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상청]][[분류:연구소]][[분류:중국의 국가행정조직]] [include(틀: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사업)] ||<-2> '''{{{+1 [ruby(中国, ruby=Zhōngguó)][ruby(气象局, ruby=Qìxiàngjú)]}}}[br]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br]중국기상국''' || ||<-2> [[파일:중국기상국 로고.png|width=80%]] || || '''명칭''' || 中国气象局[br](중국기상국) || || '''설립일''' || [[1953년]] [[8월 1일]][br]중앙기상국 || || '''소재지''' || [[베이징시]] [[하이뎬구]] [[중관춘]]난다제46호[br]北京市海淀区中关村南大街46号 || || '''국장''' || 천젠린(陈振林)[* 당조서기 겸임] || || '''부국장''' || 비바오구이(毕宝贵)[br]장주창(张祖强) || || '''총공정사''' || 리젠(黎健) || || '''상급기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 '''홈페이지''' || [[http://www.cma.gov.cn/| [[파일:중국기상국 로고.png|width=3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의 차관급 사업체로, 중국의 [[기상청]]이다. 본래 중국의 기상업무는 [[1949년]]부터 시작하였으나 당시에는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中央人民政府人民革命军事委员会) 소속으로, 군대가 관련 사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50]]년에 중앙기상대(中央气象台)가 중앙인민정부 정무원 직속 사업체로 생겨나고, 이에따라 [[1953년]]부터 기상업무를 정무원 산하로 변경하기로 결정, 정무원 산하 '''중앙기상국(中央气象局)'''이 탄생한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시기 국무원 부서들이 하나하나 해체되는 와중에 중앙기상국 역시 [[1970년]]에 사라졌으며, 관련 업무는 다시 [[인민해방군]]이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3년 뒤인 [[1973년]]에 다시 중앙기상국이 부활한다. [[1982년]]에 명칭이 중앙기상국에서 '''중국기상국(中国气象局)'''으로 변경되었으며, [[1994년]]에 정부 행정기관에서 사업체로 변경된다. [[2017년]] 5월, 제 69차 [[세계기상기구]] 회의에서 중국 기상국은 지역특별기상센터(RSMC)의 일원으로 등록된다. 다만 [[일본 기상청]]의 존재 때문에 영향력이 그리 강하지는 않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2023년 2월 3일, [[중국 정찰풍선 사건]]이 발생한 당일 전임 국장인 좡궈타이(庄国泰)가 갑작스럽게 경질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33688?sid=102|#]] 후임으로 천젠린(陈振林) 부국장이 임명되었다. == 담당 직무 == * 1. 기상사업 방침 및 정책, 법률법규, 발전전략과 장기적 계획을 기안하고 기상사업의 규장제도를 제정 및 발표하며 기술표준 및 규범을 감독 및 실시한다. 기상행정 집법 및 행정재심사업을 담당한다. * 2. 기상재해예방규획을 조직 및 기안하고 실시하며, 정부 기상방재예방정책의 조직 및 기상방재예방사업에 참여한다. * 국가기삭재해 응급예안 조직 * 기상재해 방어 및 응급관리사업 * 기상재해 감측 및 경보, 정보 발표통계의 건설 및 기상재해 감측경보 및 정보공개 * 국가중대 돌발공공사건의 경보 정보의 발표사업 * 중대활동, 돌발 공공사건의 기상보장사업 * 중대재해성 기후의 지구 및 부처간 기상 상호방위 및 중대기상보장 * 기상재해위험조사 및 위헙구획과 위험쳥가사업 * 국가중점사업, 중대구역성 경제개발프로젝트 및 도시 기상시스템 건설 * 인공기후사업 관리 * 3. 국무언의 기타 부서의 기상사업기구의 실행을 관리하며, 전국 육지, 하천 및 호수와 해상기상의 관측과 기상대 네트워크, 기상기초시설 및 대형 기상기술장비의 발전 및 확산을 통일적으로 규획하고 기상정보 채집 및 운송, 역량평가 심의를 조직 및 감독, 실시한다. 또한 기상기술 장비 보장 및 질량 감독, 기상수치 감독, 전국 중대형 기상프로젝트의 입항 방안 심의를 조직 및 감독한다. * 4. 전국 육지, 하천 및 호수와 해상 기상정보 예보 및 경보, 단기기후예층, 항공기후재해 감측 및 예보 경보, 도시환경기상예보, 화재예방 기상등급의 옙 및 기후영향평가의 발표를 관리한다. 또한 대기환경 영향평가 논증 및 심사를 조직한다. * 5.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사업을 담당한다. * 기후자원 및 종합조사, 구획, 기후자원 개발 및 이용, 보호의 지도 * 국가중점건설사업, 중대구역성 경제개발프로젝트 및 도시건설규획의 기상조건 논증 조직 * 6. 기상부서의 과학기술체계의 개혁을 조직 및 지도하며, 기상영역의 중대과학연구 중점 및 성과의 보급 및 응용, 기상과학기술 개발조정, 기술합작 및 기술보급을 조직한다. 또한 기상과학지식의 선전 및 보급을 조직하며 전민기상방재 및 예방과 기후자원의식을 드높인다. * 7. 기상 외사공작을 관리하며, 자국 정부를 대표하여 세계 기상조직 및 기타 국제기상기구 활동에 참여하고 외국 정부 기상기구간의 합작 및 교류를 개전한다. * 8. 전국 기상부서 사업을 통일적으로 영도한다. 중국 기상국은 성급 기상부서의 계획재무, 기구편제, 인사노동, 대오건설, 교육배훈 및 업무건설을 주관한다. 또한 지방기상사업의 발전을 지도한다. * 9. 지방인민정부의 지방기상작업팀의 사상정치사업 및 정신문면건설을 지도 및 협조한다. * 10. 기타 국무원이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 산하 기관 == === 내부 기관 === * 판공실(办公室) * 응급감해 및 공공복무사(应急减灾与公共服务司) * 예보 및 네트워크사(预报与网络司) * 종합관측사(综合观测司) * 과기 및 기후변화사(科技与气候变化司) * 계획재무사(计划财务司) * 인사사(人事司) * 정책법규사(政策法规司) * 국제합작사(国际合作司) * 기관 당위(机关党委) * 이퇴휴간부판공실(离退休干部办公室) === 직속 사업 === * 국가기상센터(国家气象中心) * 중앙기상대(中央气象台) * 국가기후센터(国家气候中心) * 국가위성기상센터(国家卫星气象中心) * 국가항공날씨감측경보센터(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 국가기상정보센터(国家气象信息中心) * 기상심측센터(气象探测中心) * 공공기상서비스센터(公共气象服务中心) * 중국기상과학연구원(中国气象科学研究院) * 기상발전 및 규획원(气象发展与规划院) * 기관복무센터(机关服务中心) * 기상선전 및 과보센터(气象宣传与科普中心) * 중국기상보사(中国气象报社) * 기상출판사(气象出版社) === 지방국 === * [[베이징]] 기상국(北京气象局) * [[톈진]] 기상국(天津气象局) * [[충칭]] 