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중, 문서명=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토론사유=출처의 적절성)] [include(틀:제2차 냉전)] [include(틀:한국-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2> '''{{{+1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br]{{{-1 中国海外派出所侵犯他国事件[* 中华人民共和国海外派出所侵犯他国事件][br]中國海外派出所侵犯他國事件[* 中華人民共和國海外派出所侵犯他國事件][br]海外110中心[br]PRC's Operation of Illegal Police Stations in Other Countries[br][[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Chinese Police]] Oversease service station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4bkw0_w0uc, width=100%, height=224)]}}} || ||<-2> {{{-1 '''▲ [[BBC]]의 보도'''}}}[br]{{{-2 (2022년 10월 26일)}}} || || '''발생 일시''' ||[[2022년]] [[9월 14일]] ~ || || '''발생 장소'''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등 세계 각국 || || '''유형''' ||'''[[분쟁|국제분쟁]] 및 [[간첩|스파이]] 문제(주권침범, 내정간섭)''' || || '''가해국'''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피해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등 '''최소 53개 국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10월]]에 [[네덜란드]]와 [[영국]], [[캐나다]] 등 30여 개 국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이 당사국의 허가 없이 식당 등으로 위장된 비밀 경찰조직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공식적으로 경찰관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는 했으나 [[중국]]이 러시아·일본 등에서 해당 국가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불법적으로 경찰서를 설치했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그리고 [[대한민국|한국]]에서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대한민국|발견]]되었다. 이게 사실이면 [[6.25 전쟁]] 당시의 침략, 전쟁범죄와 함께 [[한중관계]]가 [[이웃나라/안 좋은 사이|틀어질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된다. 즉 [[중국]]이 국제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자칫하면 [[중국]]의 [[중국/외교|외교적 지위]]가 [[소련]]과 같이 [[미국-중국 패권 경쟁|붕괴]]될 수 있다.[[https://v.daum.net/v/20221205130110854|#]][* 사실 중국은 꽤 오래 전부터 해외 공작을 할 때에 경찰을 이용하였는데, 애초에 중국은 대외 첩보부서가 경찰기관인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안전부|국가안전부]] 하나 뿐이다. 그래서 이번에 발각된 해외 공작거점도 경찰서의 형태를 띈 것이다. 다만 이번에는 첩보를 넘어서 아예 공안부까지 합세하여 당사국의 허가 없이 해외경찰센터를 세우고 일반적인 치안업무 일부를 맡은 것이 발각된 것이기 때문에 더 큰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기존에도 비슷한 성격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공작 거점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던 '''[[공자학원|공자학원(공자아카데미)]]''' 및 '''[[인민일보|피플닷컴코리아(인민망 한국어판)]]'''과 연관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불법적인 해외 활동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16802&Newsnumb=20221216802|#]] 사안이 사안이니만큼, 특히 우파 계열 언론에서 집중적으로 취재하고 있기도 하다. == 배경 == * 2022년 [[9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은 제13차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16차회의에서 '전기통신금융사기 방지에 관한 법{{{-1 (中华人民共和国反电信网络诈骗法)}}}'을 제정했다. [[https://world.moleg.go.kr/web/wli/lgslInfoReadPage.do?CTS_SEQ=49152&AST_SEQ=53&nationReadYn=Y&ETC=1&searchNtnl=CN|세계법제정보센터]]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26_0002062723|기사{{{-2 (뉴시스)}}}]] 문제는 이 법령이 전세계에 대한 [[치외법권]] 관할권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 전개 == * [[2021년]] [[2월 8일]][*현지시각],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리수이시]] 공안국은 아래와 같은 글을 올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내에서 무허가 경찰관서를 운영 중이라는 사실을 [[자폭#s-6|셀프 인증해 버렸다]]. >前不久,在荷兰经营一家中餐馆的青田人金龙青因为疫情回不了国,而他的驾驶证即将到期,他正为这个事情发愁呢。