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취업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중고신입이란 말 그대로 직장 경력이 있지만, 신입채용에 지원한 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대체로 3년 이내의 경력을 가진 근로자들이 더 높은 연봉이나 조건을 위해 경력을 포기하고, 신입에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경력자가 중고신입으로 지원할 경우 졸업 후 경력이 없는 이들보다 유리하지만, 면접에서 되레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 장단점 == === 장점 === * 이전 직장 경력을 토대로 더 규모가 크고 연봉이나 복지가 좋은 조건의 기업으로의 이직, 전직을 할 수 있다. * 회사에 대한 지나친 환상이나 기대가 없어 적응이 빠르며, 비즈니스 스킬이나 커뮤니케이션 태도가 확립되어 있다. * 직무 전문성이 중요한 기업의 경우 경쟁자에 비해 약간 스펙이 부족해도 직무 경험으로 상쇄가 가능하다. === 단점 === * 짧은 경력의 퇴사 사유를 잘 답변하지 못하면 끈기가 없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오히려 면접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직전 회사에서 익힌 잘못된 업무 습관이 새로운 회사의 신입으로 적응하는 데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 경력이 있는 신입이라 사수나 선배들의 기대치가 여타 신입사원보다 높다. == 팁 == * 직전 회사의 퇴사 사유를 잘 준비하자. 경력을 포기하고서라도 이 회사에 신입으로 지원하는 이유를 스스로 잘 정리해 면접관을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신입을 뽑는 것이므로 지나친 경력 부풀리기나 거만한 태도보다는 겸손한 태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 전 직장에서의 업무 경험을 자기소개서에 잘 녹여내 중고신입으로서의 강점을 확실히 어필하자. * 신입 공채의 경우 경력 이직에 비해 프로세스가 정형화되어 있는 편이다. 서류 통과 이후의 필기시험이나 면접 등의 과정도 틈틈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자. * 인사담당자들은 같은 직군과 직무에서 3년의 경력이 있으면 중고신입이 아닌 경력자로 인식한다. 중고신입을 노린다면, 경력 3년이 넘지 않은 시기에 지원하도록 하자. == 관련 문서 == * [[경력직]] * [[경력단절]] * [[취업난]] [[분류:조직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