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중랑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중랑구 을}}}}}}'''[br]{{{-1 {{{#fff [[신내동|{{{#fff 신내동}}}]], [[중화동|{{{#fff 중화동}}}]], [[묵동|{{{#fff 묵동}}}]], [[상봉동|{{{#fff 상봉1동}}}]], [[망우동|{{{#fff 망우본동}}}]][br]中浪區 乙[br]Jungnang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중랑구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92,460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랑구|{{{#373a3c,#ddd 중랑구}}}]] 일부''' 신내1동, 신내2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상봉1동, 망우본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박홍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랑구]]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선거구다. [[봉화산]] 생활권에 속하는 지역구이다. 본래 이 지역은 민주당 세가 막강하기는 했지만, 육군사관학교와 강원도, 충청북도 출신 이주민들의 영향으로 인해 보수정당의 세도 만만치 않은 지역이었다.[* 중앙선과 연계된 강원도나 충북 제천, 단양, 충주는 대체적으로 보수 초강세 지역인걸 감안하면 이해가 빠른 편이다. 또한 육사 역시 일반적인 대학교와 다르게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육사 생도들의 성향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직업군인 출신들의 정치성향을 감안하면 여기에 터잡고 있는 장교, 부사관, 군무원들은 보수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 지역구는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이 755표차로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현재 추세로는 더불어민주당이 많이 앞서고 있는 중이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박홍근]]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3대 ||<|2> [[김덕규]]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김충일]]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2> [[김덕규]]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진성호(정치인)|진성호]]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3> [[박홍근]]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랑구 을|{{{#000000 {{{+1 '''중랑구 을'''}}}}}}]][br]{{{#000000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br]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천명기(정치인)|{{{#373a3c,#dddddd 천명기}}}]](千命基) || 27,619 || 2위 ||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25.60% || 낙선 || ||<|2> {{{#ffffff {{{+5 '''2'''}}}}}} || [[박찬(1924)|{{{#373a3c,#dddddd 박찬}}}]](朴璨) || 26,287 || 3위 || || [[통일민주당|[include(틀:통일민주당)]]] || 24.36% || 낙선 || ||<|2> {{{#000000 {{{+5 '''3'''}}}}}}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31,328''' || '''1위''' || || [[평화민주당|[include(틀:평화민주당)]]] || '''29.04%''' || '''당선''' || ||<|2> {{{#ffffff {{{+5 '''4'''}}}}}} || [[강병진|{{{#373a3c,#dddddd 강병진}}}]](姜秉珍) || 20,080 || 4위 || || [[신민주공화당|[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8.61% || 낙선 || ||<|2> {{{#ffffff {{{+5 '''5'''}}}}}} || 김성식(金星植) || 2,559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3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0,719 ||<|3> '''투표율'''[br]67.84% || || '''투표 수''' || 109,031 || || '''무효표 수''' || 1,158 || ||<:><-9> {{{#000000 '''13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민주정의당)] ||<:> [include(틀:통일민주당)] ||<:> [include(틀:평화민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천명기(정치인)|{{{#FFFFFF '''천명기'''}}}]] ||<:> [[박찬(1924)|{{{#FFFFFF '''박찬'''}}}]] ||<:> [[김덕규|{{{#000000 '''김덕규'''}}}]] || || '''득표수[br](득표율)''' ||<:>'''27,619 [br] (25.60%)''' ||<:> '''26,287 [br] (24.36%)''' ||<:> {{{#000000 '''31,328 [br] (29.04%)'''}}} || '''-3,709 [br] (▼3.44)''' || '''67.84%''' || || '''상봉1동''' ||<:> {{{#0A84E9 29.92%}}} ||<:> 22.91% ||<:> 27.55% ||<:> △2.37 ||<:> '''95.69''' || || '''상봉2동''' ||<:> 24.95% ||<:> 27.11% ||<:> {{{#FADA5E 27.83%}}} ||<:> ▼0.72 ||<:> 64.41 || || '''중화1동''' ||<:> 23.57% ||<:> 23.74% ||<:> {{{#FADA5E 28.96%}}} ||<:> ▼5.22 ||<:> 64.54 || || '''중화2동''' ||<:> 23.31% ||<:> 19.52% ||<:> {{{#FADA5E '''37.69%'''}}} ||<:>▼'''14.38''' ||<:> 65.68 || || '''묵1동''' ||<:> 24.15% ||<:> 25.15% ||<:> {{{#FADA5E 27.65%}}} ||<:>▼2.5 ||<:> 65.41 || || '''묵2동''' ||<:> 24.07% ||<:> 22.16% ||<:> {{{#FADA5E 30.97%}}} ||<:> ▼6.9 ||<:> 65.67 || || '''망우1동''' ||<:> 26.38% ||<:> {{{#E60026 27.18%}}} ||<:> 25.10% ||<:> △0.8 ||<:> 65.86 || || '''망우2동''' ||<:> 27.55% ||<:> {{{#E60026 '''28.11%'''}}} ||<:> 25.00% ||<:> △0.56 ||<:> 67.28 || || '''망우3동''' ||<:> 25.70% ||<:> 27.93% ||<:> {{{#FADA5E 28.07%}}} ||<:> ▼0.14 ||<:> 66.96 || || '''신내동''' ||<:> {{{#0A84E9 '''30.06%'''}}} ||<:> 22.73% ||<:> 27.20% ||<:> △2.86 ||<:> 65.99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랑구 을|{{{#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br]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충일|{{{#373a3c,#dddddd 김충일}}}]](金忠一) || 41,504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5.79% || 낙선 || ||<|2> {{{#ffffff {{{+5 '''2'''}}}}}}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51,368'''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44.30%''' || '''당선''' || ||<|2> {{{#ffffff {{{+5 '''3'''}}}}}} || [[강병진|{{{#373a3c,#dddddd 강병진}}}]](姜秉珍) || 23,066 || 3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9.8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1,204 ||<|3> '''투표율'''[br]68.45% || || '''투표 수''' || 117,195 || || '''무효표 수''' || 1,257 || ||<:><-5> {{{#FFFFFF '''14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민주자유당)] ||<:> [include(틀:민주당(1991년))]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충일|{{{#FFFFFF '''김충일'''}}}]] ||<:> [[김덕규|{{{#FFFFFF '''김덕규'''}}}]] || || '''득표수[br](득표율)''' ||<:> '''41,504 [br] (35.79%)''' ||<:> {{{#FFFFFF '''51,368 [br] (44.30%)'''}}} ||<:> '''-9,864 [br] (▼8.51)''' ||<:> '''68.45%''' || || '''상봉1동''' || 37.23% || {{{#D82634 44.56%}}} || ▼7.33 || 67.53 || || '''상봉2동''' || 36.58% || {{{#D82634 43.37%}}} || ▼6.79 || 66.45 || || '''중화1동''' || 34.66% || {{{#D82634 42.98%}}} || ▼8.32 || 68.24 || || '''중화2동''' || 31.84% || {{{#D82634 '''51.50%'''}}} || ▼'''19.66''' || 65.12 || || '''중화3동''' || 31.12% || {{{#D82634 50.14%}}} || ▼19.02 || 68.76 || || '''묵1동''' || 34.84% || {{{#D82634 42.96%}}} || ▼8.12 || 68.34 || || '''묵2동''' || 33.19% || {{{#D82634 46.86%}}} || ▼13.67 || 67.56 || || '''망우1동''' || {{{#003990 '''40.03%'''}}} || 37.69% || △2.34 || 67.23 || || '''망우2동''' || {{{#003990 39.65%}}} || 38.80% || △0.85 || 68.66 || || '''망우3동''' || 37.16% || {{{#D82634 42.11%}}} || ▼4.95 || 69.18 || || '''신내동''' || 37.09% || {{{#D82634 44.11%}}} || ▼7.02 || '''69.54'''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랑구 을|{{{#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중화3동, 묵1동, [br]묵2동, 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충일|{{{#373a3c,#dddddd 김충일}}}]](金忠一)''' || '''41,772'''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8.81%''' || '''당선''' || ||<|2> {{{#ffffff {{{+5 '''2'''}}}}}}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39,940 || 2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7.11% || 낙선 || ||<|2> {{{#ffffff {{{+5 '''3'''}}}}}} || 조명원(趙明遠) || 12,589 || 3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11.69% || 낙선 || ||<|2> {{{#ffffff {{{+5 '''4'''}}}}}} || [[강병진|{{{#373a3c,#dddddd 강병진}}}]](姜秉珍) || 12,575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1.68% || 낙선 || ||<|2> {{{#ffffff {{{+5 '''5'''}}}}}} || 김병수(金炳秀) || 738 || 5위 || || [include(틀: 무당파국민연합)] || 0.