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산시의 법정동]][[분류:경산시의 행정동]] [include(틀:경산시의 읍면동)] ||<-2> '''[[경산시|{{{#000000,#dddddd 경산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중방동}}}'''[br]中方洞 | Jungb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산 중방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산시 || || '''행정표준코드''' || 4729011700 || || '''관할 행정동''' || 중방동, 중앙동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 주요 시설 == 중방동은 크게 임당역 개통에 맞춰 새로 개발된 아파트 단지와 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한 중방로 북쪽 지역과 원시가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중방로 남쪽으로 나누어진다. 중방로의 북쪽 지역은 경산대임지구 개발 예정인 논밭 일부와 [[임당역]], 아파트 단지, [[홈플러스 경산점]]이 있는 주거단지 일부와 상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쪽 지역은 [[경산시청]], 경산시장, [[경산시외버스터미널]] NC 아울렛, [[CGV 경산]], 경산[[향교]] 등이 있는 경산시의 중심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산시]] 답게 실질적 중심가는 [[대구광역시]]의 [[동성로(대구)|동성로]]인 지라, 이 곳은 경산의 가장 중심지 임에도 불구하고 기를 못 쓴다. 그나마 시장과 아울렛 덕분에 버스도 많이 지나다니고 유동인구도 많지만, 인구 25만명의 시임에도 불구하고 읍내 수준의 시가지를 가지고 있다. 거기다 원도심이다 보니 건물들이 모두 낙후되고 오래되어 1980년대 같은 느낌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롯데몰 대구]] 들어오면...--- == 관할 행정동 == === 중방동 === ||<-2> '''[[경산시|{{{#000000,#dddddd 경산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방동}}}'''[br]中方洞 | Jungb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산시 중방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산시 || || '''행정표준코드''' || 5130045 || || '''관할 법정동''' || 중방동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116반 || || '''면적''' || 1.16㎢ || || '''인구''' || 10,207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8,799.1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경산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두현]] ,,(초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채아]] ,,(재선),, || ||<-2> '''경산시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권중석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안문길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경원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중앙초등길 62 (중방동 432-6) || || [[https://www.gbgs.go.kr/open_content/village/dong12/index.do|중방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교통 == [[경산시외버스터미널]]이 있지만,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경산역|철도 강세 지역]] 연타를 맞아서 노선도 얼마 없고 낙후되었다. 또한 이 쪽 지역 도로는 그다지 넓지 않지만 시장 덕분에 복잡하며, [[대구광역시]]와 [[경산시]]의 시내버스가 엄청 많이 지나가기 때문에 항상 교통체증에 시달린다. === 버스 === * [[경산시외버스터미널]] ==== 시내버스 ==== * [[경산 버스 100]] * [[경산 버스 100-1]][* 밤 9시 50분 옥산네거리 - 신방리 노선 한정] * [[경산 버스 109]] * [[경산 버스 399]] * [[경산 버스 803]] * [[경산 버스 809]] * [[경산 버스 911]] * [[경산 버스 918]] * [[경산 버스 990]] * [[경산 버스 991]] * [[경산 버스 경산1|경산 버스 경산1(-1)]] * [[경산 버스 경산2|경산 버스 경산2(-1)]] * [[경산 버스 경산3]] * [[경산 버스 남산1]] * [[경산 버스 남천1]] * [[경산 버스 압량1]] * [[경산 버스 용성1]][* 정평동행만 경유] * [[대구 버스 309]] * [[대구 버스 449]] * [[대구, 경산 버스 509]] * [[대구 버스 609]] * [[대구 버스 649]] * [[대구 버스 719]] * [[대구, 경산 버스 840]] * [[대구 버스 909]] * [[대구 버스 980]]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임당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