 주성욱을 까는 별명.]], 온풍미디어 관계자까지 알고 있을 정도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585711&page=1|공식]] 별명이다. * 주주장 : 2014 프로리그 2R부터 KT롤스터의 주장이 된 이후로 팀팬들이 주로 부르는 별명. 그러나 2016년 부터는 [[김대엽]]이 뒤를 이어 주장이 됐기 때문에 이젠 과거의 일이 되었다. * 킹슬레이어 : GSL에서 우승자들을 연달아 격파하며 결승에 진출하여 붙은 별명 * 주일진 : 날카로운 눈매와 근육진 몸매 때문에 일진처럼 생겼다며 붙은 별명 [[http://post.phinf.naver.net/20160602_216/loudcomm_1464802189035CLjFz_JPEG/mug_obj_146480219034743580.jpg?type=w1080|#]] ~~최근 스타리그에서도 밀고 있나보다~~ * 프프전기계 : 동족전에서 타이밍 판단, 교전 컨트롤이 기계같이 정확하다고 해서 붙은 별명 * 오락근육 : 프로게이머 답지 않게 근육이 발달했다고 해서 붙은 별명 * 2대 어카게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736137&page=1&exception_mode=recommend|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우깅♡ : 주성욱이 페이스북에서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에게 생일축하 인사를 남기자 저렇게 답글을 남겼다(...). * 딴딴몬 : [[백동준]]이 주성욱을 공유 원탑 토스로 치켜세우면서 삼성팀 내에서 주성욱은 게임도 몸도 딴딴해서 '''딴딴몬'''이라 불린다고.(...)[* 정작 주성욱 본인은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가 래더에서도 자신을 자주 이겼고, 백동준도 프로리그에서 자신을 이겼다면서 오히려 놀리는 거 같다고 밝혔다.] * [[에푸이토 즈쿠]] : 통칭 즈쿠상. 존 썬 이후 불어닥친 혐국드립으로 인해 생겨난 별명. 온라인대회에서 해외선수인 [[스누테|얀스 야스골드]]에게 3:0으로 패배하면서 혐국기믹이 붙었다. 성이 에푸이토인 이유는 툭하면 F2를 남발하기 때문에.. 주성욱 본인은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60539&page=1|재밌는 별명 이라고 평했다.]] * [[이명학]] : 생김새가 매우닮았다. ~~목소리 좋은것도~~ * 대 성 욱,빛 성 욱,황 성 욱 : 주성욱이 무려 MMR 7052점으로 래더 1위를 기록하였지만 개인리그에서는 양대리그 예선으로 추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스타크래프트 2 갤러리에서 사용되는 밈, 이영호의 별명 ㅇㅅㄱ과 같은 용례로 사용되는 중이다.[* 그의 MMR을 따서 갑자기 좋은 결과를 보여줄 때 "시즌 7052호 부활" 이라는 드립도 종종 쓰인다.] ~~스슬 우승자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2_new&no=1152156&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D%8C%8C%EC%9D%BC%EB%82%A0|주랜드 파일날]]에서 최종전을 치룬다 카더라.. ~~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2_new&no=1160721&page=1|지보욱]] * 주 무 심: 해외 온라인대회를 무단으로 지각하여 지각욱이란 별명이 생겼는데, 이후 무려 슈퍼토너먼트 예선을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150569&exception_mode=recommend&page=1|지각]] 몰수패를 당하며 팬들의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150606&exception_mode=recommend&page=1|비난]]을 받고있다. 이 때문에 파생된 별명이 주 무 심. 2019년 1월 28일 [[https://liquipedia.net/starcraft2/OlimoLeague/2018/Winter|올리모]] 리그 윈터파이널 4강에서도 맵 비토까지 다 해놓고 경기 전 연락두절로 몰수패를 당하며 다시 한번 워크에씩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전날 참여한 팅 오픈 시즌5 대회가 새벽 4시에 끝났고 경기 당일 GSL 프로필 촬영 등이 있어 컨디션 조절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542091&page=1|짤방]]으로 제작되었다. * 저막욱:주성욱의 저막 기질이 심할 때 붙여진 별명 2019 시즌도 결국 중요한 순간에서 저그전이 발목을 잡고 말았다. * 주님: 어윤수의 어(느)님 같이 종교적인 의미의 별명은 아니지만 성씨가 성씨다 보니 구세주느낌이 나는 별명이 되었다. 대 성 욱과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된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53988&page=7&exception_mode=recommend|물 위를 걷기도 한다]]~~ * 대한통욱 : IEM 카토비체 2019에서 [[https://gall.dcinside.com/m/sc2/274419|트로피 셔틀]]을 하면서 붙은 별명. 이후 [[https://youtu.be/9KrG27pjAoY?t=1372|주썬머 합방]]에서 밝히기로는 전태양이나 이병렬은 느낌이 살지 않을 것 같아 주성욱에게 시킨 것이라고 한다. --??? : 내가 병렬이랑 동급이라고요?-- 여담으로 IEM 카토비체 2020에서는 어윤수가 할 예정이었어서 대한통수 된다고 놀렸으나 결국 하지 않았다고 한다. * 주트: 2019 GSL 시즌1에서 김대엽과 나란히 32강에서 광탈하면서 붙은 별명[[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260054&s_type=search_all&s_keyword=%EB%A8%B8%ED%8A%B8%EC%99%80%20%EC%A3%BC%ED%8A%B8&search_pos=-259239&page=1|#]]~~정작 저 짤은 주성욱 탈락 확정 전에 만들어졌다~~ * 주원균: 2019 12월 17일 올리모리그에서 주성욱이 역대급 발교전으로 두번이나 스카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522342&page=1|병력]]을 날려먹으며 생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522349&page=1|별명]]. * 공2업다크 : 2020 GSL 시즌1 4강 원이삭vs전태양 경기 때 중계방에서 공2업 암흑기사 예찬론을 펼치면서 붙은 별명. 주성욱은 공2업 다크면 불곰도 두방컷이라며 공2업 다크가 좋다고 역설을 했으나, GSL 4강이 있던 당일 온라인 리그에서 이신형에게 아무것도 못해보고 패배하면서 주검이나 주무심급의 멸칭이 되어버렸다.[[https://gall.dcinside.com/m/sc2/636811|#]][[https://gall.dcinside.com/m/sc2/636935|#]] 그러나 전태양이 대회 후기에서 실제로 주성욱의 공2업 다크에 고전했다고 밝힌 것과 TSL 4강에서 주성욱이 암기 운영으로 전태양을 3:0 셧아웃 시켜버리며 여론이 반전되었다. 그리고 이후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2]]에서는 내로라 하는 테란 '''모두''' 공업 암기+분열기 콤보에 나가 떨어지면서 선견지명이 되었다![* 시즌 2 테란의 대 토스전 공업 암기 대상 승률은 '''0%'''] 심지어 이 때문에 결국 5.0.9 패치에서 '''직접적으로 점멸암기가 철퇴를 맞았다.'''--말 한마디로 블리자드를 움직인 자-- == 관련 문서 == * [[e스포츠 관련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92년 출생]][[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2009년 데뷔]][[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