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목차] == 개요 == [[1956년]]부터 [[1982년]]까지 [[존재]]했던 [[중국공산당]]의 [[2인자]] 직함. 약칭 중앙부주석이라고 불렸다. == 법적근거 == === 8차 당대회 규약 === ||
'''1956년 8대 당장''' '''제3장''' 당의 중앙조직 '''제37조'''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와 중앙서기처를 선거하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당중앙위원회 주석]] 1인과 '''수인의 부주석''' 및 총서기 1인을 선거한다.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폐회기간에 중앙위원회의 직권(职权)을 행사한다. 중앙서기처 서기는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의 영도 하에 중앙일상공작을 처리한다. '''중앙위원회 주석과 부주석은 동시에 중앙정치국 주석과 부주석이다.''' 필요한 시후(时候)가 있으면 중앙위원회는 중앙위원회 명예주석을 둘 수 있다.|| === 9차 당대회 규약 === ||
'''1969년 9대 당장''' '''제4장''' 당의 중앙조직 '''제9조'''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앙위원회 주석, '''부주석'''의 산생(产生)을 의논한다.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중앙정치국 소개(召开)를 의논한다.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폐회기간에 중앙위원회의 직권을 행사한다. 주석, '''부주석과'''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의 영도 하에 수개의 필요하고 정간(精干)한 기구를 설립하며, 당·정·군의 일상공작을 통일처리한다.|| ※ 이후 10차 당대회에서 당장 변동 없음. === 11차 당대회 규약 === ||
'''1977년 11대 당장''' '''제3장''' 당의 중앙조직 '''제16조'''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앙위원회 주석, '''부주석'''의 산생(产生)을 의논한다.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중앙정치국 소개(召开)를 의논한다.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폐회기간에 중앙위원회의 직권을 행사한다.|| == 연혁 == [[국공내전]]에서 승리하면서 당내의 [[마오쩌둥]]의 [[권위]]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1945년]], 7차 당대회에서 마오쩌둥은 기존의 [[당수]]에 비견되지 않는 강력한 직위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직위를 도입하였으며, 당장에 [[마오쩌둥 사상]]을 넣으면서 위세를 과시하였다. 하지만 [[1956년]] [[2월]], [[소련공산당]] 20차 당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가 [[이오시프 스탈린]]을 [[독재자]]로 격하하자 그 영향을 바로 중국에 파급되었다. 놀란 [[마오쩌둥]]은 중국공산당에도 [[집단지도체제]]를 강화할 의사를 밝혔고 [[후계자]]로 물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1956년]] [[9월]], 8차 당대회에서 부주석 제도가 도입되었다. [[1966년]] [[11월]], 8기 11중전회에서 [[린뱌오]]가 새로운 후계자로 지목되면서 린뱌오를 제외한 모든 부주석이 해임되었고 이는 [[1969년]] [[4월]], 10차 당대회에서도 유지되었으나 [[1971년]] [[9.13 사건]]으로 린뱌오가 사망하면서 마오-린 체제는 붕괴되었다. [[1973년]] [[8월]], 11차 당대회에서 다시 여러 사람의 부주석이 선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982년]] 9월, 12차 당대회에서 한 [[사람]]에게 지나친 [[권력]]을 집중시켰다고 [[비판]]을 받은 중앙위원회 주석제도가 폐지되어 [[총서기]]로 대체되면서 같이 폐지되었다. == 역대 부주석 == === 8기 === ||<|2> {{{#ff0 '''성명'''}}} ||<-2> {{{#ff0 '''임기'''}}} ||<|2> {{{#ff0 '''비고'''}}} || || {{{#ff0 '''임기시작'''}}} || {{{#ff0 '''임기종료'''}}} || || [[류사오치]] ||<|4>[[1945년]] [[6월 19일]] ||<|4>[[1966년]] [[8월 12일]]||<|4>8기 1중전회에서 선거, 8기 11중전회에서 해임.