기상국(重庆气象局) * [[허베이]] 기상국(河北气象局) * [[산서성|산시]] 기상국(山西气象局) * [[지린성|지린]] 기상국(吉林气象局) * [[랴오닝]] 기상국(辽宁气象局) * [[헤이룽장성|헤이룽장]] 기상국(黑龙江气象局) * [[섬서성|산시]] 기상국(陕西气象局) * [[간쑤]] 기상국(甘肃气象局) * [[칭하이성|칭하이]] 기상국(青海气象局) * [[산둥]] 기상국(山东气象局) * [[푸젠]] 기상국(福建气象局) * [[저장성|저장]] 기상국(浙江气象局) * [[허난]] 기상국(河南气象局) * [[후베이]] 기상국(湖北气象局) * [[후난]] 기상국(湖南气象局) * [[장시성|장시]] 기상국(江西气象局) * [[장쑤]] 기상국(江苏气象局) * [[안후이]] 기상국(安徽气象局) * [[광둥]] 기상국(广东气象局) * [[하이난]] 기상국(海南气象局) * [[쓰촨]] 기상국(四川气象局) * [[구이저우성|구이저우]] 기상국(贵州气象局) * [[윈난]] 기상국(云南气象局) * [[내몽골 자치구|내몽골]] 기상국(内蒙古气象局) *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 기상국(新疆气象局) * [[닝샤 후이족 자치구|닝샤]] 기상국(宁夏气象局) * [[광시 좡족 자치구|광시]] 기상국(广西气象局) * [[티베트 자치구|시짱]] 기상국(西藏气象局) === 산하 교육기관 === * 기상간부배훈학원(气象干部培训学院) == 기상재해예경신호 == 중국의 기상특보제도로, 중국기상국은 총 14개의 기상특보체제를 수립중이다. 기본적으로 남(蓝/Ⅳ), 황(黄/Ⅲ), 등(橙/Ⅱ), 홍(红/Ⅰ)의 4개의 등급으로 나뉘나 반드시 4개인 것은 아니며, 또한 꼭 숫자에 맞추어 등급을 나누지도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태풍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태풍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태풍남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았거나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연안 및 육지의 평균 풍속은 6 이상, 돌풍은 8 이상이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태풍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태풍황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았거나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연안 및 육지의 평균 풍속은 8 이상, 돌풍은 10 이상이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태풍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태풍등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았거나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연안 및 육지의 평균 풍속은 10 이상, 돌풍은 12 이상이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태풍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태풍홍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았거나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연안 및 육지의 평균 풍속은 12 이상, 돌풍은 14 이상이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폭우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폭우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우남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폭우]] 강우량이 50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폭우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우황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폭우]] 강우량이 50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폭우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우등색경보.png|width=150]] || 3시간 이내에 [[폭우]] 강우량이 50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폭우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우홍색경보.png|width=150]] || 3시간 이내에 [[폭우]] 강우량이 100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우 지속 가능성 있음 || === 폭설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폭설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설남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폭설]] 강설량이 4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설 지속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폭설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설황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폭설]] 강설량이 6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설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폭설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설등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폭설]] 강설량이 10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설 지속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폭설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폭설홍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폭설]] 강설량이 15mm이거나 도달 후에도 폭설 지속 가능성 있음 || === 한파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한조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한조남색경보.png|width=150]] || 