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정립된 [[3성 6부제]]에서 중서성의 장관을 지칭한다. == 중국의 중서령 == 중국 한나라 시기를 거치며 [[승상]](사도)의 권력이 약해지고 황제 측근인 내조(內朝)의 권력이 강해졌다. 황제의 문서를 관리하는 상서의 비중이 커졌고, 이를 지휘하는 [[녹상서사]]가 생겨났고 이것이 상서령으로 이어진다. 중서령은 황제의 비서실장격으로, 비서기구의 수장이 재상화된 것이었다. 당나라 시기 중서령은 [[시중|문하시중]], 상서령과 함께 3성의 장관으로, 명실상부한 재상이었다. 다만 가장 지위가 높은 상서령은 [[태종(당)|당 태종]]이 맡은 적 있기에 기피되어 그 아래 상서복야가 상서성의 실질적 장관이었다. 당제(唐制)에서 중서성은 정책을 입안하거나 황제의 명령을 기초하는 역할이었고, 문하성은 그것을 심사하고 봉박할 권한을 가졌기에 비효율적인 문제로 정사당에 모여 합동회의를 했다. 재상회의인 정사당을 주로 이끄는 건 중서령과 문하시중이었는데, 점차 중서성과 문하성이 통합되며 문하시중이 주도가 되기도 하였다. 중서령은 송제(宋制)에서는 법률상으로 존재할 뿐 실직이 아니었다. 즉, 송제는 겉으로 보기에는 당제였으나 실질 운용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중서령이 법률상 중서성의 장관이었으나, 실제 송대의 재상은 당대 이래 재상의 권한을 의미하는 동중서문하평장사였다. 원나라 때 중서성의 장관으로 중서령을 두긴 했으나 황태자가 맡는 자리였고 명예직이다보니, 그 아래의 우승상, 좌승상이 실질적 장관이었다. 명나라 때는 중서령을 두지않고 좌승상이 장관이었으나, [[홍무제]]가 재상제도를 폐지하며 사라졌다. == 고려의 중서령 == [[고려]]에선 [[정부#政府]]인 [[중서문하성]]의 종1품 [[관직]]으로 명목상 기관장이다. 같은 기관의 실질적 기관장인 [[문하시중]]과 같은 품계이지만 명예직에 해당한다. 같은 품계의 상서령(尙書令)이 [[왕족]]에게만 수여되는 명예직이었다면, 중서령은 관료에게도 수여되었다. 상서령과 중서령을 아울러 영공(令公)이라고도 한다. 본래는 내의령(內議令), 내사령(內史令)이었다. [[원 간섭기]]에 관직의 명칭이 영(令)에서 영사(領事)로 바뀌었다. [[공민왕]] 때 중서령으로 잠깐 되돌아 갔다가, 최종적으로 문하부[* 문하부는 중서문하성의 후신으로 [[충렬왕]]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친 첨의부→도첨의사사→도첨의부에서 고려 후기인 1369년(고려 공민왕 18년)에 문하부로 이름이 바뀌었고 조선 초기에 의정부에 통합돼서 폐지되었다.]의 영문하부사(판문하부사)로 바뀌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려 말 최고의 권신이자 간신인 '''[[이인임]]'''이 있다. 이 영문하부사가 조선 초기에 영의정부사로 이어져서 [[영의정]]으로 명칭이 바뀐다. [[분류:고려의 재상]][[분류:중국의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