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1,924 ||<|3> '''투표율'''[br]59.86% || || '''투표 수''' || 108,907 || || '''무효표 수''' || 1,293 || ||<:><-5> {{{#FFFFFF '''15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신한국당)]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충일|{{{#FFFFFF '''김충일'''}}}]] ||<:> [[김덕규|{{{#FFFFFF '''김덕규'''}}}]]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1,772 [br] (38.81%)'''}}} ||<:> '''39,940 [br] (37.11%)''' ||<:> '''-1,832 [br] (▼1.7)''' ||<:> '''59.86%''' || || '''상봉1동''' || {{{#003990 39.46%}}} || 39.24% || △0.22 || 60.48 || || '''상봉2동''' || {{{#003990 38.65%}}} || 37.73% || △0.92 || 56.44 || || '''중화1동''' || {{{#003990 36.47%}}} || 36.41% || △0.06 || 59.27 || || '''중화2동''' || 35.33% || {{{#009a44 '''44.45%'''}}} || ▼9.12 || 54.44 || || '''중화3동''' || 36.03% || {{{#009a44 41.48%}}} || ▼5.45 || 58.89 || || '''묵1동''' || {{{#003990 36.55%}}} || 35.93% || △0.62 || 60.64 || || '''묵2동''' || 34.61% || {{{#009a44 41.20%}}} || ▼6.59 || 58.27 || || '''망우1동''' || {{{#003990 '''45.31%'''}}} || 30.50% || △'''14.81''' || 59.25 || || '''망우2동''' || {{{#003990 42.19%}}} || 33.51% || △8.68 || 59.36 || || '''망우3동''' || {{{#003990 40.67%}}} || 37.15% || △3.52 || 64.07 || || '''신내1동''' || {{{#003990 38.82%}}} || 33.86% || △4.96 || 61.91 || || '''신내2동''' || {{{#003990 41.02%}}} || 34.93% || △6.09 || '''66.7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랑구 을|{{{#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중화3동, 묵1동, [br]묵2동, 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동호(정치인)|{{{#373a3c,#dddddd 강동호}}}]](康東鎬) || 28,680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1.75% || 낙선 || ||<|2> {{{#ffffff {{{+5 '''2'''}}}}}}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41,425''' || '''1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45.86%''' || '''당선''' || ||<|2> {{{#ffffff {{{+5 '''3'''}}}}}} || [[강병진|{{{#373a3c,#dddddd 강병진}}}]](姜秉珍) || 5,335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5.90% || 낙선 || ||<|2> {{{#ffffff {{{+5 '''4'''}}}}}} || 장명진(張明鎭) || 1,008 || 6위 || || [include(틀: 희망의한국신당)] || 1.11% || 낙선 || ||<|2> {{{#ffffff {{{+5 '''5'''}}}}}} || 김정섭(金晶燮) || 1,907 || 5위 || || [include(틀: 청년진보당)] || 2.11% || 낙선 || ||<|2> {{{#ffffff {{{+5 '''6'''}}}}}} || 조명원(趙明遠) || 11,957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13.2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7,574 ||<|3> '''투표율'''[br]54.38% || || '''투표 수''' || 91,126 || || '''무효표 수''' || 814 || ||<:><-5> {{{#FFFFFF '''16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동호(정치인)|{{{#FFFFFF '''강동호'''}}}]] ||<:> [[김덕규|{{{#FFFFFF '''김덕규'''}}}]] || || '''득표수[br](득표율)''' ||<:> '''28,680 [br] (31.75%)''' ||<:> {{{#FFFFFF '''41,425 [br] (45.86%)'''}}} ||<:> '''-12,745 [br] (▼14.11)''' ||<:> '''54.38%''' || || '''상봉1동''' || 30.92% || {{{#00aa7b 47.49%}}} || ▼16.57 || 54.40 || || '''중화1동''' || 30.64% || {{{#00aa7b 45.35%}}} || ▼14.71 || 55.36 || || '''중화2동''' || 29.54% || {{{#00aa7b '''53.75%'''}}} || ▼'''24.21''' || 46.32 || || '''중화3동''' || 29.18% || {{{#00aa7b 50.41%}}} || ▼21.23 || 50.80 || || '''묵1동''' || 34.48% || {{{#00aa7b 43.04%}}} || ▼8.56 || 55.47 || || '''묵2동''' || 31.50% || {{{#00aa7b 48.78%}}} || ▼17.28 || 50.34 || || '''망우1동''' || '''36.25%''' || {{{#00aa7b 40.74%}}} || ▼4.49 || 51.34 || || '''망우2동''' || 35.04% || {{{#00aa7b 43.04%}}} || ▼8.00 || 51.15 || || '''신내1동''' || 32.66% || {{{#00aa7b 42.84%}}} || ▼10.18 || 57.02 || || '''신내2동''' || 32.25% || {{{#00aa7b 44.97%}}} || ▼12.72 || '''57.39'''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랑구 을|{{{#000000 {{{+1 '''중랑구 을'''}}}}}}]][br]{{{#000000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중화3동, 묵1동, [br]묵2동, 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동호(정치인)|{{{#373a3c,#dddddd 강동호}}}]](康東鎬) || 39,640 || 2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39.39% || 낙선 || ||<|2> {{{#ffffff {{{+5 '''2'''}}}}}} || [[송재덕|{{{#373a3c,#dddddd 송재덕}}}]](宋在德) || 6,926 || 