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회사의 계열사, rd1=금남고속, other2=동명의 고속도로 노선, rd2=중부고속도로, other3=서울의 시내버스 업체, rd3=중부운수)] [include(틀:충청남도의 시외버스 회사)] ||<-2> {{{#ffffff '''{{{+2 중부고속}}}'''[br]'''Jung Bu Express Co., Ltd '''}}} || ||<-2> [[파일:중부고속_로고.png|width=100%]] || || {{{#ffffff '''정식 명칭'''}}} || '''(주)중부고속''' || || {{{#ffffff '''영문 명칭'''}}} || Jung Bu Express Co., Ltd || || {{{#ffffff '''국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 [[1962년]] [[8월 7일]] || || {{{#ffffff '''업종명'''}}} || 시외버스 운송업 || || {{{#ffffff '''대표자'''}}} || 서동석 || || {{{#ffffff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 {{{#ffffff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 {{{#ffffff '''면허 대수'''}}} || 88대^^(2023년06월 기준)^^ || || {{{#ffffff '''직원 수'''}}} || 164명^^(2019년 기준)^^ || || {{{#ffffff '''자본금'''}}} || 2억 8,800만 원^^(2020년 기준)^^ || || {{{#ffffff '''매출액'''}}} || 116억 458만 원^^(2020년 기준)^^ || || {{{#ffffff '''영업이익'''}}} || - 23억 4,938만 원^^(2020년 기준)^^ || || {{{#ffffff '''당기순이익'''}}} || - 8억 2,016만 원^^(2020년 기준)^^ || || {{{#ffffff '''지분구조'''}}} || 릴슨프라이빗에쿼티+제이앤프라이빗에쿼티 100% || || {{{#ffffff '''계열사'''}}} || [[금남고속]] || || {{{#ffffff '''소재지'''}}} || 본사 -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로 1429 (읍내동) || [목차] [clearfix] ||[[파일:segric-unl.png|width=100%]]||[[파일:icndjic-unn.png|width=100%]]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 == 개관 == [[충청남도]]를 연고로 하는 시외버스 회사.본사는 [[대전광역시|대전]]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중부고속의 주 거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 등의 충남 지역이다. == 역사 == 1962년 신진여객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하였고, 1979년 화신교통(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0년 금산시내버스를 분리 독립시켰고[* 이 때 금산시내버스는 [[한일교통]]이라는 회사로 설립된다.], 1985년 3월 [[금남고속|금남여객]]에 인수되어 사명을 중부교통(주)로 변경하였다.[* 이 때 금남여객이 화신교통을 인수 후 화신교통에서 중부교통으로 바뀐 게 같은 해 1월 11일에 일어난 영동군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이 사고로 인해 사망자는 38명, 생존자는 딱 1명인 대형 참사였다.)가 회사 이름 변경에 결정타를 날렸다.] 1997년 (주)중부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2004년 말에 대전 - [[수원버스터미널|수원]] [[고속버스]] 노선[* [[코오롱고속]]에서 운행했던 노선. 후에 아주대, 영통입구, 신갈까지 연장했지만 2015년 4월 23일에 폐지되었다.], 2011년 5월에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고속버스]] 노선을 인수하였다.[* [[삼화고속]] 출신 BH120F는 인수하자마자 대폐차되었고, [[금호고속]] 출신 HSX(일반에서 우등으로 개조)와 LS 우등([[코오롱고속]] 출신)은 한동안 [[금호고속]] 도색으로 타 노선에서 운행하다가 대차되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1246&page=|링크]] 그러나 이 노선마저도 수요가 저조하여 2018년 5월 16일에 폐지되었다.] 