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스리랑카의 대외관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스리랑카|{{{#8d153a '''스리랑카'''}}}]] || [목차] == 개요 == [[중국]]과 [[스리랑카]]의 관계. 파키스탄과 마찬가지로 [[친중]]/[[반러]](과거에는 반소) 포지션 국가이다. 1990년대 이래 [[스리랑카 내전]] 기간 동안 스리랑카에 가장 큰 군사지원을 한 국가는 [[인도]]를 견제하고자 하는 [[중국]]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러시아는 소련 시절에 스리랑카 타밀족 반군(LTTE)를 적극 지원했었던 바 있다. == 역사적 관계 == === 전근대 === [[동진]]의 구법승 [[법현]]이 410년에 실론 섬으로 와서 2년 동안 체류하고 이후 상선을 타고 중국으로 돌아와서 [[팔리어]]로 된 [[상좌부 불교]] 대장경을 번역한 바 있다. > 사자국(師子國)은 [[인도|천축(天竺)]] 옆에 있는 나라이다. 그 땅은 기후가 온화하여 살기에 적당하고 겨울과 여름의 차이가 없다. 오곡(五穀)은 사람들이 뿌리는 대로 맡겨두면 되고 시절을 맞출 필요가 없다. 그 국(國)은 옛날에는 인민이 없었고, 단지 귀신과 용(龍)만이 거주하였다. 여러 나라의 상인들이 와서 교역하였는데, 귀신이 그 형체를 드러내지 않은 채 단지 진보(珍寶)를 내어 놓고 그 가격을 나타내면, 상인은 가격에 따라 (지불하고) 물건을 가져오면 되었다. 여러 나라의 사람들이 그 땅이 살기 좋다는 소문을 듣고 다투어 왔는데, 그중 어떤 이들은 정주하게 되었고 마침내 대국(大國)이 되었다. >---- > [[양서(역사책)]]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jo.k_0008_0054_0130_0010|번역출처]] 중국 고대 말에서 중세 초 고전 역사서는 중앙아시아나 남아시아 관련하여 불교 구법승이나 혹은 호승(서역인 출신 승려) 등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연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중국 사서에는 스리랑카 관련하여 어느정도 미화된 서술이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겨울과 여름의 날씨 차이가 별로 없다 같은 나름 정확한 내용도 있다. 근세에는 [[정화(명나라)]]의 함대가 해상 원정을 실시하는 와중에 스리랑카에서 군사 작전을 펼쳤던 바 있다. 1411년에 정화의 원정대가 감폴라 왕조 세력와 알력을 빚어 정화 함대와 감폴라 왕국 간의 전쟁이 벌어졌는데, 여기서 정화 함대가 승리하여 감폴라 국왕 위자야바후 6세(Vijayabahu VI, 재위 1397–1411)를 끌어내리고 그를 [[명나라]]로 압송하였다. 명의 [[영락제]]는 정화 함대가 데려온 위자야바후를 풀어주고 그를 다시 스리랑카로 돌려보냈으며 위자야바후는 이듬해 스리랑카로 돌아왔지만 권력을 다시 쥐지는 못했다. 정화 함대와 감폴라 간의 전쟁에서 정화 함대 편에 선 감폴라의 왕족 파라크라마바후 6세(Parakramabahu VI, 재위 1412–1467)가 1412년에 코테(Kotte)에서 새 왕국을 개창하여 코테 왕국(1412–1597)이 성립하였다. 당시 정화가 스리랑카에 남긴 비문은 중국어, [[타밀어]], [[페르시아어]] 세 가지로 되어있다. 페르시아어 비문은 하나님 덕분에 무사한 항해가 가능했다는 종교적인 내용이, 타밀어 비문은 현지 타밀 힌두교도들을 고려하여 힌두교 관련한 내용이, 중국어 관련한 내용은 외교 성과 관련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 정화가 대항해 지도자로 추천받은 이유 중 하나가 무슬림 출신이지만 불교와 도교, 유교에 대한 이해도도 무척 높았던 것도 있다. 정화의 해외 원정은 이후 [[포르투갈/역사#s-3|포르투갈이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보여준 폭력적이고 패권주의적인 모습보다 훨씬 신사적]]이었으며, 오늘날의 중국의 패권주의 외교의 상징 [[일대일로]]보다 훨씬 더 앞선 면모를 보여준 것이기도 했다. === 2010년대 === 스리랑카 내전 이후에도 스리랑카와 중국과의 밀접한 관계는 지속되고 있다.