3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6.86% || 낙선 || ||<|2> {{{#000000 {{{+5 '''3'''}}}}}}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49,871''' || '''1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49.44%''' || '''당선''' || ||<|2> {{{#ffffff {{{+5 '''4'''}}}}}} || 손창현(孫昌鉉) || 1,530 || 5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51% || 낙선 || ||<|2> {{{#ffffff {{{+5 '''5'''}}}}}} || [[강병진|{{{#373a3c,#dddddd 강병진}}}]](姜秉珍) || 2,886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2.8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921 ||<|3> '''투표율'''[br]59.97% || || '''투표 수''' || 101,901 || || '''무효표 수''' || 1,048 || ||<:><-5> {{{#000000 '''17대 총선 서울 중랑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열린우리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동호(정치인)|{{{#FFFFFF '''강동호'''}}}]] ||<:> [[김덕규|{{{#000000 '''김덕규'''}}}]] || || '''득표수[br](득표율)''' ||<:>'''39,640 [br] (39.39%)''' ||<:> {{{#000000 '''49,871 [br] (49.44%)'''}}} ||<:> '''-10,231 [br] (▼10.05)''' ||<:> '''59.97%''' || || '''상봉1동''' || 38.49% || {{{#ffd918 50.73%}}} || ▼12.24 || 61.15 || || '''중화1동''' || 38.26% || {{{#ffd918 49.62%}}} || ▼11.36 || 59.84 || || '''중화2동''' || 34.77% || {{{#ffd918 52.53%}}} || ▼17.76 || 51.34 || || '''중화3동''' || 34.10% || {{{#ffd918 '''53.42%'''}}} || ▼'''19.32''' || 54.12 || || '''묵1동''' || 42.69% || {{{#ffd918 46.47%}}} || ▼3.78 || 61.98 || || '''묵2동''' || 39.30% || {{{#ffd918 49.57%}}} || ▼10.27 || 57.46 || || '''망우1동''' || '''43.72%''' || {{{#ffd918 45.33%}}} || ▼1.61 || 55.60 || || '''망우2동''' || 43.48% || {{{#ffd918 44.93%}}} || ▼1.45 || 53.04 || || '''신내1동''' || 43.15% || {{{#ffd918 46.85%}}} || ▼3.70 || 62.93 || || '''신내2동''' || 38.85% || {{{#ffd918 51.14%}}} || ▼12.29 || '''64.29''' || || '''후보''' ||<:> [[곽영훈|{{{#0095DA '''강동호'''}}}]] ||<:> [[김덕규|{{{#FFD918 '''김덕규'''}}}]] ||<-2> 격차 || || '''부재자투표''' ||<:> 22.92% ||<:> {{{#FFD918 62.52%}}} ||<-2> ▼21.27 || 현역 의원인 [[열린우리당]] [[김덕규]] 후보는 이 지역에서만 3번 당선된 관록의 4선 의원이다. [[한나라당]]은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강동호(정치인)|강동호]] 총장이 출마했다. 결과는 김덕규 후보의 10% 차이의 승리였다. 이로써 김덕규 의원은 5선 의원이 되었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중화3동, 묵1동, [br]묵2동, 망우1동, 망우2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27,870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5.56% || 낙선 || ||<|2> {{{#ffffff {{{+5 '''2'''}}}}}} || '''[[진성호(정치인)|{{{#373a3c,#dddddd 진성호}}}]](秦聖昊)''' || '''30,9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9.54%''' || '''당선''' || ||<|2> {{{#ffffff {{{+5 '''3'''}}}}}} || [[이용휘|{{{#373a3c,#dddddd 이용휘}}}]](李龍徽) || 2,872 || 5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3.66% || 낙선 || ||<|2> {{{#ffffff {{{+5 '''4'''}}}}}} || 전권희(全權熙) || 3,646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65% || 낙선 || ||<|2> {{{#ffffff {{{+5 '''7'''}}}}}} || 심우범(沈愚範) || 825 || 6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05% || 낙선 || ||<|2> {{{#ffffff {{{+5 '''9'''}}}}}} || [[강동호(정치인)|{{{#373a3c,#dddddd 강동호}}}]](康東鎬) || 12,16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6,885 ||<|3> '''투표율'''[br]44.60% || || '''투표 수''' || 78,908 || || '''무효표 수''' || 551 || ||<:><-8> {{{#FFFFFF '''18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include(틀:한나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덕규|{{{#FFFFFF '''김덕규'''}}}]] ||<:> [[진성호(정치인)|{{{#FFFFFF '''진성호'''}}}]] || || '''득표수[br](득표율)''' ||<:> '''27,870 [br] (35.56%)''' ||<:> {{{#FFFFFF '''30,983 [br] (39.54%)'''}}} ||<:> '''-3,113 [br] (▼3.98)''' ||<:> '''44.60%''' || || '''상봉1동''' ||<:> 37.29% ||<:> {{{#0095DA 39.07%}}} ||<:> ▼1.78 ||<:> 46.07 || || '''중화1동''' ||<:> {{{#419639 38.60%}}} ||<:> 