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 시애틀 출신 인물]][[분류:2010년 데뷔]] ||<-2>
[[파일:gdfdfgdggddf.png|width=100%]]|| || '''{{{#white 이름}}}''' ||'''줄리안 리카르도 둘리칸 이로사[br](Julian Ricardo Dulican Erosa)''' || ||<|2> '''{{{#white 생년월일}}}''' ||'''[[1989년]] [[7월 31일]] ([age(1989-07-31)]세)''' || ||'''[[워싱턴주]] [[시애틀]]'''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Julian-Erosa-71442 | 39전 28승 11패]]''' || || '''{{{#white 승}}}''' ||'''11KO, 12SUB, 5판정''' || || '''{{{#white 패}}}''' ||'''7KO, 4판정''' || || '''{{{#white 체격}}}''' ||'''185cm / 66kg / 190cm''' || || '''{{{#white 링네임}}}''' ||'''Juicy J''' || ||<|7> '''{{{#white 주요 타이틀}}}''' ||'''CageSport 페더급 챔피언''' || ||'''CageSport 라이트급 챔피언''' || ||'''SPL 페더급 챔피언''' || ||'''SPL 라이트급 챔피언''' || ||'''Prime Fighting 페더급 챔피언''' || ||'''Cage Warriors 페더급 챔피언''' || ||'''Cage Warriors 라이트급 챔피언''' || || '''{{{#white 기타}}}''' ||'''CageSport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 1회''' || || '''{{{#white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uicyj_erosa, 크기=24)] [[https://m.facebook.com/julian.erosa.7?hc_ref=ARQ2_tYw7Yi7pYDsQ2Fj4aTcJEaYwzo_9f4zDzPq1G5djpo8eKmaMOxXnsbE2u7wvrE&ref=nf_targ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julian_erosa?igshid=19es23g3rda1b|[[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UFC 페더급 종합격투기선수 == 전적 == * 주요 승: [[마르친 위조섹]], [[자말 에머스]], [[션 우드슨]], [[네이트 랜드베어]], [[찰스 쥬르댕]], [[스티븐 피터슨]], [[하킴 다우두]] * 주요 패: [[패디 핌블렛]], [[이시하라 테루토]], [[디본테 스미스]], [[그랜트 도슨]], [[훌리오 아르세]], [[최승우(종합격투기)|최승우]], [[알렉스 카세레스]], 페르난도 파디야 == 커리어 == 아마추어 전적 10승 무패를 기록하고 2010년 프로로 전향한다. 14승 2패를 기록했다. 2015년 9월 [[TUF]] 22에 [[유라이아 페이버]]팀 소속으로 출전해 3경기를 판정으로 승리를 거뒀으나 준결승전에서 [[아르템 로보프]]를 상대로 몰리다가 슬립 오버핸드 카운터를 맞고 넉다운당했고 후속 파운딩에 [[허브 딘]]이 스탑선언을 해 TKO패했다. 그래도 독특한 파이팅 스타일 덕에 UFC와 계약을 맺었고 TUF 22 Finale에서 [[마르친 위조섹]]과의 대결에서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하지만 UFC 196에서 [[이시하라 테루토]]를 상대로 들이대다가 체크훅을 맞고 넉다운당했고 후속 파운딩에 일어나지 못하며 넉아웃 패를 당하게 된다. 테루토전 이후 UFC에서 방출되었다. 이후 중소단체에서 6승 2패를 거두게 된다. 이 중 1패가 [[패디 핌블렛]]에게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한 것이다. 2018년 6월 18일 [[Dana White's Contender Series]] 11에서 [[자말 에머스]]와 맞붙었다. 