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visitvineyards.com/090210-ALL-ALL-book_1001_foods_theodora_sutcliffe.jpg|width=400]] [목차] == 개요 == 세계 각국에 있는 재료들을 종류별로 모은 [[음식]] 재료 소개 책. 대부분 조리되기 전의 식재료를 설명하지만, 후반부의 [[디저트]]나 [[빵]] 부분을 보면 완성품도 설명한다. == 상세 == 1001 XXX you must ㅇㅇㅇ before you die의 제목으로 출판되는 1001 Before You Die(한국에서는 [[1001 시리즈]]) 시리즈중 하나이다. 이외에 들어야 하는 노래 1001곡[* 한국에서는 팝송으로 번역되었다.], 들어야 하는 앨범 1001, 읽어야 할 책 1001권, 플레이 해야 할 비디오게임 1001개,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영화는 호러영화, SF 영화, 갱스터 영화, 전쟁영화 등 별도 책들도 있다. 이쪽은 1001은 아니고 101편 구성.], 봐야 하는 코믹스, 돌아야 하는 골프 홀, 봐야 하는 건물, 봐야 하는 회화, 마셔야 하는 와인, 맥주 등이 출간되어있다. 엄청나게 다양한 시리즈. 상당히 많은 작가들이 모여서 집필한 책으로, 사진들이 꽤 좋은 화질로 나오다보니 재료만 보는 것만으로도 ~~[[위꼴사]]~~입맛이 자극된다는 독자들도 있을 정도. 요식업, 특히 양식을 주로 배우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할 서적. 온갖 식재료에 대한 상식부터 용법, 어울리는 식재 등 많은 정보를 한 권에서 얻을 수 있다. 내용이 내용인지라 한페이지에 두 개씩 소개하는데도 두께는 사전 수준이다.거기에 똑같은 재료라도 종류별로 설명한 게 있어서 뒷부분의 [[ㄱㄴㄷ순]]으로 재료 찾기는 별 도움이 안되고 앞페이지의 색인이 검색에 더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만 먹을거라 생각하는 재료가 의외로 세계적으로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어]]는 [[프랑스]]에선 삶아서 소스를 얹어 먹는다거나, 애저(새끼돼지)요리도 [[필리핀]], [[포르투갈]] 같은 여러 나라에서 먹는다고 되어 있다. [[무청]]도 주 재료는 아니지만 유럽지역에서 종종 먹는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한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지 않았던 건지 [[미역]]을 얘기하면서 한국과 일본 근해가 원산이라고 소개하면서도 먹는 방법은 일본의 경우만 소개한다거나 [[김(음식)|김]]을 설명할 때에도 일본 얘기만 나온다. 그밖에도 [[곶감]]을 하치야 감이라 소개하고 [[동아]](동과:冬瓜)는 동남아쪽에서 먹는다는 말은 있어도 한국에서 먹었다는 말은 없다. 뭐 동아가 한국에서는 잊혀진 재료이긴 하지만. 특히 압권은 [[홍어]]에 대한 설명인데,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홍어는 먹을 수 없을 만큼 상한 홍어니 절대 먹지 말라'''고 설명한다.(...) 그도 그런 게 한국에서 삭혀 먹는 것은 [[발효]]이다. 발효랑 부패랑은 다르지만 발효하여도 암모니아는 발생하는 점이다. 그래도 [[김치]]에 대해 설명할 때 [[김치냉장고]]까지 언급하는 것을 조면 나름대로 조사를 한 모양이다. 또 [[쑥갓]] 얘기를 하면서 일본의 국화(國花)인 [[국화]](菊花) 얘기를 한다. 국화는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꽃일 뿐, 일본은 법적으로 제정된 국화가 없다. 벚꽃 또한 민간에서 사랑받는 꽃일뿐 국화가 아니다. 사실 중국 음식과 일본 음식은 구미권에 수십~수백년간 알려져 있었기에 인지도가 더 높긴 하지만 세계의 음식 재료를 집대성한다는 의미로 쓰인 걸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분류:1001 시리즈]][[분류:594 식품과 식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