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muwiki: umuthi olwazi esiwumilisayo sonke.''' >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기르는 지식의 나무''' ||<-2> {{{+1 '''isiZulu'''}}} || ||<-2> {{{+1 '''줄루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br][[레소토]], [[말라위]], [[모잠비크]], [[에스와티니]]''' || || 원어민 ||'''약 1,200만 명''' || || 어족 ||'''[[니제르콩고어족]] [br] 애틀랜틱콩고어파 [br] 볼타콩고어군 [br] 베누에콩고어 [br] [[반투어군]] [br] 줄루어''' || || [[문자]] ||[[로마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 ||'''ZU''' || ||<-2> '''주요 사용 지역'''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6px-South_Africa_2001_Zulu_speakers_proportion_map.svg.png|width=186]] [br] 초록색: 줄루어가 다수 언어 [br] 연두색: 줄루어가 소수언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주로 콰줄루나탈주에서 사용된다. 줄루어로는 isiZulu라고 하는데, 참고로 줄루인 한 사람은 umZulu, 줄루족은 amaZulu, 줄루족의 나라는 kwaZulu라고 한다. 바로 옆동네에서 쓰이는 [[코사어|코사(Xhosa)어]][* 정확히 말해선 xh는 흡착음이지만 한글로 적을 방법이 없어 일반적으로 코사라고 적는다. 억지로 적을려면 쯛호사 정도 되겠다. ]나 [[에스와티니]]에서 쓰이는 [[스와티어]](siSwati)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반투어 중 하나이다. 제1언어로 쓰는 인구는 1200만명 가량이지만 제2언어로 쓰는 인구는 1800만명 정도 된다.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구분이 있으나 한글로 표기할 땐 어째 무시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또한 [[코이산어족]]의 영향으로 [[흡착음]] c, q, x이 존재하는데 각각 이빨, 이빨과 입천장 사이, 입천장을 사용한다. 한글로 표시하면 각각 '쯧'[* [[치음#s-2.2.11|치 흡착음]]. 혀를 차는 소리. 한국어에서 "쯧쯧쯧..."하고 남을 걱정하거나 힐난할 때 쓰는 바로 그 발음이다.], '딱'[* [[치경음#s-2.15|치경 흡착음]]. 혀끝을 윗잇몸에 살짝 댄 다음, 힘을 주고 혀를 뒤로 강하게 끌어당기는 소리. 시계소리를 흉내낼 때 '똑딱똑딱'에서 '딱'을 세게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짝'[* [[치경음#s-2.13|치경 설측흡착음]]. 혀 옆구리를 어금니 쪽에 대고 혀를 차는 소리로, [[승마]]를 해봤다면 말을 몰 때 내는 소리의 발음이고, 혹은 아저씨들이 가끔씩 '내 그럴 줄 알았지' 정도의 의미에서 "끌끌"거릴 때 쓰는 발음(...)이다.] 정도에 해당한다. 또한 성조도 존재하나 글로 쓸 땐 성조를 일반적으로 쓰지 않는다. 어순은 SVO로 영어와 비슷한 어순을 띄고 있고 다른 반투어처럼 수많은 접사가 여기저기 붙는다. 명사는 15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동사 또한 변화된다. 줄루어를 기반으로 [[영어]]와 [[아프리칸스어]] 등이 뒤섞여 만들어진 [[https://en.wikipedia.org/wiki/Fanagalo|파나갈로]]라는 [[피진]] 언어도 있는데, 여러 인종이 함께 일하는 [[광산]] 등의 장소에서 사용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에서 [[하우사어]], [[스와힐리어]]와 함께 이 언어를 가르치고 있었다가 현재는 커리큘럼에서 사라져서 학부 과정에서 줄루어를 배울 수 있는 곳은 없다. 또한 줄루어는 한국에선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이다. 2022년 [[듀오링고]]에 줄루어 과정이 출시되었다. 