48시간 이내 최저기온이 8°C 이상 떨어지고 최저기온이 4°C 이하이며 육지 평균풍속이 5단계 이상에 도달하거나 도달 할 수 있음 || || '''Ⅲ[br]黄''' || 한조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한조황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 최저기온이 10°C 이상 떨어지고 최저기온이 4°C 이하이며 육지 평균풍속이 6단계 이상에 도달하거나 도달 할 수 있음 || || '''Ⅱ[br]橙''' || 한조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한조등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 최저기온이 12°C 이상 떨어지고 최저기온이 0°C 이하이며 육지 평균풍속이 6단계 이상에 도달하거나 도달 할 수 있음 || || '''Ⅰ[br]红''' || 한조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한조홍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 최저기온이 16°C 이상 떨어지고 최저기온이 0°C 이하이며 육지 평균풍속이 6단계 이상에 도달하거나 도달 할 수 있음 || === 강풍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대풍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풍남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평균 풍속 6, 돌풍 7 이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대풍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풍황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평균 풍속 8, 돌풍 9 이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대풍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풍등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평균 풍속 10, 돌풍 11 이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대풍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풍홍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평균 풍속 12, 돌풍 13 이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모래폭풍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사첨폭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사첨폭황색경보.png|width=150]] || 12시간 이내에 가시거리 1,000m 미만의 모래폭풍이 발생 및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사첨폭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사첨폭등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가시거리 500m 미만의 모래폭풍이 발생 및 지속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사첨폭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사첨폭홍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가시거리 50m 미만의 모래폭풍이 발생 및 지속 가능성 있음 || === 고온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고온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고온황색경보.png|width=150]] || 3일 연속 최고기온 35°C 이상 || || '''Ⅱ[br]橙''' || 고온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고온등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최고기온 37°C 이상 || || '''Ⅰ[br]红''' || 고온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고온홍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최고기온 40°C 이상 || === 천둥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뇌전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뇌전황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천둥활동 및 낙뢰재해 발생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뇌전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뇌전등색경보.png|width=150]] || 2시간 이내에 거대한 천둥활동 혹은 이미 천둥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천둥활동으로 인한 낙뢰사고 가능성 비교적 큼 || || '''Ⅰ[br]红''' || 뇌전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뇌전홍색경보.png|width=150]] || 2시간 이내에 매우 큰 천둥활동 혹은 이미 강렬한 천둥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천둥활동으로 인한 낙뢰사고 가능성 매우 큼 || === 도로결빙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도로결빙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도로결빙황색경보.png|width=150]] || 최저기온 0°C 미만의 상태에서 12시간 이내에 강수가 발생, 도로빙결 및 교통영향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도로결빙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도로결빙등색경보.png|width=150]] || 최저기온 0°C 미만의 상태에서 6시간 이내에 강수가 발생, 도로빙결 및 교통영향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도로결빙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도로결빙홍색경보.png|width=150]] || 최저기온 0°C 미만의 상태에서 2시간 이내에 강수가 발생 혹은 이미 발생하여 도로교통 영향 가능성 