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공산당 총서기]] [include(틀:다른 뜻1, from=총서기, other1=각국 공산당 당수직 전반, rd1=서기장)] [include(틀:중국공산당의 구조)] [include(틀:중국공산당 중앙영도기구)] ||<-2>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width=35]][br] '''{{{+1 {{{#ffff00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br] {{{#ffff00 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总书记}}}[br] {{{#ffff00 General Secreta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진핑.png|width=100%]]}}} || || {{{#ffff00 '''현직'''}}} ||[[시진핑]] ,,/ 제16대,, || || {{{#ffff00 '''취임일'''}}} ||[[2012년]] [[11월 15일]] || || {{{#ffff00 '''[[관저|{{{#ffff00 관저}}}]]'''}}} ||[[중난하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ruby(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总书记, ruby=Zhōngguó Gòngchǎndǎng Zhōngyāng Wěiyuánhuì Zǒngshūjì)])''', 줄여서 중공중앙총서기(中共中央总书记) 또는 총서기(总书记)는 [[중국공산당]]의 수장이다.[* 참고로 총서기는 [[베트남]]에서는 [[사무총장]]을 의미한다.] [[2023년]] 현재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시진핑]]이다. == 법적 근거 == ||
'''2017년 19대 당장''' '''제3장''' 당의 중앙조직 '''제23조''' 당 중앙장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거된다.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반드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중에서 산생(产生)된다.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폐회기간 동안 중앙위원회의 직권을 행사한다.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의 판사 기구(办事机构)이다. 서기처의 성원들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지명하며,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통과한다. '''중앙위원회 총서기는 중앙정치국 회의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소집할 책임이 있으며, 아울러 중앙서기처 공작을 주지(主持)한다.'''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당중앙군사위원회]]를 조성하는 인원은 중앙위원회가 결정하며, 중앙군사위원회는 주석책임제를 실행한다. 매기 중앙위원회에서 산생된 중앙영도기구와 중앙영도인은 전국대표대회 개회 기간에도, 그 다음 전국대표대회에서 새로운 영도기구와 영도인을 선출하기 이전까지 당의 일상적 공작을 계속하여 주지한다.|| == 연혁 == [[1925년]] 4차 당대회에서 최초로 총서기 직함이 신설되었다. 4차 당대회 2장 10조는 1인의 총서기의 [[존재]]를 명시하였으며, 기존 중앙국 위원장 [[천두슈]]를 초대 총서기로 선출하였다. 이후 당규약에서 총서기의 직함은 사라졌지만, 6차 당대회까지 총서기는 계속해서 선거되었다. 하지만 이미 [[1930년대]]부터 [[코민테른]]의 개입으로 총서기는 유명무실한 직위였으며, [[소련]] 유학파들이 당권을 장악하였고, [[1931년]]에 총서기 샹중파가 [[국민당]]에 체포된 이후 [[1931년]] [[9월]], [[상하이]]에 임시중앙정치국이 재구성되었으며, 보구가 당의 수장을 맡았으나 총서기 직함을 쓰지 않고 그저 '총책임인(总负责人)'이라는 모호한 표현을 썼다.[* 다만 강서 소비에트로 피신한 후에는 다시 정식으로 총서기로 선거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 그러다가 [[1943년]] [[3월 20일]] 정치국 회의에서 서기처가 도입되면서 서기처 주석 직함이 도입되었다. 서기처 주석은 당의 최종정책결정권을 쥐고 있는 당의 수위였으며, [[1945년]] 7차 당대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직함이 도입되면서 수위 자리는 중앙위원회 주석에게 넘어갔지만, 중앙위원회 주석이 서기처 주석도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으므로 여전히 당의 수위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다가 [[1956년]] [[2월]], [[소련공산당]] 20차 당대회에서 스탈린 격하가 이루어지면서 [[9월]], 8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주석과 서기처 주석 직함이 분리, 서기처 주석이 총서기로 개칭된다. 그 후 이 보직은 2인자로서 [[덩샤오핑]]이 맡지만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생하면서 서기처는 무력화되었고 [[1969년]] 9차 당대회에서 폐지되어버렸다. 