[[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162160|#]] 2011년에 중국 해군 주둔기지 설치를 허락했다가 인도 견제를 위한 것 아니냐는 인도의 강력한 반발로 고생 중이다. [[종교]]는 다를지 몰라도 지리적 및 역사적으로 인도의 경제적 영향이 엄청나기 때문이며 스리랑카에서도 기지 건축에 죄다 중국인 노동자만 쓴다는 점 때문에 여론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콜롬보 인근에서 진행되는 인공섬 프로젝트도 중국이 관여하고 있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낳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21417|#]] ==== 함반소타 항구 개발 사업 ==== || [include(틀:지도, 장소=Hambantota Habour, 너비=800, 높이=400)] || || [[스리랑카]] 남단에 위치한 함반소타 항. 99년 조차된 항구이다. || > 함반토타항의 성적은 처참했다. 2012년 한 해 동안 34척의 배만 들어왔다. 같은 기간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항은 3700척이 사용했다. 함반토타항과 연계된 기반 시설도 처참한 수준이었다. 4차선 고속도로엔 차가 없어 코끼리 떼가 횡단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코끼리 숫자나 항구 직원 숫자나 비슷하다고 했다. 새로 만든 국제공항은 하루 7명 사용하는 공항으로 업계에서 소문이 났다. 지난 11일 하나 남아 있던 취항사 플라이두바이마저 정기 노선 편을 취소했다. 골프클럽을 품은 샹그릴라호텔이 세워졌지만 연중 세일 중이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7/2018062700298.html|#]] 스리랑카 정부 최악의 선택. 비교하자면 파키스탄의 일대일로의 경우 파키스탄에서 정말 꼭 필요로 하던 발전소나 도로를 지어줬기 때문에 평가가 갈린다. [[파키스탄]]의 경우 대부분 지역이 하루에 전기가 2~6시간 정도만 들어오던 상황이라 노동력이 남아도는데도 공장조차 세우기 힘든 상황이었다. 그런데 스리랑카 일대일로를 통해 건설된 함반도타 항구와 함반도타 공항은 '''사실상 아무 짝에도 쓸데없다.''' 2016년 8월 17일에 스리랑카 정부는 남부의 함반토타 항구를 중국에게 전부 넘겨 운영할 계획을 밝혔다.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60818004540743|#]] 하지만 총리가 함반토타 항구를 군사적 이용으로 임대하는 것은 반대했고, 약속을 어길 때에는 임대권을 회수하겠다고 밝혔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2666701|#]] 사실 함반토타 항구의 개발 사업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0191257|일대일로 사업이 시작되기 이전인 2007년]]부터 중국이 참여하기로 합의했었다. 중국측은 스리랑카에 10억달러를 투자하면서 스리랑카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1&aid=0003131517|#]] 스리랑카에서 반중시위가 열렸고 중국측은 긴장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79&aid=0003143775|#]] === 2020년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 2020년 10월 12일에 중국이 협약 체결을 통해 스리랑카에 6억 위안(약 1천2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936691|#]] 2021년 4월 27일에 [[웨이펑허]] 국방부장이 스리랑카를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5315819|#]] 일대일로 채무 이자 때문에 스리랑카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26781?sid=104|#]] 2022년 1월 10일에 스리랑카가 중국측에게 채무 재조정을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028242?sid=104|#]] 4월 12일에 중국측은 스리랑카를 돕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6025012|#]] 7월 22일, 시진핑 주석은 스리랑카의 신임 대통령 취임을 축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21607?sid=104|#]] 2023년 1월 5일, 스리랑카 정부가 중국, 인도, 태국 등과 무역협상을 재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85985?sid=104|#]] == 관련 문서 == * [[중국/외교]] * [[스리랑카/외교]] * [[일대일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리랑카, version=575, paragraph=9.3)] [[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스리랑카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