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1200px-USTC_logo_2008.svg.png|width=20]] {{{#005baa '''중국과학기술대학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소속대학)] [include(틀:구교연맹)] [include(틀:중국 교우회 중국대학 랭킹)] [include(틀:APRU 소속 대학)] [include(틀:AEARU 소속 대학)] }}}|| ||<-3> {{{#FFFFFF '''중국과학기술대학'''}}}[br]{{{+4 {{{#FFFFFF '''中国科学技术大学'''}}}}}}[br]{{{#ffcc00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 ||<-3><:> [br] [[파일:1200px-USTC_logo_2008.svg.png|width=280]] [br][br]|| ||<-2> {{{#FFFFFF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2> {{{#FFFFFF '''분류'''}}} ||<(> [[공립대학]] || ||<-2> {{{#FFFFFF '''개교'''}}} ||<(> [[1958년]] [[9월 20일]] || ||<-2> {{{#FFFFFF '''총장'''}}} ||<(> {{{#000 바오신허(包信和)}}}[* 푸단대학 화학과 78학번 ] || ||<-2> {{{#FFFFFF '''당위서기'''}}} ||<(> {{{#000 수궈췬(舒歌群)}}}[* 저장대학 열물리과학과 80학번] || ||<-2> {{{#FFFFFF '''주소'''}}} ||<(>[[안후이성]] [[허페이시]] {{{#000 바오허구 후이저우로 96번[br]安徽省合肥市包河区金寨路96号}}} || ||<|2> {{{#FFFFFF '''조직'''}}} || {{{#FFFFFF '''교육기구'''}}} ||<(>{{{#000 '''이공계 단과대학''' 15개[br]'''학부''' 30개[br]'''학부 전공''' 37개}}} || || {{{#FFFFFF '''국가중점학과'''}}} ||<(>{{{#000 '''1급 석사''' 34개 [br]'''1급 박사''' 28개}}} || ||<|2> {{{#FFFFFF '''재학생'''}}} || {{{#FFFFFF '''학부생'''}}} ||<(> {{{#000 7,667명}}} || || {{{#FFFFFF '''대학원생'''}}} ||<(>{{{#000 8,921명}}} || ||<-2> {{{#FFFFFF '''교직원'''}}} ||<(>{{{#000 1,542명}}} || ||<-2> {{{#FFFFFF '''학교 유형'''}}} ||<(>{{{#000 과학 및 공학}}} || ||<-2> {{{#FFFFFF '''소속'''}}} ||<(>[[파일:중국과학원 로고.jpg|width=20]][[중국과학원]] || ||<-2> {{{#FFFFFF '''링크'''}}} ||<(>[[https://www.ustc.edu.cn/|공식 사이트]] || ||<-3> {{{#FFFFFF '''지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너비=100%, 높이=100%)]}}}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6EMewbXBWk)]}}}|| ||<:>{{{#FFFFFF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br](2020 Welcome to USTC)[* 공식 사이트는 아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tc_background.jpg|width=100%]]}}} || || {{{#fff '''USTC 중국과학기술대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과학원]] 직속의 종합대학이다. 중국의 [[KAIST]]라고도 불리며 [[구교연맹]]에도 들어간다. 첨단 과학과 하이테크(高新技术)를 주로 연구하며, 의학과 경영, 인문과학을 부로 연구하는 종합성 국가중점대학이다. [[중국과학원]], 중국교육부, [[안후이성]]이 합작하여 설립했으며, 중국중앙직관부부급의 관리감독을 받는다. == 상세 == * [[중국]]의 [[구교연맹]](C9) 대학중엔 설립이 가장 늦은 대학이지만 ‘중국 10대 과학기술 진전 뉴스’와 ‘중국 과학기술 10대 진전’에서 성과가 가장 많은 대학이다. * 소수 정예를 지향하므로 학교 규모는 [[중국]]의 대학교 치고는 작은 편.[* 물론, 어디까지나 [[대륙]] 기준에서 작다는 것이지, 재학생수가 16,000명이 넘고 캠퍼스도 크다. 즉, [[베이징대학]]이나 [[칭화대학]]처럼 재학생이 40,000명이 넘는 중국의 대학하고 비교하면 소수정예라는 것.] 다른 대학들이 학생을 확대해서 모집하고 있는 상황에서 매년 1,860명의 정원만 뽑지만 무려 매 1,000명의 학사 졸업생에서 원사 1명, [[석사]]와 [[박사]] 700여명이 육성되어 전국 대학에서 비율이 가장 높다. * [[푸단대학]], [[상하이교통대학]], [[저장대학]], [[난징대학]]과 함께, 이 다섯 학교는 모두 중국 화동 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화동오교(华东五校)라고 불린다. == 출신 == 리시팅: 물리학과, 마이루이 회장 == 기타 == 중국에는 아직 호적제도가 존재하며 도시호적이 없으면 시민으로서의 대우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 베이징 호적이 제일 인기가 높은데 상위 7대학인 칭화대, 베이징대, 푸단대, 상해교통대, 저장대, 난징대, 중국과기대 재학생은 졸업시 바로 베이징 호적을 가질 수 있는 특권을 받는다. [[분류:안후이성의 대학]][[분류:211공정]][[분류:985공정]][[분류:구교연맹]][[분류:1958년 개교]][[분류:중국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