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국회 구성)] ||<-2> [[일본 국회|[[파일:일본 국회 문장.svg|width=35]]{{{#C4C974 '''일본 국회'''}}}]][br]{{{+3 '''중의원'''}}}[br]'''衆議院 | House of Representatives''' || ||<-2>{{{#!wiki style="margin: 3px 35px -5px -9px" [[파일:중의원 홈페이지 배너.png|width=75%]]}}}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91DBAD5-2DE7-496A-B2C5-FD40A14301DA.jpg|width=100%]]}}}|| || '''구성''' ||[[양원제]] [[일본 국회|국회]] [[하원]], [[다당제]] || || '''개회''' ||[[1890년]] [[11월 29일]] || || '''[[일본 중의원 의장|{{{#C4C974 의장}}}]]''' ||[[누카가 후쿠시로]]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 [[이바라키현 제2구|{{{#000000,#fff 이바라키 2구}}}]])}}},, || || '''부의장''' ||[[가이에다 반리]] ,,{{{-2 ([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 [[비례대표|{{{#000000,#fff 도쿄 비례대표}}}]])}}},, || || '''사무총장''' ||오카다 노리하루 || || '''의원''' ||정원 465석 중 재적 465인 || ||<|2>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7-1|| ||[[국회의사당(일본)|국회의사당]]|| || '''최근 선거'''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차기 선거'''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fff,#1f2023> [[http://www.shugiin.g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pg061zUuuEbmyJPGuc_B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사무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의원([[衆]][[議]][[院]])은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 국회]]에서 하원을 부르는 말이다. [[상원#s-1]]인 [[참의원(일본)|참의원]]과 함께 일본의 국회를 구성한다. == 현황: 제49대 중의원 == 2021년 10월 31일에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치러졌다. 11월 10일에는 [[제2차 기시다 내각]]이 출범하였다. === 원내 구성 === [include(틀:일본 국회의 원내 구성)] 일본 국회에서는 원활한 의정 활동을 목적으로 각 정당이 연합해 회파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회파별 의석 수는 해당 정당의 의석 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의정 활동에서 소속 회파는 당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며 한국의 원내교섭단체와 비슷한 개념이다. '''회파별 점유의석 현황''' [[http://www.shugiin.go.jp/internet/itdb_annai.nsf/html/statics/shiryo/kaiha_m.htm|2023년 8월 5일 현재]] * '''재적 464석 (공석 1석)''' * '''연립여당'''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자민)[*自民 약칭] - {{{#E50038 '''261석'''}}} * [[공명당|{{{#f95580 '''공명당'''}}}]](공명)[*公明 약칭] - {{{#f95580 '''32석'''}}} * '''야당''' * '''[[입헌민주당(2020년)|{{{#00469C 입헌민주}}}]]・[[마쓰바라 진|{{{#808080 '''무소속'''}}}]]'''(입민)[*立民 약칭] - {{{#00469C '''96석'''}}} *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일본 유신회}}}]]'''(유신)[*維新 약칭] - {{{#1DAC42 '''41석'''}}}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공산)[*共産 약칭] - {{{#db001c '''10석'''}}} * '''[[국민민주당(2020년)|{{{#09236d,#gold 국민}}}]]・{{{#ccc 무소속그룹}}}'''(민주)[*民主 약칭] - {{{#09236d,#gold '''10석'''}}} * {{{#808080 '''유지의 모임'''}}}(有志の会)(유지)[*有志 약칭] - {{{#808080 '''5석'''}}}[* 구 민주당 계열 무소속 모임] * [[레이와 신센구미|{{{#dd6997 '''레이와 신센구미'''}}}]](레신)[*れ新 약칭] - {{{#dd6997 '''3석'''}}} * [[무소속|{{{#808080 '''무소속'''}}}]][* 정·부의장 1인씩, 무소속 5명] - {{{#808080 '''6석'''}}} || 전체 ||{{{#!wiki style="color: #fff; font-weight: 