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중국)]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위치와 면적 == 중국은 [[경도#s-1|동경]] 75°~130°, [[위도#s-1|북위]] 20°~50°32′ 쯤에 위치하며, 국토 면적은 CIA 측정 기준 9,596,960㎢, 세계에서 4번째로 넓다. [[중국 대륙]]이라고 불릴 정도. == 기후 == 연교차가 크고 건조한 지역이 많다. 강수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계절풍 기후(Cwa, Dwa)가 많고 온난 습윤 기후(Cfa)는 남방 해안지역에 국지적으로 있으며 몽골과 인접한 중북부와 서부는 건조기후(BS, BW)에 속한다. [[중국/환경오염]]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 중국의 물부족은 수질오염 탓도 있지만 강수량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수요가 늘어난 것이 크다. 전통적으로 도시 한복판에 눈이 많이 오는 걸 서설(瑞雪)이라며 좋아하는 것도 그만큼 눈이 귀해서다. 중국은 북부에서 남부로 내려갈수록 연평균 강수량이 많아진다. 동남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건조한 편인데, 연평균 강수량이 동남부를 제외하면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보다 적은 편이다. 대한민국(남한)에서 대표적인 소우지로 꼽히는 [[대구경북]] 지역도 연평균 강수량이 거의 대부분 1000mm는 넘으며, 1000mm 미만인 곳은 경북 북부의 일부 지역밖에 없는데 남한에서 연평균 강수량이 1000mm 미만인 곳은 이쪽이 유일하다. 그런데 '''중국은 [[장강]] 이북의 거의 모든 지역이 연평균 강수량 1000mm 미만이다.''' 북부의 [[베이징]], [[톈진]]까지 올라오면 [[몽골]] 쪽 건조기후 지대와 인접하여 500mm 선까지 떨어진다. 그 악명높은 중국의 겨울철~봄철 [[황사]], [[미세먼지]]가 바로 '''중국 북부 지역의 매우 적은 강수량(+극단적인 계절별 강수량 편차)'''에서 기인한다. 강수량이 적어 물이 귀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목욕 문화가 발달하지 못했으며,[* 중국 사람들이 잘 씻지 않아서 더럽다는 세간의 인식도 원래부터 문화적으로 자주 씻지 않는 문화여서 그런 탓이 크다.] 지금도 북부 지역은 겨울철에 툭하면 [[제한급수]], [[단수]] 조치가 내려지는 등 물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중국 영토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서부 지역은 불모의 땅이 대부분이며, 남서부 지역은 해발고도 또한 4000m 이상으로 매우 높다. 또한 대륙의 동안에 위치했고 서부지역이 높은 고원과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동위도의 타 지역에 비해 한랭한 기후[* 연평균기온 10℃로 미국 본토보다 낮다]를 나타낸다. * '''동북 지방'''(허베이,내몽골,랴오닝,지린,헤이룽장) 대부분의 지역이 [[냉대기후]]이며, 여름은 무더우며 일부 지역은 높은 습도로 불쾌하나 내몽고 지역은 일교차가 크며 건조한 경향을 나타낸다. 헤이룽장 지역의 경우 9월이면 겨울이 찾아오고, 8월부터 영하의 기온을 나타내며 눈이 내린다. 헤이룽장 지역과 내몽고 북부의 경우 1월에 혹한이 찾아올 경우 섭씨''' -50도 '''밑으로 떨어지기도 하며 -40도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일상]]이다. 베이징이 위치한 [[허베이]] 지역, [[만주]]의 [[랴오닝]] 남부[* [[다롄시]]]의 경우 동북 지역 한정으로 매우 온난하며 이 지역은 [[개성시]], [[평양시]] 등 한반도의 중북부지방([[북한]])과 유사한 기후를 갖는다. * '''동남 지방'''(산둥,허난,장쑤,후난,후베이,저장,푸젠,광둥,구이저우 등) 평균적으로 산둥, 허난, 장쑤는 남한과 연평균온도가 비슷하며 여름은 비슷하거나, 더욱 고온다습하다 ([[난징]] 등 장쑤 일대).[* 저장성, 후베이성, 후난성은 일본(도호쿠,홋카이도 제외)과 기후가 비슷한편이다.] 장마의 영향을 받으며 광둥 등 남부지역에서는 태풍의 피해도 매우 빈번하다. 