|| || [[저우언라이]] || || [[주더]] || || [[천윈]] || || [[린뱌오]] ||[[1958년]] [[5월 25일]]||[[1969년]] [[4월 28일]]||8기 5중전회에서 보선, 8기 11중전회에서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선포.|| === 9기 === ||<|2> {{{#ff0 '''성명'''}}} ||<-2> {{{#ff0 '''임기'''}}} ||<|2> {{{#ff0 '''비고'''}}} || || {{{#ff0 '''임기시작'''}}} || {{{#ff0 '''임기종료'''}}} || || [[린뱌오]] ||[[1969년]] [[4월 28일]] ||[[1971년]] [[9월 13일]]||9기 1중전회에서 재선, [[9.13 사건]]으로 사망.|| === 10기 === ||<|2> {{{#ff0 '''성명'''}}} ||<-2> {{{#ff0 '''임기'''}}} ||<|2> {{{#ff0 '''비고'''}}} || || {{{#ff0 '''임기시작'''}}} || {{{#ff0 '''임기종료'''}}} || || [[저우언라이]] ||<|5>[[1973년]] [[8월 30일]] ||[[1976년]] [[1월 8일]]||10기 1중전회에서 선거, 임기 중 사망.|| || [[왕훙원]] ||[[1976년]] [[10월 6일]]||10기 1중전회에서 선거, 마오쩌둥 사후 숙청.|| || [[캉성]] ||[[1975년]] [[12월 16일]]||10기 1중전회에서 선거, 임기 중 사망.|| || [[예젠잉]] ||[[1977년]] [[8월 19일]]||10기 1중전회에서 선거|| || [[리더성]] ||[[1975년]] [[1월 10일]]||10기 1중전회에서 선거, 10기 2중전회에서 숙청.|| || [[덩샤오핑]] ||[[1975년]] [[1월 10일]]||[[1976년]] [[4월 7일]]||10기 2중전회에서 선거, [[1차 천안문 사태]]를 책임추궁당해 숙청.|| || [[화궈펑]] ||[[1976년]] [[4월 7일]]||[[1976년]] [[10월 6일]]||정치국회의에서 제1부주석으로 선출, 마오쩌둥 사후 긴급 정치국회의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 || [[덩샤오핑]] ||[[1977년]] [[7월 21일]]||[[1977년]] [[8월 19일]]||10기 3중전회에서 복권.|| === 11기 === ||<|2> {{{#ff0 '''성명'''}}} ||<-2> {{{#ff0 '''임기'''}}} ||<|2> {{{#ff0 '''비고'''}}} || || {{{#ff0 '''임기시작'''}}} || {{{#ff0 '''임기종료'''}}} || || [[예젠잉]] ||<|4>[[1977년]] [[8월 19일]] ||<|3>[[1982년]] [[9월 11일]]||<|3>11기 1중전회에서 선거, 12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 [[덩샤오핑]] || || [[리셴녠]] || || [[왕둥싱]] ||[[1980년]] [[2월 29일]]||11기 1중전회에서 선거, 11기 5중전회에서 소 사인방으로 몰려 숙청.|| || [[천윈]] ||[[1978년]] [[12월 22일]]||<|3>[[1982년]] [[9월 11일]]||11기 3중전회에서 보선, 12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 [[자오쯔양]] ||<|2>[[1981년]] [[6월 29일]]||11기 6중전회에서 보선, 12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 [[화궈펑]] ||11기 6중전회에서 주석에서 부주석으로 강등, 12차 당대회에서 직함 폐지.|| == 참고문헌 == * 김정계, 중국공산당 100년사 1921~2021(서울: 역락, 2021). * 张静如, 中国共产党历届代表大会:一大到十八大(中)(河北人民出版社, 2012). * 本书编委会编, 中国共产党历次党章汇编(1921 ~ 2012) (北京: 中国方正出版社,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