700;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E50038 calc((262)*100%/465),#EF426F 0%,#f95580 calc((262 + 32)*100%/465),#00469C 0%,#00469C calc((262 + 32 + 96)*100%/465),#1DAC42 0%,#1DAC42 calc((262 + 32 + 96 + 41)*100%/465),#DB001C 0%,#DB001C calc((262 + 32 + 96 + 41 + 10)*100%/465),#003F88 0%,#003F88 calc((262 + 32 + 96 + 41 + 10 + 10)*100%/465),#dddddd 0%,#dddddd calc((262 + 32 + 96 + 41 + 10 + 10 + 5)*100%/465),#ED008C 0%,#ED008C calc((262 + 32 + 96 + 41 + 10 + 10 + 5 + 3)*100%/465),#808080 0%)" 56.3%}}} || ||<^|1><-3>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회파별 의석 점유비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2> 여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E50038 calc(261*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261석}}}|| || [include(틀:공명당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f95580 calc(32*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32석}}}|| ||<|7> 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4097; font-size: .8em" {{{#ffffff '''[[입헌민주당(2020년)|{{{#ffffff 입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469C calc(96*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96석}}}|| || [include(틀:일본 유신회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DAC42 calc(41*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41석}}}|| || [include(틀:일본 공산당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db001c calc(10*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10석}}}||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3F88, 글자색=#FFCC00, 내용=국민, 사이즈=.8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3F88 calc(10*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10석}}}||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dddddd, 글자색=#000000, 내용=유지, 사이즈=.8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dddddd calc(5*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5석}}}||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008C, 글자색=#ffffff, 내용=레신, 사이즈=.8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ED008C calc(3*100%/465), rgba(0,0,0,0) 0%); font-weight: 700" 3석}}}|| || [include(틀:무소속 표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808080 calc(6*100%/462), rgba(0,0,0,0) 0%); font-weight: 700" 6석}}}||}}}}}}}}} || == 상세 == === 자격 === 선거권은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s-1]],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있다. 중의원이 창설된 1890년에는 [[국세]] 연간 15[[일본 엔|엔]] 이상을 납부한 25세 이상 남자(황족, 화족, 현역 군인 제외)에게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는데, 이 때 선거권을 가진 사람은 일본 전체 인구의 1%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 이러한 재산 제한이 낮아지기 시작하다가 1925년에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계기로 보통선거법을 제정해 25세 이상 모든 남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그리고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1946년에 보통선거법이 개정되어 20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선거권이, 25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피선거권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2015년 6월 일본 공직선거법이 개정됨에 따라 투표 가능 연령이 기존의 20세에서 18세로 내려갔다.