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국-대만 관계)] [include(틀: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3>
[[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50px]][br] {{{+2 {{{#ffffff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br]{{{#ffffff 駐台北韓國代表部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Taipei_World_Trade_Center_International_Trade_Building_20090617.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110台北市信義區基隆路一段333號, 너비=100%, 높이=100%)]}}} || || '''소재지''' ||<-2>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통상적으로 본국과 주재국의 국기가 동시에 게시되는 것과 달리 대만 대표부 홈페이지에는 태극기만 있고 [[청천백일만지홍기|대만 국기]]가 없다. [[홍콩|홍콩 특별행정구]]의 구기를 게시한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홍콩 총영사관]]과 [[팔레스타인]]의 국기를 게시한 [[주 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팔레스타인 대표부]] 홈페이지와는 대조적이다.] 333, Section 1, Keelung Road,[br]Xinyi District, [[타이베이|Taipei]]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대표''' ||<-2> 이은호 || || '''상급기관''' ||<-2> [[파일:외교부 MI.svg|width=30]][[외교부|대한민국 외교부]] || || '''홈페이지''' ||<-2> [[http://overseas.mofa.go.kr/tw-ko/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SNS''' ||<-2> [[https://www.facebook.com/%E9%A7%90%E5%8F%B0%E5%8C%97%E9%9F%93%E5%9C%8B%E4%BB%A3%E8%A1%A8%E9%83%A8-%EC%A3%BC-%ED%83%80%EC%9D%B4%EB%B2%A0%EC%9D%B4-%EB%8C%80%ED%95%9C%EB%AF%BC%EA%B5%AD-%EB%8C%80%ED%91%9C%EB%B6%80-335569647098660|[[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페이스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이 [[대만]]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전신이다. 일단 [[하나의 중국]] 문제로 인해 타국의 대사관과 동급이기는 하지만 대표부라는 이름을 달고 활동한다.[* 엄밀히 따지면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에 규정되지 않은 비직제 조직으로, 공식적인 외교 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외교 공관으로 인정되며 여타 공관처럼 외교부 소속 외교관들이 근무한다.[[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9%B8%EA%B5%90%EB%B6%80%EC%99%80%EA%B7%B8%EC%86%8C%EC%86%8D%EA%B8%B0%EA%B4%80%EC%A7%81%EC%A0%9C|#]]] == 외교공관으로서의 지위 ==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라는 명칭에서 드러나듯이 '대사관'이 아니라 '대표부'이므로 다른 여타 대사관에 비하면 명목상 지위가 낮은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중국공산당|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요구인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1992년 [[대한민국|한국]] -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수교와 동시에 [[대한민국|한국]] - [[대만|중화민국]] 국교 단절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주타이베이 대표부는 [[대한민국 외교부|외교부]] 직속이며 주타이베이 한국 대표부장은 차관급 대사와 같은 직위의 외교관이며 [[대만]] 내에서 영사 업무, 정무 업무를 하고 있으며 사실상 대사관과 같다. == 역사 == 1882년 [[조선]]과 [[청나라]]가 외교를 맺었으나 [[청일전쟁]] 이후 단절되었고 [[을사조약]]으로 관계가 끊겼다. 후에 청나라마저 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했고, 1948년에 한국과 중화민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부터 [[이웃나라/좋은 사이|가까운 관계]]를 가졌으며 1949년에 정식으로 국교를 체결했다. 하지만 당시 [[중국 대륙]]에서는 [[국공내전]]이 진행 중이었고, [[국가행정조직/대만|중화민국 정부]]는 [[중국공산당|중공]]에 세가 밀리고 있었다.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국가행정조직/대만|중화민국 정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화민국]] 관할로 반환받은 대만으로 [[국부천대|대피]]했고, 한국 대사관도 [[난징시|남경]] - [[광저우시|광주]] 그리고 최종적으로 [[타이베이시|대북]]으로 대피했다. 당시 한국 대사관의 이동거리는 1만 킬로미터에 이른다. [[국부천대]] 이후에도 한국은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지속했고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1992년까지 주중대사관이나 주중대사라 하면 타이베이에 있는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과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를 말하는 것이었다. 