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필리핀의 대외관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필리핀|{{{#fff '''필리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과 [[필리핀]] 사이의 상호 교류에 관한 역사이다. 필리핀에도 [[화교]]들이 이주한 역사가 오래되었고[* 근데 동남아에서 중국계가 장악하지 않은 곳은 없다.] 동시에 정치인이 된 경우도 많이 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등 필리핀의 대통령, [[호세 리살]]도 중국인혈통이다. 정확히는 차이니즈 메스티소라는 혼혈계통이다. 본인들 스스로 중국인이라 생각하지 않을 뿐더러 중국어와 한자를 모르고, 안다고 하더라도 혼혈인들은 중국인들이 원래 중국인으로 인정하지 않은 역사가 오래 된다. 그리고 [[하나의 중국]] 정책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변경되었던 [[1975년]]부터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스프래틀리 군도]]와 같은 영유권 문제, [[남중국해]]의 군사 대립 등 오랫동안 반중 감정을 지니고 있는 점이 있었다. 그러나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미국에 적대적이면서 중국에게는 친화적인 제스처를 보냈고 남중국해 문제에서 중국의 의견을 상당히 들어주는 등 친중행보를 보였고 보답으로 중국이 사업을 던져주면서 사이가 좋아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두테르테도 남중국해를 어느정도 인정해줬더니 중국측이 자기들 주장인 8할을 자기 영해라고 주장을 굽히지 않자, 조금씩 충돌을 하기 시작하였고 더이상 대선출마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페르디난드랑 손을 잡으면서 페르디난드가 대통령이 되었다. 본래 친미성향을 가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로 정권이 바뀌면서 친미정책과 함께 미군 주둔을 허용하기 시작하면서 안보를 미군을 끌어들이면서 합동훈련을 통해 관계를 돈독히 하는 이이제이를 시작했고 두테르테 시절 체결된 중국 기업 투자사업도 파토시키는 등 반중정책이 이어지게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787108?sid=104|#]] 특히 페르디난드는 중국의 남중국해 억지를 더이상 용납할 수 없다는 태도여서 중국이 억지로 주장하는 영해권을 인정하지 않으며 필리핀의 영해권을 주장하며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근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에바에스파냐-명나라 관계)] [[명나라]] 시절부터 수많은 중국인들이 필리핀 섬으로 이주하였으며, 이들은 [[필리핀 도독령]]에 정착하여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가 되었다. === 근대 === 청말 발생한 [[태평천국 운동]]을 진압하는 [[상승군]] 용병 가운데 필리핀인 용병들이 활약하였다. === 20세기 === 1975년부터 필리핀은 중국과 수교를 맺었으나 영토분쟁([[스프래틀리 군도]] 등)이 있기도 했으며 지금도 진행 중이다. === 21세기 === ==== 2010년대 ==== 필리핀 정부가 중국과 함께 남중국해에서 공동자원개발을 추진하면서 [[아세안]]간의 결속력에 파열음이 생기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442153|#]] 2018년 11월 8일, 필리핀의 언론들은 중국 기업인을 대통령 경제고문으로 위촉한 사실을 보도하자 파문이 일어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455554|#]] 2019년 2월 11일, 필리핀에서 한 중국인 여학생이 필리핀인에게 갑질한 사건이 일어나자 필리핀 네티즌들은 반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197905|#]] 결국 체포되었고 추방 또는 징역위기를 맞게 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198891|#]] 필리핀에서 중국인들만 상대하는 중국계 식당이 늘어나자 필리핀내에서는 반발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08755|#]] 중국의 불법자본을 규제하기 위해 필리핀은 캄보디아와 마찬가지로 중국 자본에 대해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26036|#]] 중국은 2016년에 필리핀에 90억달러규모의 건설사업지원을 약속했지만, 저조하다는 비판이 나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170589|#]] 중국의 전기 민영화에 의해 전력망이 절반이나 장악됐다. [[필리핀]] 상원을 위해 작성된 내부 보고서를 입수해서 CNN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전력 국영기업인 국가전망유한공사(SGCC)가 필리핀 민간 송전사업자인 필리핀 전국송전사(NGCP)의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고서는 "중국 엔지니어들만이 NGCP 핵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며 '''"필리핀 전역의 전력망이 사실상 중국 정부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1261674385487|#]] ==== 2020년대 ==== 2020년 1월 14일에 필리핀 해안경비대는 중국과 합동군사훈련을 진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654243|#]] 중국인들의 범죄를 막기 위해 두테르테 대통령은 중국인들에게 발급되던 6개월 특별 비자를 폐지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4418559|#]] 필리핀 정부는 국익을 위해 중국 기업과 계속 사업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853294|#]] 남중국해 내 중국과의 석유 및 가스 공동탐사 금지 조치를 풀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948436?sid=104|#]] 2021년 5월 3일, 필리핀의 외무장관 테오도로 록신은 '''못생긴 멍청이 중국, 꺼져라'''라는 발언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504123251009?site=footer_pc_version#mobile|#]] 2022년 4월 8일, 시진핑 주석은 두테르테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지역 안보는 군사동맹으로 실현할 수 없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1112191|#]] 6월 30일, 왕치산 부주석은 페르니난드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을 만나 양국간 관계를 완만하게 해결하자고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79586?sid=104|#]] 12월 31일, 필리핀 정부는 중국인 입국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74037?sid=104|#]] 2023년 7월 2일, 두테르테 전 대통령은 미중 전쟁시 필리핀이 무덤으로 바뀐다고 밝히며 마르코스 행정부의 정책을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903012?sid=104|#]] 8월 5일, 남중국해에서 중국 해안경비정이 필리핀 선박을 향해 물대포를 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80045?sid=104|#]] 10월 24일, 같은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보급선을 중국 해경이 충돌시켜 멈췄다.[[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asia/2023/10/24/F7KILZEIYZFZVE47I4ENUE754M/|#]] 보급선은 세컨드 토머스 암초로 건축자재를 운송 중이었으며 중국은 불법 점거라고 주장하는 곳이다. == 대사관 ==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는 중국 대사관이,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는 필리핀 대사관이 설립되어있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80045?sid=104|中, 親美 필리핀 겁박... 남중국해서 필리핀 선박에 물대포 쏴]] - 조선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724710?sid=104|美와 친하고 中과도 우호…주목받는 필리핀 마르코스의 균형외교]] - 노컷뉴스 == 관련 문서 == * [[중국/외교]] / [[중국-아시아 관계]] / [[중국-아세안 관계]] * [[필리핀/외교]] * [[중국/경제]] * [[필리핀/경제]] * [[스프래틀리 군도]] * [[중국/문화]] * [[필리핀/문화]] * [[중국인]] / [[필리핀인]] / [[중국계 필리핀인]] * [[중국어]] / [[필리핀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필리핀/외교, version=120)] [[분류:중국-필리핀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