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竹溪日記. [[조선]] [[선조(조선)|선조]] 대의 문신인 조응록(趙應祿, 1538년 ~ 1623년)이 [[임진왜란]]이 벌어진 1592년 11월부터 1615년 12월까지 약 24년 동안 쓴 관직[[일기]]. 총 17권 8책이다. == 내용 == 저자인 조응록은 선조 6년인 1573년에 [[진사]]로, 1579년에 병과로 급제한 인물로 임진왜란 때 [[함경도]]로 피난을 떠나는 세자를 호종하였고 난이 끝난 후 공을 인정받아 풍녕군(豊寧君)에 봉해졌다. 죽계일기는 조응록이 선조 25년인 1592년 11월부터, [[광해군]] 7년인 1615년 12월까지 약 24년간 매일의 일상을 기록으로 남긴 일기로, 24년 동안 저자가 관리로 봉직하면서 겪은 여러가지 일과 인사왕래, 당시의 시정 등을 자세히 기록한 것이다. 죽계일기와 자주 비교되는 [[계암일록]]의 경우 개인적인 사가(私家) 주변의 일을 많이 기록한 반면, 조응록의 죽계일기는 왕실 주변의 일과 국왕을 중심으로 한 고위 관료들의 동정 등을 많이 기록하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과 형식이 흡사하고 내용 또한 많은 부분이 중복되고 있다. 그런데 간혹 실록에는 없는 기록이 이 일기에는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선조 ~ 광해군 대의 우리나라 정치사를 비교 연구하는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죽계일기 원문을 한국사료총서 35집으로 발간하였고, 1999년에 한서대학교부설 동양고전연구소에서 번역하여 국역본 2권을 발간하였다. == 외부 링크 ==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a&setId=529037&position=1|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료총서 제35집 죽계일기 간행사]],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sa_069|죽계일기 원문]]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76264398|교보문고 : 국역 죽계일기(상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3683&cid=49303&categoryId=49303|문화원형백과 : 고 문헌 속 옹기 - 죽계일기]] [[분류:조선의 일기]][[분류:개인 소장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