전반적으로 온난 습윤한 기후를 나타내며, 벼농사의 적지 중 한 곳이다. [[상하이]], [[광저우]], [[홍콩]], [[선전시|선전]] 등 중국의 산업을 이끄는 도시들이 있으며 겨울의 기후는 대부분 지역이 최한월 평균기온 [[온대기후|섭씨 -3도 이상으로 온난하다.]][* 대한민국에서도 1월에 온대, 냉대기후를 가르는 기준을 섭씨 -3도로 할 시 경기북부, 강원영서북부, 산간지대를 제외하고는 온대기후이다.][* 최남단 일대는 [[열대기후]]가 나타나며, 많은 비와 한겨울에도 섭씨 20도 이상을 유지하는 지역도 있다.] 참고로 봄부터 여름까지는 서쪽의 티베트고원 700hPa 고도에 열저기압이 자리하므로 그 전면부인 이곳은 지상저기압이 위치한다. 따라서 봄 여름 내내 짓누르는듯한 층운이 자리잡는다. 이후에는 장마, 장마후엔 계절풍성 호우 등 여름 내내 비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가을 이후나 되어야 이곳에서는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내륙지역임에도 다습한 정글기후가 나타난다. 그렇다고 겨울에 덜춥냐면 그건 아니라.... 이 동네에서는 2~3월부터 반팔을 입고 11~12월까지도 입을 정도. * '''서북 지방'''(닝샤 후이 자치구,간쑤,신장위구르 자치구) 중국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 주로 건조기후와 일부 냉대기후를 나타내며, 신장위구르의 고산지역에서는 [[한대기후]] 가 국지적으로 나타난다. 사막 지역답게, 여름은 매우 무더운 반면 습도가 낮아 동남 지역의 여름보다 체감상 견디기 쉬우나 절대적인 온도는 동남 지역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중국의 역대 최고기온도 서북 지역에 위치한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 기록되었다. 인구밀도가 낮으며 주요 도시로는 [[우루무치]]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일교차가 매우 크며, 수시로 모래폭풍이 불어닥쳐 대기 질이 좋지 않다. 산업화로 인해 대기질이 나빠진 동부와 달리 이 지역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원래부터 대기질이 나쁘다. 또한 아시아 대륙의 정중앙부에 위치하여 매우 큰 대륙도를 갖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거대한 고원과 북쪽으로는 거대한 시베리아 평원 사이에 있는 내륙지역이라 겨울이 매우 한랭하며 일부 고산지역은 연평균기온이 영하인 곳도 많다. 신장위구르 서부지역에는 [[파미르 고원]]과 [[톈산 산맥]],[[카라코람 산맥]] 등이 있으며 이 지역의 한겨울은 섭씨 -40도 이하로 떨어지며 몹시 춥다. * '''서남 지방'''(티베트,칭하이,쓰촨,윈난) 윈난과 쓰촨은 겨울에 온난하고, 특히 쓰촨 분지는 기온이 높고 일조량이 적다. 반면 쓰촨 서부와 티벳, 칭하이는 제3의 극지대라 불리는 거대한 티베트 고원 지역으로, 전세계에서 대기질이 가장 좋은, 중국에서 항상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지역이다. 고원의 일부는 만년설과 빙하로 덮여 있고 연평균기온은 0-5℃ 정도. 매우 높은 해발고도로 적응이 어려워 [[고산병]]에 걸릴 수 있다. 여름은 시베리아와 같은 기온분포, 즉 매우 시원하고 쾌적해 7~8월에도 긴팔을 입을 정도고 겨울에는 -20-30℃의 혹한과 강풍이 매일 이어진다. 중국 사자성어에 중국 각 지역의 기후를 반영한 것이 있는데, 촉견폐일[* 蜀犬吠日, 일조량이 적은 쓰촨에 어쩌다 해가 뜨면 개가 이를 수상하게 여겨 짖는다], 월견폐설[* 越犬吠雪, 눈 오는 날이 없다시피한 중국 남부에 눈이 오면 개가 이를 수상하게 여겨 짖는다], 오우천월[* 吳牛喘月, 강남은 날씨가 더워 소가 달을 보고 뜨겁게 내리쬐는 해를 보는 것처럼 헐떡거린다] 등이 그 예이다. == 중국 지형의 특성 == [[파일:external/study.zumst.com/1_1_1.jpg|width=100%]] 중국의 지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높이에 따라 크게 세 단계[* 영해까지 치면 네 단계]로 분류된다. * [[티베트고원|제1구역]] - 해발고도 4,000m 이상 * 제2구역 - 해발고도 1,000~4,000m * 제3구역 - 해발고도 1,000m 이하 중국의 고도차는 세계에서 가장 크다. 최고점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 정상[* 8,850m. [[네팔]]과의 국경을 이룬다]이고 최저점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투루판 분지로 -154m다.