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내의 외교공관)] ||<-2> [[파일:베트남 국장.svg|width=9%]] [br] {{{+1 {{{#ffff00 '''주대한민국 베트남 대사관'''}}}}}}'''[br]'''{{{#ffff00 '''Đại sứ quán Việt Nam tại Đại Hàn Dân Quố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한베트남대사관.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주한베트남대사관, 너비=100%, 높이=100%)]}}} || || {{{#ffff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 || || {{{#ffff00 '''업무 시간'''}}} || '''월~금요일: 오전 9:00~오후 5:30''' || || {{{#ffff00 '''상급기관'''}}} || '''베트남 외교부''' || || {{{#ffff00 '''공관장'''}}} || '''부 호 (Vũ Hồ)''' || || {{{#ffff00 '''홈페이지'''}}} || [[https://vnembassy-seoul.mofa.gov.vn/en-us/Pages/default.aspx|[[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홈페이지가 영문 판과 베트남어 판만 존재하며 한국어 판 홈페이지는 아직 개설하지 않았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세운 외교공관. == 역사 == * 참조: [[한국-베트남 관계]] 한국과 베트남이 직접 교류한 것은 [[고려]] 시대나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상당히 먼 거리와 중국 및 왜구의 방해 등으로 인해 두 나라는 교류를 지속하기 힘들었고 1800년대 이후 두 나라가 각각 [[프랑스]]와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2차 대전 이전에는 한동안 직접적인 국가 간 교류가 없었다. 두 나라가 직접 교류를 하게 된 것은 2차 대전 이후 서로 독립을 하게 된 이후부터였다.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같은 분단국가였던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을 우선 수교국으로 지정한 후 1956년 국교를 수립했다. 반공을 내세운 당시 대한민국은 당연히 [[북베트남]]([[베트남 민주 공화국]])과는 적대적일 수 밖에 없었으며 그 때문에 북베트남은 북한과만 교류를 했고 남한(대한민국)과는 한동안 수교를 하지 않았다. 남베트남과 대한민국은 각각 수도인 [[사이공]]과 [[서울]]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면서 대한민국은 남베트남에 대규모의 병력을 파견하였다. 1973년 파리 평화협정으로 인해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을 돕던 [[한국군]]은 철수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국교를 유지해오다가 1975년 베트남이 완전히 공산 통일되면서 국교가 자연스럽게 단절되었다. 북베트남과 같은 공산진영 국가로서 원래부터 교류해오던 북한과는 당연히 공산통일 이후에도 교류를 지속하였다.[* 다만 1970년대 말에 [[중국-베트남 전쟁]]에서 북한이 중국 편을 드는 바람에 한동안 관계가 소원해지기도 했다. 단교까지 하지는 않았지만.] 그러다가 베트남이 공산통일 이후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비효율성과 서방세계(특히 미국)의 경제제재 등으로 지속적인 경제난을 겪으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개혁개방 정책(이른바 '[[도이모이]]' 정책)을 펼치게 되고 한국도 [[노태우]] 대통령이 '북방정책'을 통해 공산권과의 교류를 시도하면서 두 나라 사이에는 국교 재개에 대한 논의가 오고 갔다. 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베트남은 다른 대부분의 공산권 국가들(북한, 쿠바 등 제외)과 함께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며 마침내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12월에 국교를 다시 수립했다. == 건물 및 위치 ==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2021년 11월 신축 완공) 과거 남베트남의 대사관은 용산구 독서당로 99(한남동 33-1번지)에 마련하고 있었다. 남베트남이 패망한 뒤에는 한국 정부가 관리했다. 북베트남(통일 베트남)이 한국과 수교한 뒤엔 종로구에 있던 남베트남 대사관 관저 부지에 대사관 시설을 추가로 마련하여 그곳을 대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남동의 옛 남베트남 대사관 건물은 대사관 직원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좋지 않다. 연계 대중교통 수단은 마을버스인 [[서울 버스 종로02]] '''단 하나 뿐'''이다. 이 버스를 타면 1호선 [[종각역]]과 3호선 [[안국역]], 5호선 종로3가역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이 노선은 오전 특정 시간대(주로 아침 1교시 시작 전)에는 등교하는 성균관대 학생들로 북적이니 해당 시간대에는 이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대사관에서 서쪽으로 좀 떨어져 있는 곳에 [[서울 버스 종로11]]이 정차하기는 하지만 종로11번 정류장에서 대사관까지 가는 길이 오르막길인데다가 거리도 종로02번 정류장보다 더 멀어 불편하다.[* 증축 공사 때문에 해당 부지는 잠시 철거가 된 것 같다.] === 부속시설 === 영사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광주와 안양에 명예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대사관 부속의 상무부 시설도 존재하고 있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50 (충정로3가, 골든브릿지빌딩) * 안양명예영사관 위치: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27(호계동 1026-6) * 광주명예영사관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 87(서동 112) == 대사 == 현직 대사는 부 호(Vũ Hồ)다. 그는 2024년에 부임했다. == 관광청 == * 위치: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77(화양동 111-159) [[http://vietnamtourism.or.kr/|#]] 2017년 [[르언 쑤언 쯔엉]]의 [[강원 FC]] 입단식 행사를 치룬적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외교]][[분류:베트남의 외교]][[분류:한국-베트남 관계]][[분류:외교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