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中谷 / Junggok}}} ||<-3> {{{+2 '''중 곡'''}}}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용마산역|용마산]][br]← 0.9 km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24)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군자역|군 자]][br]1.1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중곡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Junggok || || [[한자]] ||<-2><|2> 中谷 || || [[중국어]] || || [[일본어]] ||<-2> チュンゴク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서울)|능동로]] 지하 417 ([[중곡동]] 273-2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1996년 10월 1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24번.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서울)|능동로]] 지하 417 ([[중곡동]] 273-2번지)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곡역 안내도.pn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역명은 역이 위치한 [[법정동]]명인 중곡동에서 따 왔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출구가 모두 4개[* 원래 3개였으나 2021년 7~8월에 신 2번 출구가 완공되었으며 이에 따라 구 2번 출구는 신 3번, 구 3번 출구는 4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가 있으며, 2, 4번 출구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역의 깊이가 낮은 편이라 승하차가 편한 반면, 반대로 편의시설은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와 1번 출구로 나가는 엘리베이터 하나씩 뿐으로 불편한 편이었으나 신 2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추가 신설되어 조금 나아진 편이다. 기존 국립서울병원 부지 일부에 들어설 예정인 종합의료복지센터가 신축되면 해당 방향[* 1번 출구에서 길 건너가 아닌, 인도를 따라 내려가는 방향이다.]으로 출입구 신설이 하나 더 이뤄질 예정이었으며 2021년 7, 8월에 완공되었다. 출구 번호는 2번으로 애초에 타 역에 비해 적은 출입구(3개)로 만들어져 이용자가 불편했던 터라 대형 건물을 신축하면서 추가하기로 한 것이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6,846명 || || || 2001년 || 20,085명 || || || 2002년 || 21,096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747f00 21,814명}}} || || || 2004년 || 21,392명 || || || 2005년 || 20,775명 || || || 2006년 || 19,989명 || || || 2007년 || 19,764명 || || || 2008년 || 19,391명 || || || 2009년 || 19,641명 || ||}}}}}}}}} || || 2010년 || 20,299명 || || || 2011년 || 21,197명 || || || 2012년 || 20,677명 || || || 2013년 || 20,290명 || || || 2014년 || 20,345명 || || || 2015년 || 20,288명 || || || 2016년 || 20,088명 || || || 2017년 || 19,767명 || || || 2018년 || 19,924명 || || || 2019년 || 20,060명 || || || 2020년 || 15,634명 || || || 2021년 || 16,364명 ||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약 2만 명이 이용하는 역으로, 역 주변은 주로 다가구, 다세대, 빌라가 밀집한 전형적인 오래된 주거지다. 따라서 출근 시에는 승차가, 퇴근 시에는 하차가 많은 전형적인 베드타운형 역이라고 볼수 있다. 또한 등하교시간이 되면 꽤 많은 학생들을 볼 수 있다. 역 근처에 중/고등학교가 많기 때문이다. 특성 상 넓은 지역에 사는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인 대원국제중학교도 있고, 대원고등학교, 대원여자고등학교, 대원외고, 용곡중학교 등 근처에 상당히 많은 학교를 볼 수 있어 등하교하는 학생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국립서울병원이 오랫동안 바로 앞에 위치해 있었다. 국립서울병원은 2013년 이름을 '국립정신건강센터'로 변경하였고, 2014년경 기존 국립서울병원 부지에 신축 건물 공사를 시작해 2016년경 완공하였다. 애초에 규모 확장을 위한 공사가 아니었고, 일반적인 병원이 아닌 특수한 병원이라 공사 전후 수요는 별 차이가 없는 편이다. 그리고 2021년 지상 20층 규모의 보건복지행정타운이 건설되었으며 12월 22일 개청식을 개최하고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등이 입주하였다. 전형적으로 주민들이 이용하는 역이라는 점은 통계에서도 드러나는데,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하게 2만 명 내외를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보인다. 