37.79% ||<:> {{{#808080 △0.81}}} ||<:> 43.46 || || '''중화2동''' ||<:> {{{#419639 '''39.74%'''}}} ||<:> 37.70% ||<:> {{{#808080 △2.04}}} ||<:> 37.89 || || '''망우본동''' ||<:> 32.38% ||<:> {{{#0095DA '''45.47%'''}}} ||<:> ▼'''13.09''' ||<:> 40.79 || || '''묵1동''' ||<:> 34.06% ||<:> {{{#0095DA 39.67%}}} ||<:> ▼5.61 ||<:> 44.85 || || '''묵2동''' ||<:> 36.57% ||<:> {{{#0095DA 37.92%}}} ||<:> ▼1.35 ||<:> 42.30 || || '''신내1동''' ||<:> 30.71% ||<:> {{{#0095DA 40.48%}}} ||<:> ▼9.77 ||<:> 46.59 || || '''신내2동''' ||<:> 36.07% ||<:> {{{#0095DA 37.18%}}} ||<:> ▼1.11 ||<:> '''47.58''' || || '''후보''' ||<:> [[김덕규|{{{#419639 '''김덕규'''}}}]] ||<:> [[진성호(정치인)|{{{#0095DA '''진성호'''}}}]] ||<-2> 격차 || || '''부재자투표''' ||<:> {{{#419639 38.66%}}} ||<:> 37.87% ||<-2> {{{#808080 △0.79}}} || 현역인 5선 [[김덕규]] 의원이 통합민주당 후보로 6선에 도전하고, [[한나라당]]에서는 [[진성호(정치인)|진성호]] 후보가 전략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김덕규 후보는 5선의 관록과 국회 정보위원장, 국회부의장까지 화려한 커리어를 자랑한다. 20년간 지역의 일꾼으로 조직을 다진 만큼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그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 전철 복선화([[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공사 재개, 환승역([[상봉역|신상봉역]], [[신내역]])과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복선전철]] 설치계획 확정, 신현고, 묵동고[* 현 원묵고], 묵천초[* 현 묵현초] 등 3개 학교 유치 등을 자신의 성과로 꼽았다. [[한나라당]]은 [[강동호(정치인)|강동호]]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총장, [[신동욱(1968)|신동욱]] 백석문화대학교 겸임교수 등이 공천 신청을 했으나 [[진성호(정치인)|진성호]] 전 조선일보 기자를 이 지역에 전략공천했다. 진성호 후보는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명박 캠프 한나라당 중앙선대위 뉴미디어 팀장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 이명박 대통령의 언론담당 핵심참모를 전략공천한만큼 지역에서는 낙하산 공천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한나라당 중랑을 강동호 위원장은 이재오 의원의 집 앞에서 항의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결국 탈당하여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게 되었다. 진성호 후보는 전략공천으로 지역 연고가 없었다. 그러나 "중랑을 제 2의 고향으로 생각하겠다"며, '일 잘 하는 사람', '생활정치' 등의 구호와 함께, 중랑구 학원가 유치와 중랑천 관광명소 개발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자유선진당]] [[이용휘]] 후보는 박근혜 전 대표를 대선에서 도왔으며, [[한반도 대운하]]처럼 위험한 정책을 추진하는 [[이명박 정부]]의 독주를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전권희]] 후보는 "부자내각 이명박 정부에 맞서 서민의 입장에서 일 할 수 있는 정당은 민노당 뿐"이라고 주장했다. 결과는 한나라당 진성호 후보가 현역 5선 김덕규 후보를 4%로 차이로 이기고 당선되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3AB34A {{{+1 '''중랑구 을'''}}}}}}[br]{{{#3AB34A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br]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동호(정치인)|{{{#373a3c,#dddddd 강동호}}}]](康東鎬) || 43,358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3.63% || 낙선 || ||<|2> {{{#3AB34A {{{+5 '''2'''}}}}}} || '''[[박홍근|{{{#373a3c,#dddddd 박홍근}}}]](朴洪根)''' || '''44,212'''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4.49%''' || '''당선''' || ||<|2> {{{#ffffff {{{+5 '''6'''}}}}}} || 윤정호(尹正鎬) || 741 || 6위 || || [include(틀:국민행복당)] || 0.74% || 낙선 || ||<|2> {{{#FEDD02 {{{+5 '''7'''}}}}}} || [[김덕규|{{{#373a3c,#dddddd 김덕규}}}]](金德圭) || 5,606 || 3위 || || [include(틀:정통민주당)] || 5.64% || 낙선 || ||<|2> {{{#ffffff {{{+5 '''8'''}}}}}} || 이경태(李景泰) || 1,15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15% || 낙선 || ||<|2> {{{#ffffff {{{+5 '''9'''}}}}}} || [[진성호(정치인)|{{{#373a3c,#dddddd 진성호}}}]](秦聖昊) || 4,288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3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4,587 ||<|3> '''투표율'''[br]54.16% || || '''투표 수''' || 99,973 || || '''무효표 수''' || 616 || ||<:><-8> {{{#3AB34A '''19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동호(정치인)|{{{#FFFFFF '''강동호'''}}}]] ||<:> [[박홍근|{{{#3AB34A '''박홍근'''}}}]] || || '''득표수[br](득표율)''' ||<:> '''43,358 [br] (43.63%)''' ||<:> {{{#3AB34A '''44,212 [br] (44.49%)'''}}} ||<:> '''-854 [br] (▼0.86)''' ||<:> '''54.16%''' || || '''상봉1동''' ||<:> 41.98% ||<:> {{{#FFD400 45.20%}}} ||<:> ▼3.22 ||<:> 54.68 || || '''중화1동''' ||<:> 42.15% ||<:> {{{#FFD400 46.86%}}} ||<:> ▼4.71 ||<:> 53.93 || || '''중화2동''' ||<:> 41.07% ||<:> {{{#FFD400 45.75%}}} ||<:> ▼4.68 ||<:> 45.96 || || '''묵1동''' ||<:> {{{#C9252B 44.65%}}} ||<:> 44.53% ||<:> {{{#808080 △0.12}}} ||<:> 55.25 || || '''묵2동''' ||<:> 42.67% ||<:> {{{#FFD400 45.28%}}} ||<:> ▼2.61 ||<:> 51.17 || || '''망우본동''' ||<:> {{{#C9252B '''49.20%'''}}} ||<:> 40.99% ||<:> {{{#808080 △8.21}}} ||<:> 49.88 || || '''신내1동''' ||<:> 45.13% ||<:> {{{#FFD400 45.22%}}} ||<:> ▼0.09 ||<:> 58.60 || || '''신내2동''' ||<:> 41.66% ||<:> {{{#FFD400 47.12%}}} ||<:> ▼5.46 ||<:> '''59.39''' || || '''후보''' ||<:> [[강동호(정치인)|{{{#C9252B '''강동호'''}}}]] ||<:> [[박홍근|{{{#FFD400 '''박홍근'''}}}]] ||<-2>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26.06% ||<:> {{{#FFD400 '''63.67%'''}}} ||<-2> ▼'''37.61''' || || '''국내부재자투표''' ||<:> {{{#C9252B 38.21%}}} ||<:> 29.35% ||<-2> {{{#808080 △8.86}}} || [[새누리당]]은 현역인 진성호 의원을 공천배제하고 [[강동호(정치인)|강동호]]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총장과 [[윤상일]] 비례대표 의원을 경선자로 지명했다. 이에 진성호 의원은 반발하고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18대 총선에서 진성호 의원과 강동호 총장의 위치가 바뀐 셈이다. 진성호 의원은 선진국선 상상할 수도 없는 이상한 공천 룰이라며 개인이나 당이 아닌 국민을 위한 정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강동호 후보는 윤상일 후보를 경선에서 누르고 공천되었으나, 윤상일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흑색선전이 있었다며 반발하였다. [[민주통합당]]은 [[박홍근]] 전 경희대 총학생회장과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경선을 벌여, 박 전 회장이 최종 후보로 결정됐다. 당시 민주당 주류 세력과 마찰을 겪던 [[김덕규]] 당협위원장은 공천 배제를 당하였는데, 이에 김 위원장이 음모론을 제기하며 [[정통민주당]] 후보로 출마를 선언함으로써 [[중랑구 을]] 역시 여야가 분열되어 [[중랑구 갑]]과 마찬가지로 4파전 양상을 띠게 되었다. 본래 민주당은 양 전 비서관을 전략 공천하려 하였지만, 김 당협위원장의 반발 속에서 경선이 치루어졌고, 그 결과 한총련 출신 운동권 박홍근 후보가 최종 후보로 결정되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br]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동호(정치인)|{{{#373a3c,#dddddd 강동호}}}]](康東鎬) || 41,117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6.69% || 낙선 || ||<|2> {{{#ffffff {{{+5 '''2'''}}}}}} || '''[[박홍근|{{{#373a3c,#dddddd 박홍근}}}]](朴洪根)''' || '''49,62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44.28%''' || '''당선''' || ||<|2> {{{#ffffff {{{+5 '''3'''}}}}}} || 강원(姜遠) || 16,219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4.47% || 낙선 || ||<|2> {{{#ffffff {{{+5 '''5'''}}}}}} || 김민상(金旼詳) || 1,78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 || 낙선 || ||<|2> {{{#ffffff {{{+5 '''6'''}}}}}} || 윤정화(尹廷華) || 3,30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9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315 ||<|3> '''투표율'''[br]58.86% || || '''투표 수''' || 113,207 || || '''무효표 수''' || 1,163 || ||<:><-8> {{{#FFFFFF '''20대 총선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동호(정치인)|{{{#FFFFFF '''강동호'''}}}]] ||<:> [[박홍근|{{{#FFFFFF '''박홍근'''}}}]] || || '''득표수[br](득표율)''' ||<:> '''41,117 [br] (36.69%)''' ||<:> {{{#FFFFFF '''49,620 [br] (44.28%)'''}}} ||<:> '''-8,503 [br] (▼7.59)''' ||<:> '''58.86%''' || || '''상봉1동''' ||<:> 35.39% ||<:> {{{#004EA2 45.71%}}} ||<:> ▼10.32 ||<:> 58.16 || || '''중화1동''' ||<:> 35.49% ||<:> {{{#004EA2 45.19%}}} ||<:> ▼ 9.70 ||<:> 57.57 || || '''중화2동''' ||<:> 38.36% ||<:> {{{#004EA2 41.28%}}} ||<:> ▼2.92 ||<:> 54.19 || || '''묵1동''' ||<:> 35.67% ||<:> {{{#004EA2 45.09%}}} ||<:> ▼9.42 ||<:> 59.18 || || '''묵2동''' ||<:> 36.18% ||<:> {{{#004EA2 44.40%}}} ||<:> ▼8.22 ||<:> 54.71 || || '''망우본동''' ||<:> {{{#CA252B '''42.24%'''}}} ||<:> 39.08% ||<:> △3.16 ||<:> 52.67 || || '''신내1동''' ||<:> 36.51% ||<:> {{{#004EA2 45.89%}}} ||<:> ▼9.38 ||<:> 61.66 || || '''신내2동''' ||<:> 