2020年11月22号,他在华人微信群看到"丽水警侨驿站"海外分站荷兰阿姆斯特丹站发出的关于驾驶证延期的通知,马上加了驿站工作人员陈杰的微信。陈杰核对了申请人的信息后,迅速上传到警侨驿站工作群。半小时不到,群里的车管所工作人员就发来了延期回执。金龙青不由地发了朋友圈感叹警侨驿站的高效 >얼마 전 네덜란드(荷兰)에서 [[중식당]]을 운영하는 칭톈(青田) 현[* 저장성 리수이시의 현이다.] 출신 진룽칭(金龙青)은 전염병으로 인해 자국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고, 게다가 그의 [[운전면허증]]이 머지않아 만료되었기에, 그는 해당 상황을 걱정했다. [[2020년]] [[11월 22일]], 그는 중국인 위챗에서 '''리수이시 경찰 서비스센터(警侨驿站) 해외분점(海外分站)'''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阿姆斯特丹) 점이 발표한 운전면허증 연장통지를 보았고, 즉시 직원 첸제(陈杰)에게 [[위챗]]을 보냈다. 첸제는 신청자의 정보를 대조한 후 재빨리 경찰 서비스센터에 정보를 전달하였다. 30분도 안 되어서, 차량 관리소 직원이 연장 증명서를 보냈다. 진룽칭은 경찰 서비스센터의 효율성을 감탄하였다.[*주의 이 번역문은 [[구글 번역]]을 거친 후 일부 문맥이 안 맞는 부분을 수정한 것이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 >'''리수이 시 공안국의 홍보 게시물 중'''{{{-2 (2021년 2월 8일 공개)}}} [[http://lsga.lishui.gov.cn/art/2021/2/8/art_1229219741_58873647.html|리수이 시 공안국]] * 2022년 [[9월]][*현지시각], [[스페인]] 소재 [[비정부기구|국제 NGO]]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자체 보고서를 통해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전세계에 해외경찰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2/oct/26/china-using-police-bases-in-netherlands-to-target-dissidents-say-reports|기사{{{-2 (가디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2482|기사{{{-2 (중앙일보)}}}]] * 중화인민공화국은 주재국의 협조 내지 허락 없이 2개 [[성(행정구역)|성(省)]]의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공안당국]] 주도로 '''5개 대륙 21개국'''에 '''총 54개'''의 '해외경찰 서비스센터(海外警僑服務站)'를 운영 중에 있으며 그 기관의 대부분이 유럽{{{-1 (스페인 9개, [[이탈리아]] 4개, 영국 3개 등)}}}에 있다고 한다. *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동아시아]]에는 [[일본]]의 [[도쿄도]]에 1개소, [[몽골]]의 [[울란바토르]]에 1개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한민국에는 없다고 되어 있었으나 이후 '''대한민국에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2022년 [[10월 4일]][*현지시각], 캐나다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무허가 경찰관서에 대한 조사에 돌입하면서 성명을 냈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2022년 [[10월 13일]][*현지시각], [[호주]]의 공영 방송사 [[ABC(호주)|ABC]]는 '중화인민공화국 원저우시 공안국이 [[2018년]]부터 4년 동안 호주 [[시드니]]에서 '해외경찰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abc.net.au/news/2022-10-13/beijing-sets-up-overseas-police-presence-including-in-australia/101512216|기사{{{-2 (ABC)}}}]]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2022년 [[10월 26일]][*현지시각], 네덜란드의 언론사 'RTL 뉴스{{{-1 (RTL Nieuws)}}}'와 탐사보도 플랫폼 '팔로우 더 머니{{{-2 (Follow The Money)}}}'는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에 중화인민공화국 측의 무허가 경찰관서 2곳이 운영 중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tlnieuws.nl/onderzoek/artikel/5342214/china-illegale-politiebureaus-nederland-dissidenten-onderzoek|기사{{{-2 (RTL)}}}]] [[https://www.yna.co.kr/view/AKR20221026172100098|기사{{{-2 (연합뉴스)}}}]] * 해당 관서는 2018년에 개설된 이후 현지 중국인 대상으로 운전면허증 갱신 등 일반적인 경찰 업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찰|비밀경찰]]로 