매우 큼 || === 안개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대무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무황색경보.png|width=150]] || 가시거리 500m 미만의 안개가 12시간 이내에 나타나 500~200m의 가시거리 유지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대무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무등색경보.png|width=150]] ||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안개가 6시간 이내에 나타나 200~50m의 가시거리 유지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대무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대무홍색경보.png|width=150]] || 가시거리 50m 미만의 안개가 2시간 이내에 나타나 50m 미만의 가시거리 유지 가능성 있음 || === 연무특보[* 미세먼지 및 황사 시에도 발효됨]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Ⅲ[br]黄''' || 매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매황색경보.png|width=150]] || 가시거리 3,000m 미만의 연무가 12시간 이내에 나타나 가시거리 유지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매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매등색경보.png|width=150]] || 가시거리 2,000m 미만의 연무가 6시간 이내에 나타나 가시거리 유지 가능성 있음 || === 서리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Ⅳ[br]蓝''' || 상동 남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상동남색경보.png|width=150]] || 48시간 이내에 최저기온 0°C 밑으로 내려가 농업에 영향 미칠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상동 황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상동황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최저기온 3°C 밑으로 내려가 농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 '''Ⅱ[br]橙''' || 상동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상동등색경보.png|width=150]] || 24시간 이내에 최저기온 5°C 밑으로 내려가 농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 가뭄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Ⅱ[br]橙''' || 건한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건한등색경보.png|width=150]] || 일주일 내에 특정 지역 작물의 40% 이상이 가물 예정 || || '''Ⅰ[br]红''' || 건한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건한홍색경보.png|width=150]] || 일주일 내에 특정 지역 작물의 60% 이상이 가물 예정 || === 우박특보 === || 등급 || 명칭 || 아이콘 || 내용 || || '''Ⅱ[br]橙''' || 빙박 등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빙박등색경보.png|width=150]] || 6시간 이내에 번개를 동반한 우박 및 간련 재해 가능성 있음 || || '''Ⅰ[br]红''' || 빙박 홍색예경신호 || [[파일:중국기상국 빙박홍색경보.png|width=150]] || 2시간 이내에 번개를 동반한 우박 및 관련 재해 가능성 높음 || == 그 외 특보 == 위의 14개의 특보와는 별개로 중국기상국이 제정한 기상특보 목록이다. === 해풍특보 === || 등급 || 명칭 || 내용 || || '''Ⅳ[br]蓝''' || 해상대풍 남색예경신호 || 풍력 7~8 또는 돌풍 9~11의 바람이 향후 48시간 내로 해역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나타났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Ⅲ[br]黄''' || 해상대풍 황색예경신호 || 풍력 9~10 또는 돌풍 11~12의 바람이 향후 48시간 내로 해역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나타났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Ⅱ[br]橙''' || 해상대풍 등색예경신호 || 풍력 11 이상 또는 돌풍 13 이상의 바람이 향후 48시간 내로 해역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나타났으며 지속 가능성 있음 || === 산불특보 === 산불특보는 [[중국 국가임업초원국|임업초원국]]이 제정한 산불 위험도를 기준으로 제작하였다. 임업초원국의 산불 위험도는 [[중국 국가임업초원국#삼림화험예경신호|해당 항목]] 참고. || 등급 || 명칭 || 내용 || || '''Ⅲ[br]黄''' || 삼림화험 황색예경신호 || 특정 지역의 산불 위험도가 8일 동안 3등급 이상, 5일 동안 4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이 24시간 이내로 4등급 유지 시 || || '''Ⅱ[br]橙''' || 삼림화험 등색예경신호 || 특정 지역의 산불 위험도가 5일 동안 4등급 이상, 당일 5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이 24시간 이내로 5등급 유지 시 || || '''Ⅰ[br]红''' || 삼림화험 홍색예경신호 || 특정 지역의 산불 위험도가 3일 동안 5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이 24시간 이내로 5등급 유지 시 || === 오존특보 === || 등급 || 명칭 || 내용 || || '''Ⅲ[br]黄''' || 지면취양 황색예경신호 || 24시간 이내 평균 8시간 지상 오존 215μg/m³ 이상 혹은 시간 당 평균 300μg/m³이상일 시 || || '''Ⅱ[br]橙''' || 지면취양 등색예경신호 || 24시간 이내 평균 8시간 지상 오존 265μg/m³ 이상 혹은 시간 당 평균 400μg/m³이상일 시 || || '''Ⅰ[br]红''' || 지면취양 홍색예경신호 || 24시간 이내 시간 당 평균 오존 800μg/m³ 이상일 시 || == 역대 중국기상국장 == [include(틀:역대 중국기상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