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양이속]] ||<-2> '''{{{#fff {{{+1 중국살쾡이}}}(중국삵, 중국산악고양이)[br]한문명 | Chinese mountain ca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국살쾡이.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Felis bieti'' '''[br]Milne-Edwards, 1892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 ^^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 ^^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 ^^Carnivo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 ^^Fel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고양이속 ^^Feli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중국살쾡이 ^^''F.bieti''^^'''||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살쾡이는 소형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로, 중국 서부의 고유종이다. == 상세 == 겉털은 어두운 색이지만 속털은 모래색이다. 얼굴과 다리에 희미하고 어두운 가로 줄무늬가 있지만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귀 끝은 검고 비교적 넓은 두개골을 가지고 있으며 발바닥 사이에 긴 털이 자란다. 배는 흰색이고 다리와 꼬리에는 검은색 고리 무늬가 있다. 꼬리 끝은 검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69~84cm(27~33인치)이고 꼬리 길이는 29~41cm(11~16인치)이다. 성체의 무게는 6.5~9kg이다. == 분포 == 티베트 고원의 북동쪽 가장자리인 [[칭하이]] 동부와 [[쓰촨성]] 북서부 지역에서만 살고 있다. 해발 2,500~5,000m(8,200~16,400피트) 사이의 고지대 대초원, 고산 관목 및 [[침엽수림]]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사막이나 숲, 우거잔 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 생태 및 행동 양식 ==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으로, [[우는토끼]], [[설치류]], [[새]]를 잡아먹는다. 1~3월 사이에 번식하고 암컷은 한적한 굴에서 새끼 2~4마리를 낳는다. == 분류 == 한때 유전적 증거에 근거하여 2007년에 ''F. silvestris bieti''라는 이름으로 [[들고양이]]의 아종으로 잠정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후 유럽삵과 형태적으로 잠정 구별되어 2017년부터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았다. == 멸종 위기 == 중국살쾡이는 현재 피카를 죽이기 위해 풀어놓은 독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먹이인 피카의 개체수를 감소시키고 중독된 피카를 잡아먹은 중국살쾡이를 죽이기도 한다.개체 수가 10,000마리 미만일 수 있어 2002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고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동물보호법, 삼림법 등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고 2021년 2월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야생동물 보호법에 따라 국가 1급 보호동물에 포함된다. == 관련 문서 == * [[고양이속 생물 분류]] * [[들고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