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론]] [include(틀:조선의 붕당)] [include(틀:소론)] == 개요 == [[경종(조선)|경종]] 즉위 후 형성된 중립파로 형성되었으나, 진정한 강경파가 사리지고 난 후 상대적 강경파로 취급되었다. == 상세 == 경종조 주류 세력 [[소론]] 내에서는 [[노론]]의 처벌과 [[남인]]의 등용 문제를 둘러싼 견해차로 인해 완소(緩少)와 급소(急少), 준소(峻少) 등으로 나뉘었다. [[완소]]는 적대관계였던 [[영조]]의 [[탕평책]]에 적극 동조하는 지지파로 입장을 바꾼 것과 달리 준소는 영조조에도 여전히 [[경종(조선)|경종]]과 관련된 [[소론]]의 원래 의리를 지키며 활동하였다. [[숙종(조선)|숙종]]조 초 [[서인]] 내에서 [[산당(붕당)|산당]], [[한당(붕당)|한당]], [[원당(붕당)|원당]]과 [[낙당]]이 다시 [[노론]]과 소론으로 정리되었다. 이후 [[경종(조선)|경종]] 1년인 1721년과 2년 1722년에 있었던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처리를 두고 [[소론]] 내에서 내분이 생겼다. 이는 적대 관계이자 상대당인 [[노론]]의 처벌을 둘러싼 입장차에서 비롯되었다. 즉 [[노론]] 자체에 대해 강경파 스탠스를 유지하는 급소(急少)로, 처벌 대상을 [[노론]] 주모자로 한정하자는 주장과 함께 급소의 맹주인 김일경(金一鏡)에 대해 비판적인 인사들이 완소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들 대결 구도에서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던 세력들이 준소라 분류되었다. 준소는 이후 [[남인]] 인사 중 한 명인 [[심단]](沈端)의 등용을 둘러싸고 급소와 대립하며 완소와 뜻을 같이하였다. 즉 완소 측에서 심단에 대해 늙고 쓸모없다며 그의 등용을 반대하자, 준소는 이에 동조하였다. [[소론]] 내 세력 가운데 급소는 경종조 신임옥사 이후부터 [[영조]] 즉위 바로 직후까지 국정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영조]]조 초반 [[노론]]의 진출이 본격화되며 진출이 차단되고 사실상 사라졌다. 반면 중도 스탠스를 취한 완소와 준소는 정치에 참여하였다. 완소는 영조조 탕평 형성의 핵심 세력 역할을 하였으나, 준소는 여전히 소론의 정치 의리를 지키며 소론의 한 분파로 존재하였다. 이렇듯 원 신념을 지키며 상대적 강경파에서 진짜 강경파로 바뀔 무렵, [[이인좌의 난]]이 터지며 사실상 사라지고, 일부 유림과 유생은 완소로 전향했다. == 주요 인물 == * ''[[이광좌]]'' ?[* 완소 계열이나 사실상 모든 [[소론]]을 대표했기에 기재.] * [[심수현]] [* [[강화학파]]의 핵심인물로 아들 대사헌 심육(沈錥)도 소론 산림으로 강화학파의 핵심인물이었고, 외손자 대제학 홍양호(洪良浩)도 강화학파의 핵심인물이었다.] * 조태구(趙泰耈) * 최석항(崔錫恒) * 이태좌(李台佐) * ·조태억(趙泰億) * 김상성(金尙星) * 이종백(李宗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