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군]]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2> {{{#ffff00 {{{+2 '''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대[br]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br]中央军事委员会联勤保障部队[br]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br]{{{-2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Joint Logistic Support Force}}} }}} || ||<-2> [[파일: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대_badge.jpg|width=30%]] || ||<-2> {{{#ffff00 '''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대 심볼''' }}} || ||<-2> {{{#ffff00 '''모토''' }}} || ||<-2> 없음 || || {{{#ffff00 '''창설년도''' }}} ||[[2016년]] [[9월 13일]] || || {{{#ffff00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소속''' }}}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 직할부대]] || || {{{#ffff00 '''군종''' }}} ||[[통합군]] || || {{{#ffff00 '''규모''' }}} ||부전구급 || || {{{#ffff00 '''본부''' }}} ||[[후베이성]] [[우한시]] 장안구 융칭루 20[br]湖北省武汉市江岸区永清路20号 || || {{{#ffff00 '''행진곡''' }}} ||[[연근보장부대 진행곡]] || || {{{#ffff00 '''참전''' }}} ||없음 || ||<-2> {{{#ffff00 '''지휘''' }}} || || {{{#ffff00 '''사령원''' }}} || [[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왕리옌]](王立岩)^^([[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로켓군]])^^ || || {{{#ffff00 '''정치위원''' }}} || [[파일:중국육군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 중장 왕원전(王文全)^^([[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clearfix] [목차] == 개요 == [[보급]],[[군수]] 등을 전담하는 [[중앙군사위원회]] 직속 부전구급 [[부대]]. [[사령원]]은 [[중장]]. == 역사 == [[파일:연근보장부대1.jpg]] [[2016년]] [[9월 13일]], '중앙군사위 연근보장부대 창설대회'가 [[베이징]] 팔일빌딩에서 열렸다.[[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겸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중앙군사위 주석]]은 [[우한]](武漢) 연근보장기지와 [[우시]](無錫) 연근보장센터, [[구이린]](桂林) 연근보장센터, [[시닝]](西寧) 연근보장센터, [[선양]](瀋陽) 연근보장센터, [[정저우]](鄭州) 연근보장센터에 [[중국 인민해방군]] 군기를 수여하고 훈사를 했다.중국 공산당 정치국원인 [[판창룽]](范長龍)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은 회의에서 [[우한]]연근보장기지 및 개 연근보장센터 설치 명령, [[우한]]연근보장기지의 지도부 및 각 연근보장센터의 주요 지도부에 대한 시 주석의 [[명령]]을 낭독했다.이번 대회는 [[쉬치량]](許其亮)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주재한다. 같은 날 [[양위쥔]](楊宇軍)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공보국장은 국방부 연근보장체제 개혁 심포지엄에서 중앙군사위 직속의 중앙군사위 연근보장부대의 구성은 중국 인민해방군 특색의 현대적 연근보장체제 수립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2016년]] [[9월]], 각 지역 군사대표부는 각 군구 수습사무실에서 각 연근보장센터로 소속이 바뀌었다. 연근보장부대는 설립 초기에는 정군급으로, 군사위 연지지휘와 군사위 후방보장부 지도관리를 받아 각 [[전구]], 각 군과 연계해 전구 주전을 보장하고 군종건설을 복무했다. 이영재 중국 인민해방군 후근학원 교수는 [[2016년]] [[11월]] [[신화망]] 인터뷰에서 [[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와 [[중앙군사위원회 후근보장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군사위 후근보장부는 군사위의 한 기관이다.평시 관리 때는 [[우한]] 후방기지를 통해 개 연합보안센터를 관리하고 [[부대]]에 대한 지역적 보장을 실시한다.[[전시상황|전시]]에는 군사위 연지대전구 및 전구대 대연보센터를 통해, 예를 들면 병·고역을 통해 부대에 대한 지역적 보장과 일선 부대에 대한 지원성 보장을 실시한다"고 말했다.연근보장부대가 창설된 후 연근보장부대는 각 병원, 요양원, 창고 등이 중앙군사위 후방보장부 직속기관이다. 