[* 참고로 개정된 선거법에서 18세, 19세 국민들이 투표하게 된 첫 선거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러한 것과는 달리 일본 민법상 성년 연령은 아직 20세이지만, 성년 연령도 똑같이 18세로 낮추는 민법개정안이 2018년 6월 13일 통과되었으며, 2022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00402|기사]]] 피선거권 제한은 한국과 같지만 한국 국회보다 20대 당선자가 꾸준히 나오는 편이다. 중의원 최연소 당선자의 계보는 [[이시바 시게루]](38대, 당시 29세, 現 12선)-아카기 노리히코(39대, 당시 30세, 前 6선)-우사미 노보루(40대, 당시 26세, 前 재선)-[[후루카와 모토히사]](41대, 당시 30세, 現 9선)-하라 요코(42대, 당시 25세, 사상 최연소, 前 초선)-테라다 마나부(43대, 당시 27세 現 6선)-스기무라 다이조(44대, 당시 26세, 前 초선)-오타 가즈미(44대, 당시 26세, 前 3선, 現 [[카시와시]]장)-마쓰오카 히로타카(45대, 당시 27세, 前 초선)-[[이마에다 소이치로]](46대, 당시 28세, 現 4선)-[[스즈키 다카코]](46대, 당시 27세, 現 4선)-[[바바 유키]](49대, 당시 29세, 現 초선)으로 이어지는 중이다. 이들 중 친족의 기반을 이어 출마한 세습 의원(이시바, 아카기, 테라다, 스즈키)이나 역량이 뛰어난 이들(후루카와, 오타, 이마에다) 말고는 대부분 시류를 잘 타고 당선된 기반도 없는 청년들이라 대부분 초선 이후로는 당선되지 못하고 있지만, 최연소 국회의원을 해봤기 때문에 계속 선거에 나오는 이들이 많다. 스즈키 다카코(1986년생, [[스즈키 무네오]]의 딸) 이래 중의원에 이 이상 어린 당선자가 나오지 않아 근 8년간 최연소 의원이다가,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최초의 헤이세이 출생 중의원 의원이 2명 나왔다. 각각 [[도쿄 13구]]의 [[츠치다 신]](자민, 90년생)과 비례 도호쿠의 [[바바 유키]](입민, 92년생)이다. 참고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는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에 선거구가 설정되어있지 않아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지만, 식민지인이였던 [[조선인]]([[조선적]])과 [[대만인]](대만적)도 일본에 1년 이상 거주했다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졌다. 조선인인 [[박춘금]]이 이런 식으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바 있다. [[아베 신조]] 내각은 선거법을 추가 개정하여 중의원 [[피선거권]]도 20세, [[통일지방선거]] 피선거권은 18세로 내릴 계획이다. 대략 [[2023년]] 시행을 목표로 준비중이다. 그러나 2020년 9월 16일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의 사임에 따라 내각이 사퇴하면서 시행될지는 미지수이다. === 임기 === 임기는 '''4년'''이다. 하지만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이 [[중의원 해산]]을 시전하면 즉시 임기가 종료되고 해산일로부터 40일 이내에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시행된다. 중의원이 임기를 꽉 채웠던 경우는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패망 이후로 '''[[1976년]] 딱 한 번'''밖에 없고[* 이것도 당시 총리였던 [[미키 다케오]]가 [[록히드 사건|해산하려다가 타이밍을 놓쳐서]] 얼떨결에 임기가 만료되어 버린 일종의 해프닝. ~~정상적으로 임기를 만료하는 게 해프닝이라니~~ 이후 [[스가 요시히데]]도 지지율 때문에 해산 시점을 잡지 못하고 후임 [[기시다 후미오]]가 취임 열흘 만에 해산 선언을 하여 다르면서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사실상 기시다가 중의원 해산을 대신해준 셈. 때문에 기시다는 총리 취임 후 중의원 해산을 하는 시점이 가장 일렀다는 신기록을 세웠다.] 일본제국 시절인 1890년부터 보면[* 1902년, 1908년, 1912년, 1942년.] 총 다섯 번이다. 대체로 총리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본 뒤 임기 만료 이후보다 지금 당장 총선을 할 경우 여당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할 때(대략 3년차) [[의회 해산|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거로 몰고 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총선에서 망할걸 감수하고 여론의 압박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해산하는 경우도 있는데 1980년, 1983년, 2009년, 2012년 총선이 이런식으로 치러졌다. === 정수 및 선출 방법 === 2017년 기준 총 의석 수는 465석으로, [[소선거구제]] [[지역구]] 의석 289석[* 선거 때마다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다. 