기름값이 내려갔던 시기에는 이용객이 조금 빠졌다가, 유가가 확 올라갈 때는 다시 이용객이 늘어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 승강장 == [[파일:중곡역1.jpg|width=70%]]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용마산역|용마산]]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군자역|군자]]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상봉]]·[[태릉입구역|태릉입구]]·[[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건대입구역|건대입구]]·[[강남구청역|강남구청]]·[[온수역|온수]]·[[석남역|석남]] 방면|| == 역 주변 정보 == * 1번 출구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있으며[* 출입구로 동문(지상 1층으로 연결)과 서문(지하 1층으로 연결)이 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역에서 가까운 서문은 현재 폐쇄된 상태다. 동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물 전체를 빙 둘러 돌아가거나 오르막길을 이용해야 하므로 방문 시 주의.] 도보로 15분거리에 대원외국어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 대원여자고등학교, 그리고 대원국제중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 주변은 단독주택 위주의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더불어 연계되는 버스 노선도 양방향으로는 서울 버스가 아닌 [[경기도]] [[성남 버스 70]]번과 새벽에만 운행하는 [[서울 버스 N62]]뿐이다. [[서울 버스 2227]]번과 [[서울 버스 4212]]도 있으나 이쪽은 1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에서만 승하차가 가능하고 반대 방향은 연계되지 않는다. 중곡동의 주요 버스노선은 약 5분 거리의 면목로나 [[용마산로]]에 버스 노선이 몇 개 있다. ||<-3> 나가는 곳 Exit 出口 || ||{{{#fff [[파일:지하철 출구_1.png|width=20]]}}} || 아차산[br]국립정신건강센터[br]대원여자고등학교[br]대원외국어고등학교[br]대원중·고등학교[br]용곡초·중학교[br]중곡4치안센터 || ||{{{#fff [[파일:지하철 출구_2.png|width=20]]}}} || 보건복지행정타운[br]중곡2동주민센터[br]중곡4동주민센터(복합청사)[br]중곡동우체국[br]국립정신건강센터 || ||{{{#fff [[파일:지하철 출구_3.png|width=20]]}}} || 중곡1동주민센터[br]중곡1치안센터[br]용마사거리[br]중광초등학교[br]중마초등학교[br]중곡제일골목시장[br]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 가족보건의원 || ||{{{#fff [[파일:지하철 출구_4.png|width=20]]}}} || 중곡3동주민센터[br]중곡3치안센터[br]중곡정보도서관[br]중곡문화체육센터[br]한국전력화양변전소 || == 기타 == * 7호선 강북 구간에서 이 역은 RH [[지옥철]]의 정점을 찍는 역이기도 하다. 이는 4호선 [[혜화역]]과 비슷한데, 출근 시간 하행 기준으로 이 역까지 내리는 승객 없이 타기만 하다가 바로 다음 역인 [[군자역]]과 그 다다음 역인 [[건대입구역]]에서 싹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퇴근 시간 상행에서는 반대로 [[건대입구역]]과 [[군자역]]에서 밀물 오듯 승객들이 우르르 밀려오다가 중곡역을 지나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중곡역에 도착한 출근 시간 하행 열차 및 퇴근 시간 상행 열차는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버금가는 [[헬게이트]]가 펼쳐진다. * 역 신설 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전혀 설치되지 않았다가 한참 지나서 설치되었다. 사실 이 점은 7호선 강북구간 최악의 문제점이었다. 반대로 공사기간이 좀 차이가 난 강남구간은 개업 시부터 빵빵한 편의시설이 설치돼서 강북차별이라는 비난도 컸었다. 거기에 출구는 캐노피도 설치가 되지 않아서 우천 시 불편한 곳이 한두 곳이 아니었다. 2번 출구는 폭이 많이 좁은 편으로 비가 올 경우에는 우산도 펴기 어려워서 대단히 불편했다. 결국,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및 캐노피를 추가로 설치한다고 공사비는 공사비대로 낭비한 대표적인 뻘짓이었다. 심지어 3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는 2010년이 지나서 설치했음에도 캐노피도 없어서 비가 오면 잦은 고장에 미끄러지는 사고도 생겨 몇 년 안 가 재공사했다. * 일본의 성씨인 나카타니(中谷)와는 한자표기만 같을 뿐 무관하다. == 중곡역 주변 교통 == 중곡역 1번 출구 * [[서울 버스 320]] * [[서울 버스 2012]] * [[서울 버스 2227]] * [[서울 버스 4212]] * [[서울 버스 N62]] * [[서울 버스 광진03]] 중곡역 2번 출구 * [[서울 버스 2227]] * [[서울 버스 4212]] * [[서울 버스 N62]] 중곡역 3번 출구 * [[서울 버스 240]] * [[서울 버스 2311]] * [[서울 버스 4212]] * [[서울 버스 N62]] * [[서울 버스 광진04]] 중곡역 4번 출구 * [[서울 버스 320]] * [[서울 버스 2012]] * [[서울 버스 N62]]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 광진구의 교통]][[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