2023년 11월 [[금남고속]]과 함께 릴슨프라이빗에쿼티와 제이앤프라이빗에쿼티라는 두 [[사모펀드]]의 합작 법인에 매각되었다. == 노선 == [[금남고속]]의 계열사였던거 답게, 중단거리 노선은 [[금남고속]]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 많다. 다만 [[금남고속]]이 단, 장거리 안가리고 다양하게 운영하는 편인데 반하여, 이 회사는 중장거리 쪽에 주력을 두는 듯.[* 물론 천안-성환(다만 고정은 아니다. 하단 참고.), 대전복합-금산, 천안-서대전 완통 등 일부 국도 직행 단거리 노선도 운영하며, 대전 - 금산은 회사 전체 노선 중 운행 간격이 가장 짧은 편.] [[금남고속]]의 계열사 시절에도 금남고속이 많이 운행하는 공주, 부여 등의 지역으로 들어가는 노선이 전무하다는 것도 특징. 대부분의 노선이 -- 돈이 되는 -- 대전복합, 유성 등 대전 지역이나 천안, 아산 지역에 몰려있다. 하지만 [[계룡시]]에서만큼은 서울남부와 인천공항 노선을 단독 운행하여 영항력이 크다. 또한 서울남부 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 버스노선도 운영하고 있는데 서울남부의 노선의 경우 계룡과 세종시[*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삼흥고속]], [[금호고속]]과 공배해서 운행한다.]이며,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대전복합과 금산•계룡 그리고 세종[* 그뿐만이 아니라 일부 시간대에는 유성을 경유하여 서남부까지 연장 운행한다.] 노선이다. 그 외에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 -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었다. 이쪽은 [[전환고속]] 노선이 아니라 원래 기존 메이저 고속버스 회사들이 운행하던 노선인데, 각각 대전-마산-창원 노선과의 경쟁에서 패해 [[금호고속]]/[[삼화고속]]에서 중부고속에 노선을 매각하고 철수한 것. 그러나 그 노선마저도 수요가 저조하여 2018년 5월 16일에 폐지되었으며 현재 창원으로 가는 노선은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대전 - 창원 노선]]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천안 ~ 마산, 창원 노선도 있었으나 2018년 11월에 [[경전여객]]에게 모두 넘기고 철수했다. 강원도에서 한 개의 노선 대전 - 세종 - 세종청사 - 춘천 가는 유일한 한 개의 노선이 있었는데 폐지되었다.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 출발 노선 * 서울남부 - 동학사 - [[계룡시|계룡]][* 서울남부-동학사-신도안-엄사-계룡(금암)] : 일 12회로, 1시간~1시간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전 회 시외우등이며 중부고속 단독배차 * [[고속버스 서울남부-세종|서울남부 - 세종청사 - 세종]] : 일 17회로 금남고속,충남고속,삼흥고속,한양고속,금호고속과 함께 공배하여 운행한다.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출발 노선 * [[시외버스 대전복합-인천공항|대전복합 - 대전청사 - 인천공항]] : 금남고속, 한양고속과 공동배차하는 [[공항버스]] 노선이며 우등 차량으로 운행한다. * 대전복합 - 김포국제공항 * [[시외버스 대전복합-수원|대전복합 - 오산 - 수원]] : 대전청사 경유노선도 있었으나 수요부족으로 2018년 2월 20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중부고속 단독배차. * 대전복합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세종]]) - [[평택시외버스터미널|평택]] - ([[송탄시외버스터미널|송탄]]) : 세종은 일 2회 경유, 송탄까지는 일 8회 연장운행한다. 중부고속 단독배차 * [[시외버스 대전복합-창원|대전복합 - 마산 - 창원 - (김해)]] : 일 4는 김해까지 연장 운행한다. 중부고속 단독배차[* 추가로 2019년 5월 1일부터 시외우등으로 전환되어 운행한다.] * [[시외버스 대전복합-금산|대전복합 - 마전 - 금산]] : 6:30분이 첫차이고 21:30분이 막차이며 15~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그리고 대전복합-신흥동-부사동-마전-새말-금산으로 운행하며, 중부고속 단독배차 * [[고속버스 대전복합-성남|대전복합 - 성남]] : 일 22회로 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어느곳을 경유하지 않고 직통으로 운행한다. 