무료로 학습할 수 있다. == 문자 == 영문 위키백과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영어]]처럼 한 글자에 여러 발음이 있는게 아니지만, 한국어에는 없는 이질적인 발음이 몇 있다. || '''문자''' || '''[[국제음성기호|국제 음성 기호]]''' || || a || /a/ || || b || /ɓ/[* [[내파음]] b.] || || bh || /b/ || || c || /ǀ/[* 우리가 흔히 아는 영어 "L"의 발음(설측음)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했듯 흡착음이다.] || || ch || /ǀʰ/ || || d || /d/ || || dl || /ɮ/[* 굳이 적자면 영어 "zl"과 비슷하게 들린다.] || || e || /e/ || || f || /f/ || || g || /g/ || || gc || /ᶢǀʱ/ || || gq || /ᶢǃʱ/ || || gx || /ᶢǁʱ/ || || h || /h/ || || hh || /ɦ/[* 유성음화 h. 한국어 "은행"의 ㅎ과 비슷하다.] || || hl || /ɬ/[* 굳이 적자면 영어 "sl"과 비슷하게 들린다.] || || i || /i/ || || j || /ɖ͡ʐ/ || || k || /k/, /ɠ/[* [[내파음]] g.] || || kh || /kʰ/ || || kl || /kx/ || || l || /l/ || || m || /m/, /mʱ/[* 예시) umama(/úmʱáːma/), 영어로 번역하면 "my/our mother"정도다.] || || mb || /mb/ || || n || /n/, /nʱ/ || || nc || /ᵑǀ/ || || ng || /ng/ || || ngc || /ᵑǀʱ/ || || ngq || /ᵑǃʱ/ || || ngx || /ᵑǁʱ/ || || nj || /ɳɖ͡ʐ/ || || nk || /ŋk/ || || nq || /ᵑǃ/ || || ntsh || /ɳʈ͡ʂ/ || || nx || /ᵑǁ/ || || ny || /ɲ/ || || o || /o/ || || p || /p/ || || ph || /pʰ/ || || q || /ǃ/ || || qh || /ǃʰ/ || || r || /r/ || || s || /s/ || || sh || /ʂ/ || || t || /t/ || || th || /tʰ/ || || ts || /t͡s/ || || tsh || /ʈ͡ʂ/ || || u || /u/ || || v || /v/ || || w || /w/, /wʱ/ || || x || /ǂ/ || || xh || /ǂʰ/ || || y || /j/, /jʱ/ || || z || /z/ || 유기비음인 /mʰ/가 발음하기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으나 "[[김해]]"를 발음할 때의 중간의 [ㅁㅎ]소리라 생각하면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니다. 또 부호가 붙은 흡착음은 흡착음과 그 부호에 해당하는 [[연구개음#파열|연구개 파열음]]을 동시에 발음하면 된다. (예: ǃʰ = kʰ + ǃ, ᵑǀʱ = ŋʱ + ǀ) 이는 흡착음을 조음할 때 연구개를 붙였다 떼기 때문이다. == [[한국어의 외래어/기타|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참조. == 들어 보기 == [youtube(w1e2r1DlE1k)] 라이온킹 초반을 장식하는 [[Circle of Life]]의 도입부 외침은 줄루어이다. ~~나주평야 발발이 치와와~~ 아래 영상은 Circle of life의 전체 가사를 줄루어로 부른 줄루어 버전이다. 라이온킹은 영어 외 여러 언어로 [[더빙]]이 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것은 줄루어 더빙으로, DVD와 Blu-Ray판 모두 줄루어 더빙이 삽입되었다. 위 영상은 2011년 출시된 다이아몬드 에디션(DE)에 삽입된 줄루어 더빙버전이다. * [[I Just Can't Wait to Be King]] : [[https://www.youtube.com/watch?v=6PQJcvMRYQo|#]] * [[Be Prepared]] : [[https://www.youtube.com/watch?v=jsD7kg3Y5io|#]] *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 [[https://www.youtube.com/watch?v=N_cUPmyCm5U|#]] [[분류:반투어군]][[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분류:짐바브웨의 언어]][[분류:레소토]][[분류:말라위의 문화]][[분류:모잠비크의 언어]][[분류:에스와티니의 문화]][[분류:개별 언어]][[분류:아프리카의 언어]][[분류:성조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