35.30% ||<:> {{{#004EA2 '''46.85%'''}}} ||<:> ▼'''11.55''' ||<:> '''65.11''' || || '''후보''' ||<:> [[강동호(정치인)|{{{#CA252B '''강동호'''}}}]] ||<:> [[박홍근|{{{#004EA2 '''박홍근'''}}}]]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A252B 40.12%}}} ||<:> 34.62% ||<-2> △5.50 || || '''관외사전투표''' ||<:> 32.77% ||<:> {{{#004EA2 44.81%}}} ||<-2> ▼12.04 || || '''국외부재자투표''' ||<:> 22.03% ||<:> {{{#004EA2 '''66.44%'''}}} ||<-2> ▼44.41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인 [[박홍근]] 의원이 단수추천되어 재선에 도전한다. [[새누리당]]에서는 강동호 전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총장이 윤상일 전 비례대표 의원을 경선에서 누르고 후보로 확정되었다. 이로써 강동호 후보는 해당 선거구에서 4번 [[낙선]]에 이어 5번째로 국회의원에 도전한다.[* 중랑구 을 지역을 제외한 경우는 15대 총선 '봉화 영양 울진' 지역에서 한번 낙선한 적이 있었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는 강원 전 한국폴리텍1 성남캠퍼스 학장이 후보로 확정되었다. [[무소속]]으로는 김민상, 윤정화 후보가 총선에 도전하게 된다. 개표가 진행되면서 박홍근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 되었고, 90% 개표 완료 시점에서 [[당선]]이 확정되었다. 이로서 박홍근 후보는 재선에 성공하게 되었다. 한편 20대 총선 관련해서 웃지 못할 사연이 발생했다. 2016년 4월 10일에 강동호 후보 측에서 '''TOEIC LC 시험을 치르고 있는 시험장''' 근처에서 확성기를 틀어놓고 선거유세를 하는 바람에 600여명 수험생들이 LC 10문제 정도를 못 듣는 사고가 생긴 것이다.[* LC는 듣기 문제로, [[대학수학능력평가]] 영어 듣기 문제 때 [[비행기]] 이착륙도 통제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가능하다.] 강 후보 선거운동 관련 홈페이지에 항의가 빗발치고 기사까지 나자 결국 강 후보측에서 사과글을 올렸다. 하지만 그런다고 다시 토익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접수비를 물어주는 것도 아니니 토익 참가자들의 분노가 하늘을 찔렀다. [[http://cafe.daum.net/ok1221/9Zdf/381836?q=%C5%E4%C0%CD|쭉빵카페에 올라온 관련글과 댓글 링크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한편 앞서 언급한 윤상일 전 의원의 아들인 무소속 윤정화 후보[* 옆동네 [[광진구 을]]에 있는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출신 최초의 총선 후보이기도 하다.]는 신내 3택지에 아이돌밸리를 구축하겠다는 패기 넘치는 공약을 내놓으며 출마했지만, 4위로 낙선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 {{{+1 '''중랑구 을'''}}}}}}[br]{{{#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br]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박홍근|{{{#373a3c,#dddddd 박홍근}}}]](朴洪根)''' || '''74,131'''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59.28%''' || '''당선''' || ||<|2> {{{#fff {{{+5 '''2'''}}}}}} || [[윤상일|{{{#373a3c,#dddddd 윤상일}}}]](尹相逸) || 47,603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38.07% || 낙선 || ||<|2> {{{#fff {{{+5 '''7'''}}}}}} || 이소영(李素瑛) || 1,956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1.56% || 낙선 || ||<|2> {{{#fff {{{+5 '''8'''}}}}}} || 신황우(申璜雨) || 722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57% || 낙선 || ||<|2> {{{#fff {{{+5 '''9'''}}}}}} || 민정기(閔貞基) || 625 || 5위 || || [include(틀:한국복지당)] || 0.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460 ||<|3> '''투표율'''[br]00.0% || || '''투표 수''' || 126,399 || || '''무효표 수''' || 1,362 || ||<:><-5> {{{#fff '''21대 총선 서울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홍근|{{{#fff '''박홍근'''}}}]] ||<:> [[윤상일|{{{#fff 윤상일}}}]] || || '''득표수[br](득표율)''' ||<:>{{{#fff '''74,131[br](59.28%)'''}}}||<:> '''47,603[br](38.07%)'''||<:>'''+ 26,528[br](△21.22)'''||<:>'''126,399 [br] (65.67%)'''|| || '''상봉1동''' ||<:> {{{#004ea2 59.54%}}} ||<:> 38.08% ||<:> △21.46 ||<:> 63.64 || || '''중화1동''' ||<:> {{{#004ea2 60.48%}}} ||<:> 36.97% ||<:> △23.50 ||<:> 63.68 || || '''중화2동''' ||<:> {{{#004ea2 59.14%}}} ||<:> 37.95% ||<:> △21.20 ||<:> {{{#696969 53.25}}} || || '''묵1동''' ||<:> {{{#004ea2 57.58%}}} ||<:> 40.08% ||<:> △17.50 ||<:> 65.16 || || '''묵2동''' ||<:> {{{#004ea2 60.19%}}} ||<:> 37.33% ||<:> △22.86 ||<:> 62.81 || || '''망우본동''' ||<:> {{{#4169E1 52.70%}}} ||<:> '''44.55%''' ||<:> {{{#696969 △8.14}}} ||<:> 59.69 || || '''신내1동''' ||<:> {{{#004ea2 58.37%}}} ||<:> 39.16% ||<:> △19.22 ||<:> 65.72 || || '''신내2동''' ||<:> {{{#004ea2 '''61.60%'''}}} ||<:> {{{#696969 