연근보장부대는 창설 이후 연합작전, 연합훈련, 연합보장능력이 향상돼 실전수준이 눈에 띄게 향상되고, 군민화합과 혁신서비스가 실시되며, 군대의 어려움을 능동적으로 해결해준다. [[2016년]] 설립 초기에는 연근보장부대의 각 [[병원]], [[요양원]], [[창고]] 등에 '중앙군사위 후근보장부 직속기관' [[완장]]을 착용했다.[[2017년]] 중앙군사위 승인 아래 [[2017년]] [[8월 1일]]부터는 신식 명찰, 완장을 일괄적으로 달고 있다. 2017년 현재 중앙군사위 연근보장부대는 [[작전]] 마인드로 [[후방]] 보장을 견인하고 육군에서 3군 연근 보장, 양초 선행에서 청렴 선행으로 전환하는 을 초보적으로 실현했다. 2017년 [[12월]] 연근보장부대는 부전구급 단위로 승격돼 해방군 대단위 [[서열]]에 올라 중앙군사위원회가 직접 지휘한다. [[2019년]] [[7월 24일]] [[중국 정부|국무원]] 신문판공실이 발간한 정부백서 '신시대 중국의 국방'에서 ''연근보장부대는 연근보장과 전략전투 지원보장을 실시하는 주체역량으로 중국 특색의 [[현대]] [[군사력]] 체계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창고·위근·운수투송·송유관선·공사건설관리·비축자산관리·조달 등의 역량이 포함된다"며 "연근부대 중심, 군종 보완, 통합·통전 양 노선의 보장체제 구축, 전략전력 중심, 부대역량 보완, 사회보장 기반, 연합·정예·효율적 후방역량 체계 구축"이 그 목적이라고 밝혔다. == 조직 == * 참모부(参谋部) * 정치 공작부(政治工作部) * 기율검사위원회(감찰위원회)(纪律检查委员会(监察委员会)) [[파일:연근보장부대.jpg]] == 직할기지 == === [[우한]]연근보장기지 === 중앙군사위원회 연근보장부대의 최고부대로 후베이성 우한시에 자리잡고 있다. ==== [[우시]]연근보장센터([[동부전구]]) ==== * 직속기지(센터) * 참모부(参谋部) 전시근무훈련처(战勤训练处) 직속공작처(直属工作处) * 정치공작부(战勤) 선전처(宣传处) 군인 및 문직인원처(兵员和文职人员处)[* 중국어로 문직인원(文职人员)은 현역군인도 아니고 군적도 없지만 과학기술, 건설, 위생, 번역, 서류관리 등 군의 행정과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로 한국군의 [[군무원]]과 성격이 유사하다.] * 공급처(供应处) * 운송배달처(运输投送处) * 위근처(卫勤处) * 창고관리처(仓储管理处) * 군사시설건설처(军事设施建设处) * 과학기술정보화처(科技和信息化处) * 군사대표판사처(军事代表办事处) 주난징 군사대표판사처 주우시 군사대표판사처 주[[중국철도난창그룹|난창철도국]] 군사대표판사처 - 주난창철도국 푸저우 군사대표사무처 주[[중국철로상하이국집단|상하이철도국]]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철도국 허페이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철도국 항저우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철도국 난징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철도국 상하이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철도국 쉬저우 군사대표판사처 항무 군사 대표판사처(航务军事代表办事处) 주푸젠성 항무 군사대표판사처 주장쑤성 항무 군사대표판사처 주상하이항 항무 군사대표판사처 * 예하 의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총의원]] : [[장쑤성]] [[난징시]] 쉬안우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0의원 : [[푸젠성]] [[푸저우시]] 구러우구 서2환북로 156호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1의원 : [[안후이성]] [[허페이시]] 수산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2의원 : [[안후이성]] [[벙부시]] 위후이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3의원 : [[저장성]] [[항저우시]] 시후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4의원 : [[장쑤성]] [[우시시]] 량시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6의원 : [[저장성]] [[닝보시]] 인저우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7의원 : [[푸젠성]] [[난핑시]] 옌핑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8의원 : [[장시성]] [[난창시]] 칭윈푸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09의원 : [[푸젠성]] [[장저우시]] 샹청구 소재로 샤먼대학 부속 동남의원으로도 부른다.