기준은 가장 인구가 적은 선거구를 기준으로 2배수까지 선거구를 구성하는데 보통 돗토리현 1구 또는 돗토리현 2구를 기준으로 한다.]과 [[석패율제]] 광역 [[비례대표제|비례대표]] 의석 176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3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까지는 중대선거구제를 시행했다.] [[석패율제]] 비례대표가 시행됨에 따라 지역구 후보자의 비례대표 중복 출마가 허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구에서 낙선해도 비례대표 선거 결과에 따라 구제받아 당선될 수 있다.[* [[간 나오토]] 전 [[총리]]가 2012년 12월 16일 총선에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후보한테 털려서 [[지역구]]에서는 낙선했지만,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일본 중의원 총선 비례대표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총선거|한국의 총선]]과 달라서 전국 비례대표가 아니라 [[홋카이도]], [[도쿄]], [[규슈]], [[간사이|긴키]] 등 일부 지역지역을 나눠서 광역 비례대표로 선출한다. 의원 정수를 늘리지 않고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의 선거구를 뜯어고친 결과 [[게리맨더링]]이 매우 심한 편이다. 시정촌을 둘로 쪼개서 각각 다른 선거구로 꿔주는 경우는 다반사고 지역의 일부 마을만 뜯어서 타 선거구로 넘기는 경우도 빈번하다. [[게리맨더링]]이 심한 이유는,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정한 일본 지역구 국회의원의 최소:최대 인구비가 1:2인 상황에서 도도부현당 지역구를 최소 2석씩 할당하면서 지역구의 총 의석 수를 최소한도로 잡기 위해서이다. 선거구의 인구를 책정하는 기준도 한국의 경우처럼 기준일의 주민등록상의 내국인 총인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정하며,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구[* 돗토리 1구 또는 2구가 기준이 된다.]의 2배를 기준으로 하여 도쿄23구 지역은 2배를 꽉 채우는 경우가 많고, 돗토리나 시마네 같은 촌지역은 1배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 권한 === 일본 헌법상 양원의 권한은 원칙적으로 동등하나, 헌법개정 등 일부 사항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의사결정에서 우위'''를 점한다. 중의원이 가결한 법률안이 참의원에서 부결되거나 60일 이내에 참의원이 의사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 중의원에서 출석의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하면 바로 천황의 공포를 통해 법률로 확정된다. 또한 '''총리 지명'''(일본국 헌법 제67조)[* [[일본 총리|내각총리대신(총리)]]은 국회의원(참의원과 중의원 모두 해당) 중에서 선출하는데, 양원이 각각 선출절차를 거치며 만약 양원이 서로 다른 인물을 총리로 지명하였을 경우에는 중의원이 지명한 인물을 총리로 임명한다.] 및 '''예산안 의결'''(제60조), 조약 비준 동의(제61조)에 대해서는 양원의 의결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의결 절차 없이''' 중의원의 의결을 국회의 의결로 한다. 그리고 내각을 무너뜨릴 수 있는 '''내각불신임 결의''' 역시 중의원만이 가능하다(제69조). 그러나 [[개헌]]은 양원 각각 총의원 2/3 이상이 찬성해야 국민투표를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양원이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우위를 갖고 권한이 큰 것은 [[일본 국회]]의 기원인 서구 의회, 특히 [[영국 의회]]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국]]은 [[하원]]인 [[영국 서민원|서민원]](House of Commons)이 [[상원]]인 [[영국 귀족원|귀족원]](House of Lords)에 비해 극단적으로 큰 권한을 가지는 체제로, 상원의원은 사실상 명예직에 가까운 반면 하원의원이 거의 모든 실권을 갖는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나마 상원의원들이 영국 최고법원의 법관을 겸했으나, 별도의 최고법원이 신설되면서 그마저도 없어졌다.] 이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구체제 귀족의 대표인 상원보다는 시민의 대표인 하원이 절대적으로 정당성과 우위를 갖는다는 원칙 때문인데, 패전 이후 [[화족]] 시스템이 사라진 일본도 여전히 양원제를 고수하면서 하원인 중의원이 상원인 참의원보다 큰 권한을 갖도록 설정해 놓았다. 