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중구 선거구}}}}}}'''[br]{{{-1 {{{#fff 중구 일원[br]中區 選擧區[br]Jung District}}}}}}}}}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구_선거구(부산)8재.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38,236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원'''[br]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강주택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의 원도심 지역인 [[중구(부산광역시)|중구]] 전체를 관할한다. [[광복로(부산)|광복로]]와 [[남포동(부산)|남포동]] 상권이 활발한 곳이며, 각종 관광지들과 각종 대기업들의 지사들이 있는 도심 지역이다. 그렇다보니 한때 선거구가 3개가 있었던 시절과 다르게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부산에서 유일하게 단독 선거구를 구성하는 기초단체가 되었다. 상권이 활발한 편이긴 하나, 상주하는 인구 중에서는 노인 비율이 높은 편이므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압도하는 편이다. 전국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의 바람이 가장 거셌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든 선거에서 보수 성향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중구 제1,2,3선거구''' || ||<|3> 제2대 || 양장연 ||<|3>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영주1동''', '''영주2동''')] || || [[이인준]] || [[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2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2회 지선]] 중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 || [*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 조수형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중구 제3선거구 ('''대청동''', '''보수1동''', '''보수2동''')] || ||<-5> '''중구 제1,2선거구''' || ||<|2> 제3대 || [[제종모]] ||<|4>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2>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중구 제1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 || 안영근 || [*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1동''', '''보수2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2> 제4대 || [[제종모]] ||<|2>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5] || || [[구동회]] || [* 중구 제2선거구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1999년]] [[1월 1일]] 보수1,2동이 보수동으로 통합되었다.] || ||<|2> 제5대 || [[제종모]]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5] || || [[구동회]] ||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신용협동조합|신협]] 자갈치지점 이사장 선임으로 인해 사직.] || [*8] || ||<-5> '''중구 선거구''' || || 제6대 || [[제종모]] || [include(틀:한나라당)]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4> [* '''중앙동''', '''도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 || || 제7대 || 최영규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8대 || [[문창무]]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4월 18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 중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직.] || || 제9대 || 강주택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1선거구'''}}}}}}[br]{{{#ffffff 중앙동, 영주1동, 영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양장연(梁章淵)''' || '''6,702'''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67.72%''' || '''당선''' || ||<|2> {{{#FFFFFF {{{+5 '''2'''}}}}}} || 이경호(李慶浩) || 3,194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32.2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398 ||<|3> '''투표율'''[br]63.29% || || '''투표 수''' || 10,379 || || '''무효표 수''' || 483 || ||<-4> {{{#ffffff {{{+1 '''중구 제2선거구'''}}}}}}[br]{{{#ffffff 동광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 || '''[[이인준]](李仁俊)''' || '''-'''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 || '''[[무투표 당선|{{{#373a3c,#dddddd 무투표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 ||<|3> '''투표율'''[br]-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대청동, 보수1동, 보수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수형(趙修亨)''' || '''6,834'''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6.33%''' || '''당선''' || ||<|2> {{{#FFFFFF {{{+5 '''2'''}}}}}} || 김명진(金明珍) || 5,29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3.6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050 ||<|3> '''투표율'''[br]66.65% || || '''투표 수''' || 12,698 || || '''무효표 수''' || 566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1선거구'''}}}}}}[br]{{{#ffffff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제종모]](諸宗模)''' || '''6,59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1.01%''' || '''당선''' || ||<|2> {{{#FFFFFF {{{+5 '''4'''}}}}}} || 김한수(金翰秀) || 3,092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58% || 낙선 || ||<|2> {{{#FFFFFF {{{+5 '''5'''}}}}}} || 이경호(李慶浩) || 1,12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585 ||<|3> '''투표율'''[br]49.88% || || '''투표 수''' || 11,267 || || '''무효표 수''' || 451 || ||<-4> {{{#ffffff {{{+1 '''중구 제2선거구'''}}}}}}[br]{{{#ffffff 동광동, 보수1동, 보수2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영근(安永根)''' || '''6,94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6.33%''' || '''당선''' || ||<|2> {{{#FFFFFF {{{+5 '''4'''}}}}}} || 김명진(金明珍) || 3,57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9.01% || 낙선 || ||<|2> {{{#FFFFFF {{{+5 '''5'''}}}}}} || 이득규(李得圭) || 1,80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566 ||<|3> '''투표율'''[br]54.89% || || '''투표 수''' || 12,937 || || '''무효표 수''' || 604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1선거구'''}}}}}}[br]{{{#ffffff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제종모]](諸宗模)''' || '''7,47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8.66%''' || '''당선''' || ||<|2> {{{#FFFFFF {{{+5 '''3'''}}}}}} || 김한수(金翰秀) || 2,48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2.82% || 낙선 || ||<|2> {{{#FFFFFF {{{+5 '''4'''}}}}}} || 이경호(李慶浩) || 92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395 ||<|3> '''투표율'''[br]50.54% || || '''투표 수''' || 11,320 || || '''무효표 수''' || 428 || ||<-4> {{{#ffffff {{{+1 '''중구 제2선거구'''}}}}}}[br]{{{#ffffff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구동회]](具東會)''' || '''6,23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2.13%''' || '''당선''' || ||<|2> {{{#FFFFFF {{{+5 '''3'''}}}}}} || 이득규(李得圭) || 1,40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77% || 낙선 || ||<|2> {{{#FFFFFF {{{+5 '''4'''}}}}}} || [[최진봉]](崔震奉) || 4,31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6.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095 ||<|3> '''투표율'''[br]53.59% || || '''투표 수''' || 12,378 || || '''무효표 수''' || 411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1선거구'''}}}}}}[br]{{{#ffffff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제종모]](諸宗模)''' || '''7,84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2.35%''' || '''당선''' || ||<|2> {{{#FFFFFF {{{+5 '''6'''}}}}}} || 최인철(崔仁哲) || 2,99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133 ||<|3> '''투표율'''[br]52.60% || || '''투표 수''' || 11,116 || || '''무효표 수''' || 273 || ||<-4> {{{#ffffff {{{+1 '''중구 제2선거구'''}}}}}}[br]{{{#ffffff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구동회]](具東會)''' || '''6,08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3.37%''' || '''당선''' || ||<|2> {{{#FFFFFF {{{+5 '''6'''}}}}}} || [[문창무]](文昌武) || 5,31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6.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929 ||<|3> '''투표율'''[br]53.11% || || '''투표 수''' || 11,648 || || '''무효표 수''' || 249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선거구'''}}}}}}[br]{{{#ffffff 중구 일원[*중구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제종모]](諸宗模)''' || '''12,77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2.41%''' || '''당선''' || ||<|2> {{{#FFFFFF {{{+5 '''7'''}}}}}} || 김진필(金鎭畢) || 4,314 || 2위 || || [include(틀:미래연합)] || 21.08% || 낙선 || ||<|2> {{{#FFFFFF {{{+5 '''8'''}}}}}} || 박수석(朴秀碩) || 3,37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1,637 ||<|3> '''투표율'''[br]51.26% || || '''투표 수''' || 21,347 || || '''무효표 수''' || 887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선거구'''}}}}}}[br]{{{#ffffff 중구 일원[*중구]}}}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영규(崔永珪)''' || '''13,83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1.11%''' || '''당선''' || ||<|2> {{{#FFFFFF {{{+5 '''2'''}}}}}} || 이병환(李昞煥) || 5,774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5.50% || 낙선 || ||<|2> {{{#FFFFFF {{{+5 '''4'''}}}}}} || 김진필(金鎭畢) || 3,02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3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1,868 ||<|3> '''투표율'''[br]56.60% || || '''투표 수''' || 23,401 || || '''무효표 수''' || 764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선거구'''}}}}}}[br]{{{#ffffff 중구 일원[*중구]}}}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문창무]](文昌武)''' || '''12,04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5.24%''' || '''당선''' || ||<|2> {{{#FFFFFF {{{+5 '''2'''}}}}}} || 강주택(康周澤) || 9,754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4.7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9,832 ||<|3> '''투표율'''[br]56.47% || || '''투표 수''' || 22,494 || || '''무효표 수''' || 700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선거구'''}}}}}}[br]{{{#ffffff 중구 일원[*중구]}}}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민해(朴民解) || 6,25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3.46% || 낙선 || ||<|2> {{{#FFFFFF {{{+5 '''2'''}}}}}} || '''강주택(康周澤)''' || '''12,427'''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6.53%'''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38,236 ||<|3> '''투표율'''[br]50.00% || || '''투표 수''' || 19,128 || || '''무효표 수''' || 450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문창무]] 시의원이 직을 내려놓고 중구청장 선거에 출마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당의 단수공천을 받았으나 본선에서 현직 [[최진봉]] 구청장에게 더블 스코어차로 대패하였다.] 에스에스텔레콤 사업부 관리책임자를 역임한 박민해 중앙당 부대변인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가선거구[* 중앙동, 대청동, 영주1동, 영주2동. 구 중구 제1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 기반의 박두현 전 구의원, 나선거구[*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구 중구 제2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 기반의 김영면 전 구의원과 강주택 태산엔터프라이즈 대표이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8년 전]]에 구의원에 나왔다가 낙선한 곳이 나선거구였다.]가 경선을 치러 강주택 후보가 승리하며 재도전이 확정되었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강주택 후보가 2배에 가까운 격차로 저번 선거에서의 고배를 만회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중앙동(부산)|중앙동]]에서는 박민해 후보가 39% 후반대를 얻으며 그나마 적은 격차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강주택 후보가 65% 이상을 기록하며 압승하였다. 특히 [[부평동(부산)|부평동]], [[광복동]], [[남포동(부산)|남포동]]에서는 70% 이상을 기록하였다. 관외사전투표에서도 강주택 후보가 14%p의 격차로 낙승을 거두었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중구(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