금남고속과 공동 배차. 1회만 일반을 투입한다. * [[유성시외버스정류소|유성]] 출발 노선 * 유성 - 대전청사 - 세종 - [[부천종합터미널|부천]] : 금남고속, 한양고속과 공동배차 * [[시외버스 유성-인천|유성 - 대전청사 - 인천]] : 금남고속과 공동배차, 인천발 첫차/유성발 막차를 제외한 전 차량 우등. * [[고속버스 유성-성남|유성 - 대전청사 -성남]] : 금남고속과 공동배차이며 일부시간대 세종시 경유. * 유성 - 세종 - 조치원 - 천안 : 금남고속과 공동배차 * [[천안시외버스터미널|천안]] 출발 노선[* 원래는 마산, 창원과 유성 노선 말고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으로 가는 직통노선이 있었는데 2018년 말에 [[코리아와이드 경북]]이 철수하면서 동시에 중부고속도 철수하게 된다. 그리고 삼흥고속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 천안 - 성남.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대원고속(1일 2회)과 공동배차. * [[인천공항터미널|인천국제공항]] 출발 노선 * 인천국제공항 - 계룡 - 금산 : 일 4회[* 원래는 일 5회이고 일 5회중에 일 4회는 금산까지 연장운행하고, 일 1회는 계룡이 종착지이다.]이다. [[공항버스]] 노선으로 전회우등이며, 중부고속 단독배차 * 인천국제공항 - 세종청사 - 세종 - (유성) - ([[대전서남부터미널|대전서남부]]) : 일 15회 운행하며, 유성을 경유하여 대전서남부터미널까지 연장 운행하는 경우 일 4회 운행한다.[* 간단하게 이해하자면 일 15회 중 일 11회가 세종이 종착지이고, 일 4회는 유성을 경유하여 서남부터미널까지 연장 운행한다.] 금남고속, 한양고속과 공배하여 운행한다. == 기타 사항 == 과거에는 중고차 도입이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는 중고차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최근에 [[서울고속(충북)|새서울고속]] 출신 2000년식 파크웨이를 운행했었고, [[용남고속]]에서 천안-평택노선 인수와 함께 BH116, 에어로 스페이스 LS를 들여왔고, 최근에는 [[충북리무진]]에서 운행하던 에어로 하이 스페이스를 도입했다.[* 해당 차량은 우등에서 일반으로 개조했는데 무려 '''[[KD 운송그룹]]에서 볼 법한 광폭시트로 개조되었다.'''] 그 이후에도 곳곳에서 중고차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신차 출고보다 중고로 들어오는 차량이 더 많이 보일 지경. 2019년에는 [[금남고속]]과 함께 F/L [[현대 유니버스|노블]]을 도입했다. 얼마전에 천안-평택노선 운행과 관련하여 대차게 까였다. 본래 이 노선은 [[용남고속]]이 운행하던 노선으로, 황금 노선으로 분류되었으나 수도권 전철 천안 연장으로 승객이 감소하여 감회를 거듭하다가[* 전철이 생기기 전에는 10분에 한대 꼴로 다녔다.] 노선을 매각, 중부고속이 이를 인수해 운행하다가 2011년 말 노선운행을 중단하였으나, 이용객들의 항의가 빗발쳐[* 이는 [[천안역]]-[[천안종합버스터미널]]간의 접근성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역과 터미널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 아무래도 두 곳중 한 곳은 접근하기 불편할 수가 있다. 거기에 천안의 시외버스를 --먹여살리는-- 주로 이용하는 단국대, 상명대, 백석대 등의 대학생들은 터미널을 이용하기 용이하다.] 노선을 부활시켰으나, 감회하여 재운행 하였기 때문에 다시 항의를 받았고 결국 종전대로 환원했다. 욕은 욕대로 먹고 얻은건 없다. 결국 이 노선은 원래 운행 업체였던 [[용남고속]]으로 다시 넘어왔으나 [[용남고속]]에서도 재차 운행을 포기하게 되었고 결국 충청남도의 중재로 천안-성환으로 단축하고 충남 시외버스 5개 사가 한 달씩 돌아가면서 반 강제로 운영되고 있다. 2014년에는 전주-천안 노선이 평택까지 연장되어 성환을 경유하도록 바뀌면서 기존에 전주-천안 노선을 운영하는 금남고속, [[대원고속]], [[전북고속]], [[호남고속]]이 간접적으로 천안-성환을 운영하게 되었다. --금남이야 충남 연고 회사라지만 KD는 경기도, 전북이랑 호남은 저~어어어~기 밑에 전북 회사인데 여긴 뭔 죄래-- 그래도 아직도 평택-천안 단거리 수요가 있긴 있다 평균 6명 많으면 8명 정도? 