이렇듯 중의원은 '''규정상으로는''' 참의원보다 우위이나, 실제 정치에선 중의원 다수당(여당)이 참의원에서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면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일단 중의원에서 2/3를 차지하는 것도 상당히 어렵고, 단독이든 연립이든 중의원의 2/3를 점하고 있더라도 마냥 밀어붙였다가는 여당이 참의원을 쌩깐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을 수 있어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된다. 물리적으로도 참의원이 법률안을 쥐고 질질 끌 수 있는 최소시간 60일을 기다려야 한다. 그래도 여튼 [[의원 내각제]] 국가인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가 [[중의원 의원 총선거]]라고 볼 수 있다.[* [[대통령 중심제]]로 치자면 총선과 대선 역할을 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패전 이전의 중의원은 당시의 상원이었던 [[귀족원(일본)|귀족원]]보다 권한이 강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현재와 달리 중의원에서 통과된 법안이 귀족원에서 부결되면 그걸로 끝이었다. 또한 당시 일본은 의원내각제가 확립되지 않아 내각은 중의원이 신임해주는 게 아니라 천황이 신임해주는 것이었고, 물론 내각 구성원도 중의원 의원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당시 정부의 요직을 차지한 자들이 화족으로서 많은 수가 당연직 귀족원 의원이기도 했으므로 중의원과의 파워 게임에서 밀리지 않거나 우위에 있을 수 있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절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중의원 제1당 [[당수]]가 [[일본 총리|총리]]로 선출되고 내각을 구성하는 등(정당내각) [[의원내각제]]적인 정치가 시행되기 시작해 귀족원의 위상이 어느 정도 내려갔지만, 이는 헌법과 같은 견고한 제도적 장치로 지지되는 것이 아니었고 기반도 취약했다. ==== 안정다수 ==== 국회법상으론 제1당이 과반 의석만 차지하면 총리를 배출할 수 있으나 아래 제시할 의석수 이상을 가지면 더욱 더 원활하게 중의원을 운영이 가능하다. ※ 총원 465석 * 단순과반: 제1당이 본회의에서 법안을 가결시킬 수 있는 의석수 (233석) * 안정다수: 제1당이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위원 절반을 확보할 수 있는 의석수 (244석) * 절대안정다수: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제1당의 위원이 과반을 점유하고 또한 가부동수일 때 최종결정권을 가지는 위원장직을 독점하여 가부동수 무관하게 제1당의 뜻대로 중의원을 운영할 수 있는 의석수 (261석) * 압도적다수(⅔선): 헌법개정 발의[* 일반적인 법률은 국회의원 과반 찬성으로 법이 제정되는 것과 달리, 개헌은 각 원의 2/3 이상 찬성을 얻어 의결해 최종적으로 국민투표를 거쳐야 한다.], 국회의원 제명[* 이 경우 참/중의원이 각각 소속 의원을 제명한다.], 회의 비공개[* 일본어로 '비밀회'라고 하며, 원래 공개가 원칙인 본회의와 상임위를 모두 비공개로 열 수 있다.]등의 필요 요건이며 참의원 부결 법안을 재가결시킬 수 있는 의석수 (310석) === 표결 === 중의원은 어지간한 사안은 본회의에서도 기립 [[표결]]이나 [[거수]] 표결을 통해 '''찬반 다수'''만 가린다. [[참의원(일본)|참의원]]에서 재심의하기 때문에 중의원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면 된다. 중요한 사안들을 지정해서 투표를 할 때도 있긴 한데 [[대한민국 국회]]처럼 전자투표를 매번 하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어지간한 사안들은 기립한 사람 수를 세어서 '''재적 과반수'''가 되는 순간 표결을 종료(착석요구)하고 가결처리한다. 참의원도 각 [[상임위원회]]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고 본회의에서만 투표한다. 그래서 일본 국회 절차를 보다 보면 상임위원장이나 중의원 의장이 이런 말만 한다. > OO안건은 '''찬성 다수로 가결'''되었습니다. > 또는 > XX안건은 '''찬성 소수로 부결'''되었습니다. 즉 찬성은 몇 표이고, 반대는 몇 표인지는 알려주지 않고 결과만 공표한다는 얘기이다. 이것은 [[영연방]] 의회의 특징이기도 하다.[* 정작 [[영국 의회]]에서는 찬성-반대 의원수를 의장이 모두 공표한다. [[웨스트민스터 궁전]] 내 하원 회의장을 반으로 갈라 찬성 측은 의장의 오른쪽에, 반대 측은 의장의 왼쪽에 모이도록 하고 여-야에서 각 2명씩 차출한 감표위원들이 찬성 및 반대 측 의원들의 머릿수를 하나하나 세어 의장에게 보고하는 방식.] [[TPP]]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무역]]/[[통상]] [[조약]]에서도 중의원에서는 '''찬성 다수'''라고만 말하고 가결 처리한다. == 중의원 해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의원 해산)] == 역대 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의원 의원 총선거)] == [[일본 중의원 의장|역대 중의원 