기능하면서 현지 반체제 인사들을 단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한다. * 이 보도를 계기로 [[로이터]], [[더 가디언]], [[파이낸셜 타임스]], [[AFP]], [[BBC]] 등 세계 주요 언론들이 이 사건에 대해 본격적으로 보도하기 시작했다. * 2022년 [[12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48개의 관서가 추가로 파악됐다고 미국 뉴스채널 CNN이 스페인 마드리드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를 인용해 4일 보도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1204050900009?section=international/all|#(1)]][[https://v.daum.net/v/20221205130110854|#(2)]] == 센터 목록 == 아래의 센터 목록은 세이프가드 디펜더스의 보고서를 참조한 내용이다. [[https://safeguarddefenders.com/sites/default/files/pdf/110%20Overseas%20(3).pdf|보고서]][*원문] 주재국 위치에 따라 저장성 [[리수이시]] 공안국, 저장성 [[원저우시]] 공안국, 장쑤성 [[난퉁시]] 공안국, 푸젠성 [[푸저우시]] 공안국 등 4개 공안국에서 권역을 나눠 관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는 한국의 어느 지역에 이런 시설이 있는지 밝히지 않았지만 난퉁 공안국 산하 조직으로 추정했다. === 푸저우 관할 === [[푸젠성]] [[푸저우시]] 공안국에 소속된 해외경찰 서비스센터이다. * '''유럽(17개소)''' * [[그리스]](1개소): [[아테네]] * 네덜란드(1개소): 로테르담 * 스페인(5개소): [[마드리드]](2개), [[바르셀로나]](2개), [[발렌시아(스페인)|발렌시아]] * [[아일랜드]](1개소): [[더블린]] * 영국(3개소): [[런던]](2개), [[글래스고]] * 이탈리아(1개소): [[프라토]] * [[체코]](1개소): [[프라하]] * [[포르투갈]](2개소): [[포르투]], [[마데이라 제도]] * 프랑스(1개소): [[파리(프랑스)|파리]] * [[헝가리]](1개소): [[부다페스트]] * '''아메리카(8개소)''' * 미국(1개소): [[뉴욕시|뉴욕]] * [[브라질]](1개소): [[상파울루]] * [[아르헨티나]](1개소): [[부에노스 아이레스]] * [[에콰도르]](1개소): [[키토]] * [[칠레]](1개소): [[비냐 델 마르]] * 캐나다(3개소): [[토론토]](3개) * '''아시아(4개소)''' * 몽골(1개소): 울란바토르 * [[브루나이]](1개소): [[반다르스리브가완]] * [[우즈베키스탄]](1개소): [[시르다리요]] * 일본(1개소): 도쿄 * '''아프리카(2개소)''' * [[나이지리아]](1개소): [[베닌 시티]] * [[레소토]](1개소): [[마세루]] === 칭톈 관할 === 저장성 리수이시 공안국에 소속된 해외경찰 서비스센터이다. * '''유럽(18개소)''' * 네덜란드(1개소): 암스테르담 * [[독일]](1개소): [[프랑크푸르트]] * [[세르비아]](1개소): [[베오그라드]] * [[스웨덴]](1개소): [[스톡홀름]] * 스페인(4개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발렌시아(스페인)|발렌시아]] * [[슬로바키아]](1개소): [[브라티슬라바]] * [[오스트리아]](1개소): [[빈(오스트리아)|빈]] * [[우크라이나]](1개소): [[오데사]] * 이탈리아(3개소): [[로마]], [[밀라노]], [[피렌체]] * 체코(1개소): [[프라하]] * 포르투갈(1개소): [[리스본]] * 프랑스(1개소): [[파리(프랑스)|파리]] * 헝가리(1개소): [[부다페스트]] * '''아메리카(2개소)''' * 브라질(1개소): [[리우데자네이루]] * 에콰도르(1개소): [[과야킬]] * '''아시아(1개소)''' * [[캄보디아]](1개소): [[프놈펜]] * '''아프리카(2개소)''' * [[탄자니아]](1개소): [[다르에스살람]] == 문제점 == === 타국에 대한 일방적인 [[내정간섭|주권 침해]] === 외국에 그 나라 정부도 모르는 새 경찰서를 세워 운영한다는 것은 '''엄연한 내정간섭이자 외국이 지닌 주권 위반'''이다. [[경찰|경찰권]]은 특정 국가의 '[[주권]](主權)', 특히 '영토주권'과 관련된 사항으로, 만약 경찰관 파견이나 범죄인 인도 등이 필요했다면 해당 주재국에게 사전에 동의 또는 협조를 구해야 하며 실제로 한국 경찰도 필리핀에서 불법 도박 사이트나 성매매 사이트 운영자를 체포할 때 필리핀 경찰에게 사전에 협조를 요청을 하고 협동작전으로 이들을 일망타진한 것처럼 이것이 '''정식적인 절차'''이다. 그런데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문제]]나 [[신장 재교육 캠프]], 남중국해 분쟁 등 서방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로부터 지적을 들을 때마다 매번 '''"자국의 사정이자 주권이며 이를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엄연한 [[내정간섭]]"''' 등을 명분으로 내걸며 중국에 대한 제재는 적법하지 않다며 주장했었다. [[내로남불|즉, 중국은 자국 내정간섭은 하지 말라고 외치면서 정작 본인들은 외국 정부도 모르는 비밀경찰을 운영하며 주권침해 및 내정간섭을 하였기 때문에]] 중국의 지금껏 주장과 배치되는 행동이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26_0002062723|#]] 법리적 문제 또한 존재한다. 