그러다가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문혁의 광풍이 잦아든 [[1977년]] [[8월]], 11차 당대회에서 당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중앙서기처가 부활, [[후야오방]]이 총서기로 선출되면서 다시 총서기 직제가 도입되었으며, [[1982년]] 9월, 12차 당대회에서 당 주석과 당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부주석]] 직함이 폐지되면서 다시 당의 수위로 오르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비록 총서기 [[후야오방]], [[자오쯔양]]이 숙청되는 부침은 있었으나 원로들이 모두 은퇴하고 [[덩샤오핑]]과 [[장쩌민]] 시대의 당의 제도화가 이루어지면서 총서기는 [[국가주석]]을 겸직하는 명실상부한 당의 일인자로 기능하고 있다. 덩샤오핑 시대의 개혁으로 종신제, 10년 임기제, 정년은퇴제가 도입되면서 총서기들은 10년씩만 하고 내려오는 관행이 정착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시진핑]] 시대에 [[2018년]] 헌법개정을 통해 국가주석과 부주석의 10년 [[임기]] 제한을 삭제하여 3연임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었고 실제로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20차 당대회]]에서 3연임에 성공하였다. == 역대 총서기 == [include(틀:역대 중국공산당 당수)] ||<|2> {{{#ff0 '''대수'''}}} ||<|2> {{{#ff0 '''성명'''}}} ||<-2> {{{#ff0 '''임기'''}}} ||<|2> {{{#ff0 '''비고'''}}} || || {{{#ff0 '''임기시작'''}}} || {{{#ff0 '''임기종료'''}}} || ||<-5>중앙국 서기(제1차 전국대표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제2~3차 전국대표대회) || || 1 ||<|2> [[천두슈]] ||[[1925년]] [[1월 22일]]||[[1927년]] [[5월 9일]]||4기 1중전회에서 선거|| || 2 ||[[1927년]] [[5월 9일]]||[[1927년]] [[8월 7일]]||5기 1중전회에서 재선, [[8.7 긴급회의]]에서 숙청.|| || 임시 || [[취추바이]] ||[[1927년]] [[8월 7일]]||[[1928년]] [[7월 11일]]||[[8.7 긴급회의]]에서 임시총서기로 선거.|| || 3 || 샹중파 ||[[1928년]] [[7월 11일]]||[[1931년]] [[6월 24일]]||6기 1중전회에서 선거, 국민당에 체포되어 처형.|| ||<-5>[[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제7~11차 전국대표대회) || || 4 ||<|2> [[후야오방]] ||[[1977년]] [[8월 19일]]||[[1982년]] [[9월 11일]]||11기 1중전회에서 선거, 1981년부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과 겸직.|| || 5 ||[[1982년]] [[9월 11일]]||[[1987년]] [[1월 16일]]||12기 1중전회에서 재선, 1986년 학생운동의 책임을 지고 하야.|| || 대리 ||<|2> [[자오쯔양]] ||[[1987년]] [[1월 16일]]||[[1987년]] [[11월 1일]]||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선출.|| || 6 ||[[1987년]] [[11월 2일]]||[[1989년]] [[6월 23일]]||13기 1중전회에서 재선, 13기 4중전회에서 천안문 사태에 동정적이었다고 숙청.|| || 7 ||<|3> [[장쩌민]] ||[[1989년]] [[6월 23일]]||[[1992년]] [[10월 19일]]||13기 4중전회에서 선거.|| || 8 ||[[1992년]] [[10월 19일]]||[[1997년]] [[9월 18일]]||14기 1중전회에서 재선.|| || 9 ||[[1997년]] [[9월 18일]]||[[2002년]] [[11월 14일]]||15기 1중전회에서 재선.|| || 10 ||<|2> [[후진타오]] ||[[2002년]] [[11월 14일]]||[[2007년]] [[10월 21일]]||16기 1중전회에서 선거.|| || 11 ||[[2007년]] [[10월 21일]]||[[2012년]] [[11월 14일]]||17기 1중전회에서 재선.|| || 12 ||<|3> [[시진핑]] ||[[2012년]] [[11월 14일]]||[[2017년]] [[10월 24일]]||18기 1중전회에서 선거.|| || 13 ||[[2017년]] [[10월 24일]]||[[2022년]] [[10월 23일]]||19기 1중전회에서 재선. || || 14 ||[[2022년]] [[10월 23일]]|| 재임 중 ||20기 1중전회에서 3선. || == 같이보기 ==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 참고문헌 == * 김정계, 중국공산당 100년사 1921~2021(서울: 역락, 2021). * 조영남, 「중국 마오쩌둥 시대의 엘리트 정치: ‘일인지배’의 사례」 『중소연구』 43(2) (2019.8). * 本书编委会编, 中国共产党历次党章汇编(1921 ~ 2012) (北京: 中国方正出版社,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