의장]] == [include(틀:역대 일본 중의원 의장)]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0%,#ff2000 9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30]]''' [[제국의회|{{{#ff2000 제국의회 의장}}}]]'''}}} || || '''{{{#f1c600 기수}}}''' || '''{{{#f1c600 대수}}}''' || '''{{{#f1c600 이름}}}''' || '''{{{#f1c600 임기}}}''' || '''{{{#f1c600 선출 당시 정당}}}''' || '''{{{#f1c600 퇴임사유}}}''' || || 1 || 1 || 나카지마 노부유키 ||1890년 (메이지 23년) 11월 26일 ~ 1891년 (메이지 24년) 12월 25일 || 입헌자유당 || 해산 || ||<|2> 2 || 2 || 호시 토오루 ||1892년 (메이지 25년) 5월 3일 ~ 1893년 (메이지 26년) 12월 13일 || 자유당 || 제명 || || 3 ||<|3> 쿠스모토 마사타카 ||1893년 (메이지 26년) 12월 15일 ~ 1893년 (메이지 26년) 12월 30일 || 동맹구락부 || 해산 || || 3 || 4 ||1894년 (메이지 27년) 5월 12일 ~ 1894년 (메이지 27년) 6월 2일 ||<|2> 입헌혁신당 || 해산 || ||<|2> 4 || 5 ||1894년 (메이지 27년) 10월 15일 ~ 1896년 (메이지 29년) 6월 8일 || 퇴직 || || 6 || 하토야마 카즈오 ||1896년 (메이지 29년) 12월 22일 ~ 1897년 (메이지 30년) 12월 25일 || 진보당 || 해산 || || 5 || 7 ||<|4> 카타오카 켄키치 ||1898년 (메이지 31년) 5월 15일 ~ 1898년 (메이지 31년) 6월 10일 ||<|4> 입헌정우회 || 해산 || || 6 || 8 ||1898년 (메이지 31년) 11월 9일 ~ 1902년 (메이지 35년) 12월 7일 || 임기만료 || || 7 || 9 ||1902년 (메이지 35년) 12월 7일 ~ 1902년 (메이지 35년) 12월 28일 || 해산 || ||<|2> 8 || 10 ||1903년 (메이지 36년) 5월 9일 ~ 1903년 (메이지 36년) 10월 31일 || 사망 || || 11 || 코노 히로나카 ||1903년 (메이지 36년) 12월 5일 ~ 1903년 (메이지 36년) 12월 11일 || 헌정당 || 해산 || ||<|2> 9 || 12 || 마츠다 마사히사 ||1904년 (메이지 37년) 3월 18일 ~ 1906년 (메이지 39년) 1월 19일 ||<|7> 입헌정우회 || 사퇴 || || 13 || 스기타 테이이치 ||1906년 (메이지 39년) 1월 23일 ~ 1908년 (메이지 41년) 12월 23일 || 임기만료 || ||<|2> 10 || 14 || 하세바 스미타카 ||1908년 (메이지 41년) 12월 23일 ~ 1911년 (메이지 44년) 9월 6일 || 사퇴 || || 15 ||<|2> 오오카 이쿠조 ||1911년 (메이지 44년) 12월 24일 ~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21일 || 임기만료 || ||<|3> 11 || 16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21일 ~ 1914년 (다이쇼 3년) 3월 6일 || 사퇴 || || 17 || 하세바 스미타카 ||1914년 (다이쇼 3년) 3월 7일 ~ 1914년 (다이쇼 3년) 3월 15일 || 사망 || || 18 || 오쿠 시게사부로 ||1914년 (다이쇼 3년) 3월 17일 ~ 1914년 (다이쇼 3년) 12월 25일 || 해산 || || 12 || 19 || 시마다 사부로 ||1915년 (다이쇼 4년) 5월 17일 ~ 1917년 (다이쇼 6년) 1월 25일 || 입헌동지회 || 해산 || || 13 || 20 || 오카 이쿠조 ||1917년 (다이쇼 6년) 6월 21일 ~ 1920년 (다이쇼 9년) 2월 26일 ||<|4> 입헌정우회 || 해산 || ||<|2> 14 || 21 || 오쿠 시게사부로 ||1920년 (다이쇼 9년) 6월 29일 ~ 1923년 (다이쇼 12년) 2월 16일 || 사퇴 || || 22 ||<|2> 카스야 기조 ||1923년 (다이쇼 12년) 2월 17일 ~ 1924년 (다이쇼 13년) 1월 31일 || 해산 || ||<|2> 15 || 23 ||1924년 (다이쇼 13년) 6월 26일 ~ 1927년 (쇼와 2년) 3월 25일 || 사퇴 || || 24 || 모리타 시게루 ||1927년 (쇼와 2년) 3월 26일 ~ 1928년 (쇼와 3년) 1월 21일 || 헌정회 || 해산 || ||<|3> 16 || 25 || 모토다 하지메 ||1928년 (쇼와 3년) 4월 20일 ~ 1929년 (쇼와 4년) 3월 14일 ||<|3> 입헌정우회 || 해산 || || 26 || 카와하라 모스케 ||1929년 (쇼와 4년) 3월 15일 ~ 1929년 (쇼와 4년) 5월 19일 || 사망 || || 27 || 호리키리 젠베에 ||1929년 (쇼와 4년) 12월 23일 ~ 1930년 (쇼와 5년) 1월 21일 || 해산 || ||<|2> 17 || 28 ||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1930년 (쇼와 5년) 4월 21일 ~ 1931년 (쇼와 6년) 4월 13일 ||<|2> 입헌민정당 || 사퇴 || || 29 || 나카무라 케이지로 ||1931년 (쇼와 6년) 12월 23일 ~ 1932년 (쇼와 7년) 1월 21일 || 해산 || ||<|2> 18 || 30 || 아키타 키요시 ||1932년 (쇼와 