이 사건의 당사국들은 모두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서명했으므로 이 조약 제12조에 따라서 '공관이 설립된 이외의 다른 장소에 공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무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대국의 명시적인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부분을 무시한 것이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10271104011|#]] === [[중국/인권|인권 침해]] 문제 === 중화인민공화국이 해당국 정부의 허가 없이 타국 영토에서 일반적인 경찰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문제지만 제3국의 반공산당, 반체제 인사, 소수민족 분리주의자(티베트, 위구르), [[북한이탈주민]][* 실제로 중국, 러시아는 [[북한이탈주민]]이 자기 관할 영토에서 돌아다니는 것이 확인되면 북한으로 되돌려보낸다. 당연히 이 과정에서 되돌려진 [[북한이탈주민]]의 절대 다수가 [[북한/인권|학살]]을 당한다.], [[대만인]]이나 [[홍콩 민주화 운동]] 지지자들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치경찰|비밀경찰]]을 운영하여 그들의 가족들의 안전을 빌미로 회유하거나 위협하는 문제가 심각하다. 이는 신체의 자유,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자유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이며 국제적으로 비판받아도 할 말이 없는 사안이다. === [[간첩|불법공작]] 및 [[산업 스파이|산업스파이]] 문제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많은 나라에 [[산업 스파이|산업스파이]]들을 침투시키고 있는데, 이 사건으로 인해 그 내막이 일부 사실로 드러났다.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은 해외에서 활동하는 반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들의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불법 공작과 해외 군사정보 염탐을 위한 공작활동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중화인민공화국은 국제적으로 제재를 받아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 반응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화인민공화국]] ===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2022년 [[10월 26일]][*현지시각], 왕원빈 대변인은 세이프가드 디펜더스의 보고서에 대해 "완전히 거짓"이라면서 "코로나19 여파로 많은 해외 거주민들이 운전면허증 갱신등의 서비스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정부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했다", "서비스 센터는 이같은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 이런건 일반적으로 [[외교공관|영사관]]이 해야 할 일이다.]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euronews.com/2022/10/26/china-accused-of-operating-secret-police-stations-in-the-netherlands|기사{{{-2 (유로뉴스)}}}]] [[https://m.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10271104011|기사{{{-2 (경향신문)}}}]] * 12월 22일, 마오닝 대변인은 한국 내 '비밀 경찰서' 설치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중국은 일관되게 내정 불간섭 원칙을 견지하고 국제법을 엄격히 준수하며, 각국의 사법 주권을 존중해왔다"며 "당신이 거론한 소위 중국의 해외 경찰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7920?sid=104|#]] * '''네덜란드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 2022년 [[10월 26일]][*현지시각], [[로이터]]는 대사관에 해당 사안에 대해서 이메일로 질의를 했으나, 대사관측은 "이 사안에 대해 알지 못하고, 관여한 적도 없다"는 답을 보내왔다고 한다. [[https://www.reuters.com/world/dutch-investigating-alleged-unlicensed-china-govt-offices-netherlands-2022-10-26/|기사{{{-2 (로이터)}}}]] * '''[[주한중국대사관]]''' * 12월 23일, 대변인은 "23일 한국 개별 언론이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서울에 '해외경찰서'를 설치했으며 강남의 한 음식점이 거점으로 의심된다고 보도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유감을 표명했다.