36.29%}}} ||<:> '''△25.31''' ||<:> '''73.43''' || || '''후보''' ||<:> [[박홍근|{{{#004ea2 '''박홍근'''}}}]] ||<:> [[윤상일|{{{#EF426F 윤상일}}}]]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4.62%}}} ||<:> 35.82% ||<-2> △18.81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6.71%}}} ||<:> 29.22% ||<-2> △37.50 || || '''재외투표''' ||<:> {{{#004ea2 71.42%}}} ||<:> 27.04% ||<-2> △44.39 || ||<-4> {{{#fff '''중랑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박홍근|{{{#fff '''박홍근'''}}}]] || [[윤상일|{{{#fff 윤상일}}}]] || || '''신내 6단지 시영''' || {{{#004ea2 '''60.68%'''}}} || 36.39% || △24.29 || || '''데시앙''' || {{{#004ea2 60.45%}}} || 36.70% || △23.75 || || '''건영 2차''' || {{{#004ea2 57.02%}}} || 40.58% || △16.44 || || '''신내 진흥''' || {{{#004ea2 56.74%}}} || 41.31% || △15.43 || || '''동성 1, 2차''' || {{{#004ea2 55.83%}}} || 41.77% || △14.06 || || '''동성 3차''' || {{{#004ea2 53.75%}}} || 44.41% || △9.34 || || '''신내 대명''' || {{{#004ea2 53.07%}}} || 44.38% || △8.69 || ||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 {{{#004ea2 50.25%}}} || '''47.25%''' || △3.00 || 현역 [[박홍근]] 의원은 당에서 단수공천을 받고 후보로 등록하면서 3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재원(1964)|김재원]] 정책위의장이 원래 지역구인 [[경상북도|경북]]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에서 [[컷오프]]된 이후 험지 출마를 명분으로 중랑구 을 출마를 시사했으며 그 외에 민병주 전 서울시의회 의원, [[윤상일]] 전 국회의원, 이성권 전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경선 결과, [[윤상일]] 전 의원이 승리하여 공천되었다. 민중당에서는 이소영 중랑지역위원장이 후보로 등록했다. 그 외에 원외 군소정당인 [[한국복지당]]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을 지낸 민정기 무극정기 대표가 후보로 등록했다. 선거결과 [[박홍근]] 후보가 21%p 차이로 6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내며 압승을 거뒀다. 대형평수가 많은 상봉프레미어스엠코에서도 박홍근 의원의 표가 더 많았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랑구 을'''}}}}}}[br]{{{#ffffff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br]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박홍근|{{{#373a3c,#dddddd 박홍근}}}]](朴洪根)''' || 73,60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72% || '''당선''' || ||<|2> {{{#fff {{{+5 '''2'''}}}}}} || [[이승환(1983)|{{{#373a3c,#dddddd 이승환}}}]](李承煥) || 53,898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2.2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139 ||<|3> '''투표율'''[br]68.65% || || '''투표 수''' || 129,162 || || '''무효표 수''' || 1,664 || ||<-5> {{{#fff '''22대 총선 중랑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홍근|{{{#fff '''박홍근'''}}}]] ||<:> [[이승환(1983)|{{{#fff 이승환}}}]] || || '''득표수[br](득표율)''' || '''[br](%)''' || '''[br](%)''' || '''+ [br](△)''' || '''[br](%)''' || || '''상봉1동''' ||<:> % ||<:> % ||<:> △ ||<:> || || '''중화1동''' ||<:> % ||<:> % ||<:> △ ||<:> || || '''중화2동''' ||<:> % ||<:> % ||<:> △ ||<:> || || '''묵1동''' ||<:> % ||<:> % ||<:> △ ||<:> || || '''묵2동''' ||<:> % ||<:> % ||<:> △ ||<:> || || '''망우본동''' ||<:> % ||<:> % ||<:> △ ||<:> || || '''신내1동''' ||<:> % ||<:> % ||<:> △ ||<:> || || '''신내2동''' ||<:> % ||<:> % ||<:> △ ||<:> || || '''후보''' ||<:> [[박홍근|{{{#fff '''박홍근'''}}}]] ||<:> [[이승환(1983)|{{{#fff 이승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 ||<:> % ||<-2> △ || || '''관외사전투표''' ||<:> % ||<:> % ||<-2> △ || || '''국외부재자투표''' ||<:> % ||<:> % ||<-2> △ || ||<-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200]][br]{{{#ffffff '''연령별 투표 후보'''}}} || || '''연령대''' || [[박홍근|{{{#ffffff '''박홍근'''}}}]] || [[이승환(1983)|{{{#ffffff '''이승환'''}}}]] || '''격차''' || || 20대 이하 || 00.00% || 00.00% || 00.00%p || || 30대 || 00.00% || 00.00% || 00.00%p || || 40대 || 00.00% || 00.00% || 00.00%p || || 50대 || 00.00% || 00.00% || 00.00%p || || 60대 || 00.00% || 00.00% || 00.00%p || || 70대 이상 || 00.00% || 00.00% || 00.00%p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중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