7년) 3월 18일 ~ 1934년 (쇼와 9년) 12월 13일 ||<|2> 입헌정우회 || 사퇴 || || 31 || 하마다 쿠니마츠 ||1934년 (쇼와 9년) 12월 24일 ~ 1936년 (쇼와 11년) 1월 21일 || 해산 || || 19 || 32 || 토미타 코지로 ||1936년 (쇼와 11년) 5월 1일 ~ 1937년 (쇼와 12년) 3월 31일 ||<|2> 입헌민정당 || 해산 || ||<|2> 20 || 33 || 코야마 쇼쥬 ||1937년 (쇼와 12년) 7월 23일 ~ 1941년 (쇼와 16년) 12월 22일 || 사퇴 || || 34 || 타코 이치민 ||1941년 (쇼와 16년) 12월 24일 ~ 1942년 (쇼와 17년) 5월 25일 || 익찬의원동맹 || 임기만료 || ||<|2> 21 || 35 || 오카다 타다히코 ||1942년 (쇼와 17년) 5월 25일 ~ 1945년 (쇼와 20년) 4월 9일 || 익찬정치회 || 사직 || || 36 || 시마다 토시오 ||1945년 (쇼와 20년) 6월 8일 ~ 1945년 (쇼와 20년) 12월 18일 || 대일본정치회 || 해산 || ||<|2> 22 || 37 || 히가이 센조 ||1946년 (쇼와 21년) 5월 22일 ~ 1946년 (쇼와 21년) 8월 23일 || 일본자유당 || 사퇴 || || 38 || 야마자키 타케시 ||1946년 (쇼와 21년) 8월 23일 ~ 1947년 (쇼와 22년) 3월 31일 || 일본자유당[* 임기도중 자유당 탈당] || 해산 || ||<-6>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ffffff 중의원 의장}}}''' || ||<-4> (전략) || || 43·44 || 71·72 || [[고노 요헤이]] ||2003년 (헤이세이 15년) 11월 19일 ~ 2009년 (헤이세이 21년) 7월 21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해산 || || 45 || 73 || [[요코미치 타카히로]] ||2009년 (헤이세이 21년) 9월 16일 ~ 2012년 (헤이세이24년) 11월 16일 ||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 해산 || || 46 || 74 || [[이부키 분메이]] ||2012년 (헤이세이 24년) 12월 26일 ~ 2014년 (헤이세이 26년) 11월 21 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해산 || || 47 || 75 || [[마치무라 노부타카]] ||2014년 (헤이세이 26년) 12월 24일 ~ 2015년 (헤이세이2 7년) 4월 21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사임 || || 48 || 76·77 || [[오시마 다다모리]] ||2017년 (헤이세이 29년)11월 1일 ~ 2021년 (레이와 3년) 10월 14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해산 || || 49 || 78 || [[호소다 히로유키]] ||2021년 (레이와 3년) 11월 10일 ~ 2023년 (레이와 5년) 10월 20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사임 || || 49 || 79 || [[누카가 후쿠시로]] ||2023년 (레이와 5년) 10월 20일 ~ 현직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 == 위원회 == ||
'''상임위원회''' || '''특별위원회''' || '''심사회'''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내각위원회||재해대책특별위원회||헌법심사회|| ||총무위원회||정치윤리의 확립 및 공직선거법개정에 관한 특별위원회||정보감시심사회|| ||법무위원회||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정치윤리심사회|| ||외무위원회||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재무금융위원회||청소년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문부과학위원회||소비자 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후생노동위원회||과학 기술 · 이노베이션 추진 특별위원회|| ||농림수산위원회||동일본 대지진 부흥 특별위원회|| ||경제산업위원회||원자력 문제 조사 특별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지방 창생에 관한 특별위원회|| ||환경위원회|| ||안전보장위원회|| ||국가기본정책위원회|| ||예산위원회|| ||결산행정감시위원회|| ||의원운영위원회|| ||징벌위원회||}}}}}}}}} || ||<-2>