[* 후술한 조선일보의 보도를 말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언론들이 떠도는 소문을 근거로 고의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중단하고, 양국 국민 간 이해와 우호 감정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실질적인 일을 많이 하기를 바란다"고 날을 세웠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398047?sid=100|#]] === 피해국 ===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출력=, 크기=40)] [[네덜란드]] ==== * '''네덜란드 외무부''' * 2022년 [[10월 26일]][*현지시각], 네덜란드 외무부는 [[BBC]]의 질의에 "비공식적 경찰 조직 운영은 불법"이라면서 "이들이 네덜란드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 조사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3395617|기사{{{-2 (BBC)}}}]] [[https://www.ytn.co.kr/_ln/0104_202210261621134624|기사{{{-2 (YTN)}}}]] * 12월에 네덜란드 당국이 자국에서 불법으로 운영되던 이른바 '중국 비밀경찰서'가 폐쇄됐다.[[https://m.yna.co.kr/view/AKR20221221160900098?section=international/all|#]]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크기=40)] [[스페인]] ==== * '''스페인 정부''' * 2022년 10월[*현지시각], 스페인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무허가 경찰관서에 대한 수사에 돌입했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출력=, 크기=40)] [[아일랜드]] ==== * '''아일랜드 정부''' * 2022년 10월[*현지시각], 아일랜드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무허가 경찰관서에 대한 수사에 돌입했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 ==== * 영국 [[글래스고]]에서 추적 결과 [[레스토랑]] 중심가에 위치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https://ukdefencejournal.org.uk/china-accused-of-using-secret-police-facility-in-glasgow/|#]]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크기=40)] [[독일]] ==== * '''독일 정부''' * 2022년 10월[*현지시각], 독일 정부는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무허가 경찰관서에 대한 수사에 돌입했다.[[https://www.reuters.com/world/german-authorities-looking-into-reports-illegal-chinese-police-frankfurt-2022-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크기=40)] [[캐나다]] ==== * '''캐나다 외무부''' * 2022년 10월 4일[*현지시각], 웰던 엡(Weldon Epp) 캐나다 외무부 [[동북아시아]] 국장은 성명을 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제3국에서 벌이는 경찰권 행사는 완전히 불법이고 부적절하다."라면서 "중화인민공화국에 엄중 항의하고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캐나다 연방 경찰''' * 10월 27일 토론토 일대의 비밀경찰서 3곳을 적발했고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222500165|기사{{{-2 (헤럴드 경제)}}}]], 중국 대사를 불러 수차례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고 한다.[[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2/12/23/FDVBLTTJNBFGRHHDJ3DMQKDBTU/|기사{{{-2 (조선일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 ==== * 11월 17일. 크리스토퍼 레이 FBI 국장은 미 상원 국토안보위원회에서 해당 의혹과 관련된 릭 스콧 공화당 의원의 질의에 "이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 경찰서들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말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1118103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12월 7일, 미국 국무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무허가 경찰관서 운영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27753?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대한민국)] === 인권단체 === * '''세이프가드 디펜더스{{{-2 (Safeguard Defenders)}}}''' * 2022년 9월[*현지시각], 스페인 소재 [[비정부기구|국제 NGO]] '세이프가드 디펜더스'는 자체 보고서를 통해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전세계 21개국에 해외경찰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2482|기사{{{-2 (중앙일보)}}}]] 또한 "범죄와의 연관성을 확고히 하지 않은 채 주재국의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용의자들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의 미신고 경찰서 운영은 문제가 있다." 