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中]][[溪]] / Junggye(Korean Bible Univ.)}}}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중 계'''}}}'''(한국성서대)'''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노원역|노 원]][br]← 1.2 km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14)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하계역|하 계]][br]1.0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중계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Junggye (Korean Bible Univ.) || || [[한자]] ||<-2><|2> 中溪 || || [[중국어]] || || [[일본어]] ||<-2> チュンゲ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308-1 ([[중계동]] 503-3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1996년 10월 1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발빠짐주의)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14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308-1 ([[중계동]] 503-3번지)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계역 안내도.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역이 있는 중계동에서 역명을 따 왔으며, [[중랑천]]의 중간지역이라는 뜻이다.[* [[http://www.nowon.kr/dong/sub/origin.jsp?dong_name=중계|중계동 유래, 중계1동주민센터]]] == 승강장 == [[파일:20190921_173847-2.1.jpg]] 중계역 승강장. [[마들역]]부터 [[노원역]], 이 역, [[하계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다. 승강장이 약간 구부러져 있다.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노원역|노원]]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하계역|하계]]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노원]]·[[마들역|마들]]·[[수락산역|수락산]]·[[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태릉입구역|태릉입구]]·[[상봉역|상봉]]·[[강남구청역|강남구청]]·[[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석남역|석남]] 방면||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아파트 택지지구이다. 중계역과 [[하계역]] 사이에 중계근린공원이 있으며, [[3번 국도]] 상에 있는 무지개다리 육교로 매우 유명하다. [[홈플러스]]나 2001아울렛 같은 할인마트, [[CGV 중계]]도 있는데 하계역에서 더 가깝다. 1, 6번 출구로 나가서 당현교라는 다리만 건너면 상계주공아파트 1, 4단지가 있으며,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과, 동부 적십자 혈액원, [[한국성서대학교]]가 있다. [[인천국제공항]]행 리무진 버스 정류장도 이쪽 방향 출구로 나가서 당현교를 건너면 바로 앞에 있다. 5번 출구로 나가서 [[녹천역]] 쪽으로 쭉 걸어가면 [[K4리그]] 팀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의 홈 경기장인 [[노원마들스타디움|마들스타디움]]이 있고 구 상계직업학교인 서울시북부기술교육원과 상이군경복지관,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이 있다. 또한 주변에 학교가 많아 대진여고, 서울아이티고 학생들이 얽혀서 등교한다.[* 그 때문인지 노원역과 석계역, 태릉역에서 학생들이 유독 많이 보인다.] 2017년 7월 14일부로 [[한국성서대학교|한국성서대]] 역명이 병기된다. 중계역 6번 출구 근처 대한적십자 동부혈액원옆 상가 건너편에 [[한국성서대학교]]도 있다. * 1번 출구: 마들종합사회복지관, 상수초등학교, 신상중학교, 한국성서대학교, 상명중.고등학교, 상명초등학교, 상계백병원, 중계주공1단지, 중계건영아파트, 상계중학교 * 2번 출구: 대진여자고등학교, 을지중학교, 을지초등학교, 청암중.고등학교, 중계목련아파트, 청암예술학교, 평화종합사회복지관 * 3번 출구: 당현지구대,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중계2,3동주민센터, 중원중학교, 청계초등학교, 중계3동우체국 * 4번 출구: 노원천문우주과학관, 노원구민의전당, 서울북부여성발전센터, 중원초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영어과학교육센터, 서울시중계노인복지관 * 5번 출구: 서울시북부기술교육원, 노원청소년수련관, 마들공원, 서울시립뇌성마비종합복지관, 서울시립상이군경복지관 * 6번 출구: 노원중학교, 당현초등학교, 대한적십자사 서울동부혈액원, 미도아파트, 상천초등학교, 상계주공1,2단지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2,279명 || || || 2001년 || 28,128명 || || || 2002년 || 29,379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9,329명 || || || 2004년 || 30,011명 || || || 2005년 || 30,854명 || || || 2006년 || 30,429명 || || || 2007년 || 29,886명 || || || 2008년 || 29,694명 || || || 2009년 || 29,433명 || ||}}}}}}}}} || || 2010년 || 29,933명 || || || 2011년 || 30,333명 || || || 2012년 || 31,442명 || || || 2013년 || {{{#747f00 32,008명}}} || || || 2014년 || 31,903명 || || || 2015년 || 31,493명 || || || 2016년 || 31,145명 || || || 2017년 || 30,462명 || || || 2018년 || 30,470명 || || || 2019년 || 31,006명 || || || 2020년 || 22,380명 || || || 2021년 || 명 ||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중계역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중계동]] 택지지구 한복판에 있는 역이다. 앞의 [[노원역]] 상권이 워낙에 발달하여 중계역 인근에는 이렇다할 상업지구가 형성되지 않았지만, 워낙 인구밀도가 높은 아파트 숲 사이에 있어 하루 평균 3만 명 이상이 중계역을 찾는다. 2000년까지는 7호선이 건대입구에서 끊겨서 승하차객이 지금처럼 많지 않았지만, 7호선이 완전히 개통되고 처음으로 이용객이 온전히 잡힌 2001년부터 지금까지 이용객의 큰 차이 없이 하루 평균 3만 명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주요 이용객은 역이 위치한 중계2·3동 주민들이다. [[당현천]] 옆에 역이 있는 관계로 하천 너머 상계6·7동의 상계주공1단지, 미도아파트, 상계백병원 및 [[한국성서대학교]]의 경우에도 중계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다. 반면에 같은 중계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중계동 학원가인 [[은행사거리]]에서는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왜냐면 [[한글비석로]]의 구조 때문에 이쪽에서 연결되는 버스들이 대부분 [[상계역]] 또는 [[하계역]]으로 가기 때문이다. 사거리 서쪽에서 탈 수 있는 [[1135]]번 버스만이 중계역으로 향한다. 학원가 쪽 중계본동, 중계1동 주민들은 이 역보다 하계역을 더 많이 찾고, 그 때문에 두 역의 승하차객은 거의 1만 명 가까이 차이가 난다.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서울 노원구의 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노원구의 건축물]][[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