'''부설기관''' || || 사무국 || 법제국 || == 의원 목록 == 2020년 현재 중의원의 총 정수는 465명으로 이중 지역구의원은 289명, 광역구 비례대표는 176명이 있다. === 홋카이도 === ||구분||자유민주당||공명당||입헌민주당|| ||지역구(12석)||6||1||5|| ||비례대표(8석)||4||1||3|| [include(틀:홋카이도의 국회의원)] === 도호쿠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아오모리현]](3석)||3||0||0|| ||[[이와테현]](3석)||2||1||0|| ||[[미야기현]](6석)||4||2||0|| ||[[아키타현]](3석)||2||1||0|| ||[[야마가타현]](3석)||3||0||0|| ||[[후쿠시마현]](5석)||2||3||0|| ||비례대표||6||4||3[* 공명당 1, 공산당 1, 유신회 1]|| [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 기타칸토 === ||구분||자유민주당||공명당||입헌민주당||기타|| ||[[이바라키현|이바라키]](6)||5||0||0||1[*국민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 의석]|| ||[[도치기현|도치기]](5)||4||0||1||0|| ||[[군마현|군마]](5)||5||0||0||0|| ||[[사이타마현|사이타마]](15)||12||0||3||0|| ||비례대표[br](19)||7||3||5||4[* 유신회 2, 국민민주당 1, 공산당 1]|| [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 도쿄 === ||구분||자유민주당||공명당||입헌민주당||기타|| ||지역구[br](25)||16||1||8||0|| ||비례대표(17)||6||2||4||5[* 공산당 2, 유신회 2, 신센구미 1]|| [include(틀:도쿄도의 국회의원)] === 미나미칸토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치바현|치바]](13)||9||4||0|| ||[[가나가와현|가나가와]](18)||11||7||0|| ||[[야마나시현|야마나시]](2)||2||0||0|| ||비례대표(22)||9||5||8[* 유신회 3, 공명당 2, 공산당 1, 국민민주당 1, 신센구미 1]|| [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 호쿠리쿠신에쓰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니가타현|니가타]]||2||4||0|| ||[[도야마현|도야마]]||3||0||0|| ||[[이시카와현|이시카와]]||3||0||0|| ||[[후쿠이현|후쿠이]]||2||0||0|| ||[[나가노현|나가노]]||4||1||0|| ||비례대표(11)||6||3||2[* 공명 1, 무소속 1]|| [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 도카이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기후현|기후]](5)||5||0||0|| ||[[시즈오카현|시즈오카]](8)||6||2||0|| ||[[아이치현|아이치]](15)||11||3||1[*국민]|| ||[[미에현|미에]](4)||3||1||0|| ||비례대표(21)||8||5||8[* 공명 3, 유신 2, 국민 1, 공산당 1, 무소속 1]|| [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 긴키 === ||구분||자유민주당||공명당||입헌민주당||기타|| ||[[시가현|시가]](4)||4||0||0||0|| ||[[교토부|교토]](6)||2||0||2||2[* 국민민주당 1, 무소속 1]|| ||[[오사카부|오사카]](19)||0||4||0||15[*유신 일본유신회 의석]|| ||[[효고현|효고]](3)||2||0||1||0|| ||[[나라현|나라]](3)||2||0||1||0|| ||[[와카야마현|와카야마]](3)||2||0||0||1[*유신]|| ||비례대표(28)||8||3||3||14[* 유신회 10, 공산당 2, 국민 1, 신센구미 1]|| [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 주고쿠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돗토리현|돗토리]](2)||2||0||0|| ||[[시마네현|시마네]](2)||2||0||0|| ||[[야마구치현|야마구치]](4)||4||0||0|| ||[[오카야마현|오카야마]](5)||5||0||0|| ||[[히로시마현|히로시마]](7)||5||1||1[* 공명당 의석]|| ||비례대표(11)||6||2||3[* 공명 2, 유신회 1]|| [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 시코쿠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도쿠시마현|도쿠시마]](2)||1||0||1[*무소속 무소속 의석]|| ||[[카가와현|카가와]](3)||1||1||1[*국민]|| ||[[에히메현|에히메]](4)||4||0||0|| ||[[고치현|고치]](2)||2||0||0|| ||비례대표(6)||3||1||2[* 공명당 1, 유신회 1]|| [include(틀:시코쿠 지방의 국회의원)] === 규슈 === ||구분||자유민주당||입헌민주당||기타|| ||[[후쿠오카현|후쿠오카]]||8||2||1[*무소속]|| ||[[사가현|사가]]||0||2||0|| ||[[나가사키현|나가사키]]||2||0||1[* 국민민주당 1, 공석 1(4구 자민당 기타무라 세이고 의원 사망)]|| ||[[구마모토현|구마모토]]||4||0||0|| ||[[오이타현|오이타]]||2||0||1[*무소속]|| ||[[미야자키현|미야자키]]||2||1||0|| ||[[가고시마현|가고시마]]||2||1||1[*무소속]|| ||[[오키나와현]]||2||0||2[* 공산당 1, 사회민주당 1]|| ||비례대표(20)||8||4||8[* 공명 4, 유신회 2, 국민 1, 공산당 1]|| [include(틀: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include(틀:일본국의 국가기관)] [[분류:중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