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10의원 : [[푸젠성]] [[취안저우시]] 펑쩌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루산재활센터 중국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질병예방통제센터 여러 종합 창고 여러 석유 저장 창고 ==== [[구이린]]연근보장센터([[남부전구]]) ==== * 예하 의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남부전구 총의원 : [[광둥성]] [[광저우시]] [[웨슈구]] 소재 ==== [[시닝]]연근보장센터([[서부전구]]) ==== * 예하 의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서부전구 총의원 : [[쓰촨성]] [[청두시]] 진뉘구 소재 ==== [[선양]]연근보장센터([[북부전구]]) ==== * 직속기지(센터) * 참모부 전시근무훈련소(战勤训练处) 직속공작소(直属工作处) * 정치공작부 홍보처 군인 및 민간인 서비스(兵员和文职人员处) * 공급처(供应处) * 운송배달처(运输投送处) * 위근처(卫勤处) * 창고관리처(仓储管理处) * 군사시설건설처(军事设施建设处) * 과학기술정보화처(科技和信息化处) * 군사대표판사처(军事代表办事处) * 주[[중국철도선양그룹|선양철도국]] 군사대표판사처 * 주[[다칭둥역]] 군사대표판사처 * 주[[중국철도하얼빈그룹|하얼빈철도국]] 군사대표판사처 * 주[[중국철도후허하오터그룹|후허하오터철도국]] 군사대표판사처 * 주[[중국철도지난그룹|지난철도국]] 및 수로 군사대표판사처 * 예하 의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총의원 : [[랴오닝성]] [[선양시]] 선허구 웬화루 83호 소재. 동북3성에서 유명한 심장병 전문 병원이다.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0의원 : [[산둥성]] [[지난시]]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1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2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3의원 : [[헤이룽장성]] [[자무쓰시]] 첸진구 중산루 361호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4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5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6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7의원 : [[다롄시]] 샤허커우구 창장루 885호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8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69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70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다롄재활센터 중국인민해방군 북부전구 질병예방통제센터 ==== [[정저우]]연근보장센터([[중부전구]]) ==== * 직속기지(센터) * 참모부(参谋部) 전시근무훈련처(战勤训练处) 직속공작처(直属工作处) * 정치공작부(战勤) 선전처(宣传处) 군인 및 문직인원처(兵员和文职人员处)[* 중국어로 문직인원(文职人员)은 현역군인도 아니고 군적도 없지만 과학기술, 건설, 위생, 번역, 서류관리 등 군의 행정과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로 한국군의 [[군무원]]과 성격이 유사하다.] * 공급처(供应处) * 운송배달처(运输投送处) * 위근처(卫勤处) * 창고관리처(仓储管理处) * 군사시설건설처(军事设施建设处) * 과학기술정보화처(科技和信息化处) * 군사대표판사처(军事代表办事处) 주베이징 군사대표판사처 주시안 군사대표판사처 * 예하 의원부대 중국인민해방군 중부전구 총의원 : [[후베이성]] [[우한시]] 우창구 (총본부) / 장안구 (한커우의원)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0의원 : [[허베이]] [[스자좡시]] 차오시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1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2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3의원 : [[텐진시]] [[허베이구]] 후앙웨이루 60호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4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5의원 : [[산시성]] [[타이위안시]] 잉쩌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7의원 : [[산시성]] [[바오지시]] 진타이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8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89의원 : [[허난성]] [[핑딩산시]]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90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제991의원 :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베이다이허재활센터 : [[허난성]] [[친황다오시]] 베이다이허구. 2005년 281의원, 187의원 흡수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린퉁재활센터 : [[산시성]] [[시안시]] 린퉁구 소재 중국인민해방군 연근보장부대 톈진재활센터 중국인민해방군 중부전구 질병예방통제센터 === 직속 부서 === * [[중국 인민해방군 총의원]](구 301의원,부군급) * 중국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군사의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