당시는 [[대한민국 국군|국군]]의 퇴역 장성들이 주요 요직을 차지하던 군사정권 시절이라 주중대사는 예비역 대장들이 가는 자리라는 인식이 강했다. [[백선엽]]과 [[김신]][* [[김구]] 선생의 장남이며 [[김구|아버지]]와 [[장제스]]와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다보니 신임장을 수여받을 때도 [[장제스]] - [[장징궈]] 부자가 우리는 [[김신]]을 [[외교관|외부인]]이 아닌 동지로 여긴다고 했다.] 등이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를 거쳤다. [[대만|중화민국]]이 주요국과 수교가 끊기면서 주중대사는 대만에서 거의 국빈 대접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냉전]] 종식의 물격 속에서 [[독일 재통일]], [[동유럽 혁명]] 및 '''[[소련 해체]]'''라는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면서 [[한중관계|한중수교]]를 시작하게 되고, [[대만|중화민국]]과의 공식적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양안관계|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단교하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한국-대만 관계|외교관계]]를 단절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듬해인 [[1993년]] 양국이 따로 협정을 맺어 대표부를 설립하게 되었고, 이중 한국이 대만에 세운 것이 바로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이다. 반대로 대만이 한국에 세운 것은 [[서울특별시|서울]]에 있는 [[주한국대만대표부]]과 총영사관 포지션인 [[주한국대만대표부]] [[부산광역시|부산]] 사무처이다. === 역대 대사 / 대표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4> '''주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 || ||<|4> [[이승만 정부]] || 특파대사 || 정환범 || 1948년 11월 27일 ~ 1949년 2월[* 1949년 1월 4일 한국-중화민국 수교] || || 초대 || [[신석우]] || 1949년 8월 10일 ~ 1950년 4월 2일[* 1949년 12월 7일 [[국부천대]]] || || 2대 || [[이범석]] || 1950년 12월 6일일 ~ 1951년 9월 21일 || || 3대 || [[김홍일(군인)|김홍일]] || 1951년 10월 27일 ~ 1960년 6월 2일 || || [[장면 내각]] || 4대 || [[백선엽]] || 1960년 7월 26일 ~ 1961년 7월 5일 || ||<|4> [[박정희 정부]] || 5대 || [[최용덕]] || 1961년 7월 5일 ~ 1962년 7월 14일 || || 6대 || [[김신]] || 1962년 9월 8일 ~ 1970년 12월 26일 || || 7대 || [[김계원]] || 1971년 2월 3일 ~ 1978년 12월 21일 || || 8대 || [[옥만호]] || 1978년 12월 21일 ~ 1981년 5월 30일 || ||<|2> [[전두환 정부]] || 9대 || [[김종곤]] || 1981년 7월 25일 ~ 1985년 4월 11일 || || 10대 || [[김상태(군인)|김상태]]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7월 12일 || ||<|2> [[노태우 정부]] || 11대 || [[한철수]] || 1988년 7월 12일 ~ 1991년 7월 18일 || || 12대 || 박노영 || 1991년 7월 18일 ~ 1992년 8월 22일[* 한중수교에 대한 대만의 단교] || ||<-4>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 || ||<|2> [[문민정부]] || 초대 || 한철수 || 1993년 11월 ~ 1995년 12월[* 11대 주중화민국 대사 역임] || || 2대 || 강민수 || 1996년 2월 ~ 1999년 2월 || ||<|2> [[국민의 정부]] || 3대 || 윤해중 || 1999년 2월 ~ 2002년 2월 || || 4대 || 손훈 || 2002년 2월 ~ 2004년 2월 || ||<|2> [[참여정부]] || 5대 || 황용식 || 2004년 3월 ~ 2006년 2월 || || 6대 || 오상식 || 2006년 2월 ~ 2008년 9월 || ||<|2> [[이명박 정부]] || 7대 || 구양근 || 2008년 9월 ~ 2011년 9월 || || 8대 || 정상기 || 2011년 10월 ~ 2014년 4월 || ||<|2> [[박근혜 정부]] || 9대 || 조백상 || 2014년 4월 ~ 2016년 11월 || || 10대 || 양창수 || 2016년 11월 ~ 2019년 4월 || ||<|2> [[문재인 정부]] || 11대 || 강영훈 || 2019년 4월 ~ 2021년 12월 || || 12대 || 정병원 || 2021년 12월 ~ 2023년 2월 || ||<|2> [[윤석열 정부]] || 13대 || 이은호 || 2023년 2월 ~ || ==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타이베이 버스]] 棕6 * 타이베이 버스 棕7 * 타이베이 버스 棕18 * 타이베이 버스 綠1 * 타이베이 버스 藍5 === [[철도]] === * [[파일: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아이콘.svg|width=20]]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 [[타이베이 101/세계무역센터역]] == 기타 == * [[주한국대만대표부]] * 타이베이 한국학교 * [[한국-대만 관계]] * [[대한민국 임시정부]] [[분류:대한민국 외교부]][[분류:한국-대만 관계]][[분류: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분류:타이베이시]][[분류:1948년 설립]][[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관공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