[* 이는 사해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번째로 낮다] 면적에 비해 평야가 적다. 물론 다 합치면 크지만 비교 대상이 [[미국|되]][[러시아|는]] [[인도|국가]]에 비하면 확연히 적기 때문에 넓은 국토에 비해 실익이 적다. 게다가 그 평야의 대다수인 [[화북 평야]]는 현재는 상당히 황폐해져 경제적으로 낙후된 곳이 많고, 평야가 상대적으로 적은 남부 지방에 뒤쳐졌다. 중국이 한국보다 더한 [[아파트]] 천국이 된 것도 산이 많아서다. 또한, 국토와 국가 규모에 비해 해안선이 굉장히 좁다. 남한과 비교해도 도서 해안선을 제외한 육지 해안선 기준, 약 1만 8천km vs 약 8천km 수준이므로 30배의 인구를 고작 2.5배의 해안선으로 지탱하고 있는 셈이다. 그나마도 베트남, 대한민국, 대만, 일본(오키나와)와 크게 멀지 않아 중국은 해양 안보 확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중국의 자연지리 == * [[중국 대륙]] [[파일:external/www.china-mike.com/china_geography-rivers-map.png|width=1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China-Historic_macro_areas.svg.png|width=100%]] === 중국의 강 === * 중국의 4대 강 * [[장강]] * [[황하]](황허) * [[아무르 강]](헤이룽장, 흑룡강) * [[주강]](주장) * 200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자연유산]] 지정 [[윈난성]]의 3대 강[* 모두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한 강이다.] * [[장강|금사강]](진사장): 장강 상류. * [[메콩강|란창강]](란창장, 메이궁허): [[인도차이나 반도]]를 따라 흐르는 메콩강 상류이다. * [[살윈강|노강]](누장): [[미얀마]]를 거쳐 흐르는 살윈강 상류이다. * 백두산 발원[* 압록강과 두만강은 북한과 경계] [include(틀: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는 강)] * [[송화강]](쑹화장): [[백두산]]에서 [[아무르 강]]까지 [[만주]]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 [[압록강]](야루장) * [[두만강]](투먼장) * 그 밖의 강 * [[랴오허|요하]]([[랴오허]]): [[요동]]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 [[위수|위하, 위수]](웨이허, 웨이수이): 황하의 지류로 [[시안(도시)|장안]] 주변을 흐르는 강이다. * [[회하|회하, 회수]](화이허, 화이수이): 남귤북지라 하여 남방과 북방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강이다. * [[한수#s-2|한강, 한수]](한장, 한수이): 양쯔강의 지류이다. * [[홍강|홍하]](홍허): [[베트남]] 북부를 거쳐 흐는 강이다. * [[펀허강]]: 산서성의 모친하로 불리고, 황하로 흘러든다. * [[호타하]] : 산서성 신저우 시에서 발원해 허베이성 스자좡시, 창저우 시를 흘러 발해로 흐른다. === 중국의 [[산맥]] === [[파일:external/afe.easia.columbia.edu/M_Mt.gif|width=100%]] * 동서로 뻗은 산맥(↔): [[톈산 산맥|천산산맥]](톈산 산맥), [[쿤룬 산맥|곤륜산맥]](쿤룬 산맥), 친링산맥 * 남서에서 북동으로 뻗은 산맥(⤢): 대흥안령산맥(다싱안링 산맥), [[장백산#s-1|장백산맥]](창바이 산맥), 태항산맥(타이싱 산맥) * 북서에서 남동으로 뻗은 산맥(⤡): [[알타이 산맥]](아얼타이 산맥), 기련산맥(치롄 산맥), [[히말라야 산맥]](시마라야 산맥), 소흥안령 산맥(샤오싱안링 산맥) * 남북으로 뻗은 산맥(↕): 횡단산맥(헝돤산맥), 하란산맥(허란산맥) ==== 중국의 [[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Sacred_Mountains_of_China.png|width=100%]] * 중국의 전통적 [[오악]] * [[타이산|태산]](타이산) * [[화산(동음이의어)#s-2|화산]] * [[형산]](남 헝산) * [[항산]](북 헝산) * [[숭산#s-1]] * 히말라야 산맥 [[8,000미터 14좌]] 및 중국 서남부의 [[고산#s-1]] * [[에베레스트|주무랑마]](에베레스트): [[중국어]]로 