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주로 도망자들의 가족들에 대한 강요나 위협을 통해 도망자에게 귀국을 설득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고도 주장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26_0002062723|기사{{{-2 (뉴시스)}}}]] * 12월 22일, 세이프가드 디펜더스의 로라 하르스 캠페인 대표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공산당에 순응하는 세계 질서를 만들기 위한 중국의 초국가적 탄압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한국 등 민주주의 국가들이 연대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정부|한국 정부]]가 실태 조사에 착수한 것에 대해서는 "참여를 환영하고 모든 조력을 제공할 용의가 있다"며 "한국이 민주주의 국가들과 연대해 가치 수호 목소리를 내달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36550?sid=100|#]] === 전문가 === * '''친진{{{-2 (Chin Jin)}}}''' * 2022년 10월 13일[*현지시각], 친진 중국민주전선 의장은 [[에포크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공산당]]의 해외 경찰서 운영 문제는 그간 서방국이 오랫동안 도둑들을 초대하기 위해 문을 열어준 결과"라면서 "CCP는 세계 최대 범죄 조직이지만 서방 국가들은 이를 깨닫지 못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케빈 카리코{{{-2 (Kevin Carrico)}}}''' * 2022년 10월 13일[*현지시각], 카리코 호주 [[모나시 대학교]] 중국학 연구원은 에포크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중국 공산당|CCP]] 관련 기관이 자행하는 반인도적 범죄를 고려할 때 호주 정부는 그간 중화인민공화국과 체결한 모든 협정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논의해야 한다"라면서 "현재 호주 정부가 국가의 주권과 호주 시민들의 권리를 수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호주 내에 설치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외 경찰서를 폐쇄하고 이와 관련된 모든 기관 및 관계자들이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kr.theepochtimes.com/%E4%B8%AD%EA%B3%B5%EC%82%B0%EB%8B%B9-%ED%95%B4%EC%99%B8-%EA%B2%BD%EC%B0%B0%EC%84%9C-%EC%A0%84-%EC%84%B8%EA%B3%84-54%EA%B0%9C-%EC%84%A4%EB%A6%BD%ED%98%B8%EC%A3%BC%EC%84%9C-4_633245.html|기사{{{-2 (에포크타임스)}}}]] === 관련 문서 === * [[차이나 게이트]]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공자학원]] * [[주한 벨기에 대사 아내의 옷가게 점원 폭행 사건]] * [[반중/국가별 사례|반중 정서]] * [[중국/외교/비판|중국 외교의 문제점]] * [[중국공산당]] * [[중국공산당/비판|중국공산당 비판]] * [[범죄]] * [[간첩]] * [[산업 스파이]] * [[테러]] * [[중국/인권 탄압|중국의 인권 문제]] * [[북한이탈주민]] * [[홍콩 민주화 운동]]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는 법률제도와 집행기제 수립 및 완비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홍콩 국가보안법]]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민주화 운동/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민주화 운동]] * [[베이징의 봄]] * [[천안문 6.4 항쟁]] * [[천안문 어머니회]] * [[중국 재스민 혁명]]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신장 재교육 캠프]] * [[류사오보]] * [[티베트 노동수용소]] [[분류:2022년/사건사고]][[분류:중국의 외교]][[분류:중국의 정치적 억압]][[분류:시진핑 시대]][[분류:네덜란드의 외교]][[분류:호주의 외교]][[분류:영중관계]][[분류:캐나다-중국 관계]][[분류:미중관계]][[분류:중일관계]][[분류:중국-몽골 관계]][[분류:프랑스-중국 관계]][[분류:한중관계]][[분류:중러관계]][[분류:정치 사건 사고]][[분류:범세계적 사건사고]][[분류: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분류:대한민국의 범죄]][[분류:제2차 냉전]][[분류:중국의 사건사고]][[분류:간첩]][[분류:중국공산당]][[분류:외교 사건 사고]] [include(틀:포크됨2, title=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d=2022-12-28 14: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