초반 에머스의 카운터에 넉다운 당했지만 헤드킥으로 넉다운을 얻었고 이후 파운딩으로 역전 넉아웃으로 잡아내 다시 UFC에 돌아온다. UFC Fight Night 139에서 [[디본테 스미스]]와 맞붙어 넉아웃 패배를 당했다. UFC Fight Night 146에서 [[그랜트 도슨]]을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UFC Fight Night 152에서 [[훌리오 아르세]]를 상대로 들이댔다가 헤드킥을 맞고 넉아웃 패배를 허용했다. 3연패로 다시 방출된 후 중소단체에서 1승을 거뒀다. [[UFC on ESPN 12]]에서 [[션 우드슨]]의 원래 상대였던 [[카일 넬슨(종합격투기)|카일 넬슨]]이 비자문제로 이탈하자 대체자로 들어오면서 UFC에 또 다시 입성하게 된다. 초반 우드슨의 아웃파이팅에 고전했으나 점점 압박을 높여갔고 3라운드 바디락 테이크다운에 성공하고 일어나려는 우드슨의 앞목을 잡고 다스 초크로 탭을 받아냈다. UFC Fight Night 185에서 [[네이트 랜드베어]]와 맞붙어 초반부터 몰아붙이다가 플라잉 니로 넉아웃 승리를 거뒀다. UFC on ESPN 25에서 [[최승우(종합격투기)|최승우]]와 맞붙었다. 에로사의 압박이 먹히지 않았고 오히려 투-훅 콤비네이션으로 넉다운되며 TKO패를 당했다. UFC Fight Night 191에서 [[찰스 쥬르댕]]과 맞붙었다. 초반 쥬르댕의 킥에 고전했으나 라운드가 지날수록 에로사는 계속 압박하고 쥬르댕은 체력이 고갈되었다. 3라운드 더블렉 테이크다운 이후 일어나려는 쥬르댕의 앞목을 잡고 다스 초크로 탭을 받아냈다. [[UFC Fight Night 200]]에서 [[스티븐 피터슨]]과 맞붙었다. 계체날 당일 피터슨이 3파운드를 초과해 파이트 머니 일부를 받았고 경기를 치른다. 접전 끝에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고 파이트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고 피터슨의 계체 실패 패널티로 피터슨의 몫까지 챙겼다. 2022년 9월 10일에 열리는 UFC 279에서 [[하킴 다우두]]와 맞붙는다.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3연승을 달렸다. 2022년 마지막 대회인 [[UFC Fight Night 216]]에서 직전 경기 패배로 랭킹 아웃된 [[알렉스 카세레스]]를 상대한다. 이 경기에서 승리하게 된다면 4연승으로 랭킹 진입을 노려볼 수 있다. 하지만 1라운드에 헤드킥으로 TKO패 하면서 연승에는 실패했다. UFC Fight Night 223에서 신예인 페르난도 파디야에게 1라운드 KO패를 당하며 2연패를 당하였다. == 파이팅 스타일 == 강력한 체력으로 진흙탕 싸움에 능한 선수다. 체력이 상당히 좋아 1라운드부터 3라운드까지 움직임이 일정한 선수다. 그래서 1라운드부터 스탠딩 타격상황, 클린치, 그라운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여 상대의 힘을 빼놓은 다음 2, 3라운드에 피니쉬시키는 패턴을 갖고 있다. 상대가 뒤로 몰리면 헤드킥과 플라잉 니를 날리는 패턴도 갖고 있다. 클린치에 능하며 바디락 테이크다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클로즈드 가드에서 트라이앵글 초크와 암바를 적극적으로 노리고 스크램블 상황에서 일어나는 상대에게 앞목을 잡아 긴 팔을 이용한 다스 초크로 서브미션을 잡아낸다. 리드훅-크로스, 양훅같은 단순한 패턴을 갖고 있지만 펀치력이 상당히 강력해서 넉다운을 잡아낸 경우가 많다. 단점은 타격, 페더급에서도 최상급의 피지컬을 갖고 있으나 노가드로 뚜벅뚜벅 전진하며 싸우는 걸 선호한다. 핸드스피드가 빠르지 않고 훅 같은 횡방향 타격을 주로 선호하는 지라, 공격궤적도 크고, 패턴이 단순해 카운터를 자주 허용한다. 맷집도 강철턱이라 보기 힘들다. [[최승우(종합격투기)|최승우]]도 이러한 패턴을 잘 파악하고 깔끔한 투-훅 콤비네이션으로 에로사를 TKO시켰다. 이러한 약점들로 인해 초반 화력이 막강한 선수들에게 상당히 약한데 1라운드 KO/TKO가 많은 선수다. == 여담 == 2016년 결혼했다. 자신을 무신론자라 주장한다. 종합격투기를 시작하기전 스케이보드와 스노우보더를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