에베레스트 산을 '''주무랑마'''(珠穆朗玛)라 하는데 [[티베트어]] '초모룽마(ཇོ་མོ་གླང་མ)'의 음차이다. * [[K2(산)|초고리]](K2): 중국에서는 K2를 '''초고리'''(喬戈里, Chogori)라고 불린다. * [[초오유]] * [[가셔브룸|가셔브룸 연봉]] * [[시샤팡마]] * [[쿤구르 산|궁거얼 산]](쿤구르 산) * [[강카르 푼섬]] * [[궁가산]] * [[무스타거 산]] * [[퉈무얼 봉]](포베다 산) * [[아니마칭]] * [[다오청 삼신산]] === 기타 지형 === ==== 중국의 4대 [[고원#s-1]] ==== * [[티베트 고원|청장고원]](칭짱고원, [[티베트]] 고원) * [[몽골 고원|내몽고고원]]([[네이멍구 자치구|네이멍구]] 고원) * 황토고원(황투고원) * 운귀고원(윈구이고원) ==== 중국의 [[분지]] ==== * [[타림 분지]] (타리무 분지) * [[중가리아]] 분지 (준가얼 분지) * 차이담 분지 (차이다무 분지) * [[쓰촨]] 분지 * [[투루판]] 분지 ==== 중국의 [[사막]] ==== * [[고비 사막]](거비사막) * [[타클라마칸 사막]](타거라마간사막) ==== 중국의 3대 [[평야]] ==== * 동북평야 - [[만주]] * [[화북 평야]] * 장강중하류평원(창장 중하류평원) ==== 중국의 [[호수#s-1]] ==== * 외류호(물의 유출입이 가능한 담수호) * [[포양호]] (파양호) - [[파양호 대전]] * [[둥팅호]] (동정호) * [[타이호]] (태호) * 훙쩌호 (홍택호) * 차이호 (조호) * 내륙호(물길이 모여드는 함수호) * [[칭하이호]](청해호)[* 중국 최대 크기의 함수호] ==== 중국의 3대 [[폭포]] ==== * [[반족폭포|덕천폭포]](德天瀑布, 더톈폭포): 베트남과 경계에 있는 폭포. 베트남에서는 반족폭포(Thác Bản Giốc)라고 부른다. * 황과수폭포(黄果树瀑布, 황궈수폭포) * 호구폭포(壶口瀑布, 후커우폭포): 산시성 이촨현, 황하 유역에 존재하는 폭포, [[http://www.yonhapnews.co.kr/video/2602000001.html?cid=MYH20160908016600797|현장영상 - 연합뉴스]] ==== 중국의 [[섬]] ==== * [[웨량 섬]] * [[창허 섬]] * [[저우산]] 군도 * [[하이난 섬]] * [[홍콩]]의 섬 * [[홍콩 섬]] *-- [[타이완섬]] -- *-- [[펑후현]] (펑후제도) -- *-- [[롄장현]] (마쭈열도) -- *-- [[진먼현]] (진먼도) -- * --[[우추향]] -- == 야생동물 == 중원과 쓰촨분지: 중국은 땅이 넓고 지형과 기후도 다양해 여러 야생동물들이 서식한다. 특히 중원이나 쓰촨분지, 양쯔강이나 황하강에는 다른 지역에선 찾아 볼수 없는 종들이 서식한다. 과거에는 코끼리나 코뿔소, 물소같은 열대지방에서나 살던 종들도 베이징 인근에까지 있었지만 기후변화와 남획으로 멸종된 경우가 많다. 또한 20세기 들어서 인구증가로 인해 [[대약진운동|서식지가 파괴되고]] [[제사해 운동|남획]]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해 멸종위기에 처한 경우도 많다. [[판다]], [[레서판다]], [[사향고양이]], [[남중국호랑이]], [[사불상]], [[아기사슴]], [[양쯔강돌고래]], [[황금들창코원숭이]], [[백한(조류)|백한]], [[금계]], [[따오기]], [[양쯔강악어]], [[양쯔강대왕자라]], [[중국장수도롱뇽]], [[영원(동물)|영원]], [[주걱철갑상어]] [[만주]]: 한반도와 극동 러시아에 사는 동물들과 같은 편이다. [[시베리아호랑이]], [[아무르표범]], [[아시아흑곰]], [[꽃사슴]], [[와피티사슴]], [[말코손바닥사슴]] [[내몽골]]과 [[위구르]]: 몽골이나 러시아 스텝에 서식하는 동물들이 많다. [[늑대]][* [[유라시아늑대]], [[몽골늑대]].], [[쌍봉낙타]], [[마멋]], [[사이가]] [[티베트]]: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동물들 위주이다. [[눈표범]], [[티베트푸른양]], [[야크]], [[티벳여우]] [[윈난성]]: 중원보다 인도나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종 위주이다. [[아시아코끼리]], [[벵골호랑이]], [[킹코브라]], [[비단구렁이]], [[공작(조류)|공작]], [[아시아물소]], [[긴팔원숭이]], -- 인도코뿔소 --, --자바코뿔소 --, -- 수마트라코뿔소 -- [[분류:중국의 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