덤으로 중고차 도입 뿐만 아니라 차량 개조에도 한 실력 하시는 듯 하다. [[용남고속]]이 보유하던 타는 문과 내리는 문이 모두 달린(전중문형) 에어로 스페이스 차량을 들여와 '''내리는 문을 떼어내고 창문을 달았다!!!''' 해당 차량은 대전복합 - 마전 - 금산(새말경유) 노선에서 운행중이며 얼핏 보면 전혀 개조한 차량 같이 보이지 않는다. 사진을 보고 싶은 사람은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340839&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C%A4%91%EB%B6%80%EA%B3%A0%EC%86%8D|링크]]를 참조할 것.[* 현재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 럭셔리]]로 대차되었다.] 참고로 과거 차고지는 [[대전서남부터미널]]이었으나 현재는 대덕구 읍내동으로 이전했다. 과거 금남고속에서도 서울 화곡교통 출신 1997년식 BH115H 차량의 중문을 감쪽같이 개조했던 이력이 있는 것을 보면 과연 계열사는 계열사인 듯... 메이저 [[코오롱고속]], [[금호고속]], [[삼화고속]]과의 경쟁에서 무려 2번이나 KO승을 거두었다. 첫 번째는 수원~대전의 코오롱고속과의 경쟁이였는데 당시 중부고속은 수원 발 오산 경유 대전행 시외버스 노선에 [[현대 에어로버스|에어로 퀸]] 우등을 투입하면서 요금은 일반 고속과 동일한 요금을 받아 결국 2005년 초, 코오롱고속이 수원~대전 노선에서 철수, 노선과 차량을 중부고속에 모두 매각했다.후에 아주대, 영통입구, 신갈까지 연장했지만 2015년 4월 23일에 폐지되었다. 두 번째는 대전~마산 노선으로 중부고속은 우등 차량을 투입하면서 요금은 2005년 기준 13,000원 대를 징수했는데 우등고속 운임을 19,200원을 받던 금호와 삼화고속이 우등 요금을 15,000원으로 인하했다. 이후에도 버틸 수 없었는지 결국 2011년에 금호와 삼화고속 역시 해당 노선에서 철수하고 노선과 차량을 중부고속에 매각했다. 이후 중부고속은 대전~마산 고속 노선의 요금을 19,400원으로 올려 버렸다. 그러나 그 노선마저도 수요가 저조하여 2018년 5월 16일에 자사 시외노선에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그런데 해당 노선은 예전부터 운행하고 있었던 자사 시외버스 노선이 팀킬한 측면도 있는데, 대전 ~ 마산 버스는 대전 ~ 마산시외 ~ 창원( ~ 김해) 시외노선의 인지도가 더 높았기 때문이다. 2018년 말 천안 - 마산,창원을 [[경전고속]]에, 천안 - 부산을 [[삼흥고속]]에 매각하였다. 노선 매각과 동시에 인수 업체에 차량 한 대씩 넘겼는데, [[동일고속]]이 인수한 차량은 중부고속 시절 도색 그대로 마산 - 함안 노선 운행 중인 게 합성동에서 종종 목격된다. 계열회사인 금남고속처럼 구형 차량 110km/h, 신형 차량은 108km/h 리밋이나 저 리밋을 보여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금남도 속도와 거리가 있지만 이 업체는 더욱 빡빡히 연비운전을 실천하고 다닌다. == 면허 체계 == * 충남 '''73''' 아 '''33##''', '''34##'''호[* 충남 73은 [[금산군]]에서 주로 사용한다. 실제로 금산읍 외곽에 중부고속 차량들이 모여있는 차고지가 있는데 이곳이 차적지로 유력하다. ]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EX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프레스티지 EX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디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하이스페이스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퀸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디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928 디젤]] * [[기아 그랜버드|기아 그랜버드 파크웨이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자일대우버스 FX|대우 FX116 크루징애로우 디젤]] == 관련 문서 == * [[시외버스]] * [[버스 회사]] [[분류:대전광역시의 기업]][[분류:충청남도의 시외버스 회사]][[분류:1962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