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 [include(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 ---- ||[[파일:roc_leader.gif|width=100%]]|| || 역대 국가원수 [* 호법정부와 국민정부 초기 (우한과 광저우 시기)의 인물은 서술되어 있지 않다.] || [목차] == 개요 == 헌정 이전 중화민국의 국가원수이다. 헌정 이전 [[중화민국]]에서는 혼란한 국내 정세로 인해 국가원수의 명칭이 통일되지 않았다. == 역사 == === [[중화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 === 중국어권에서 총통은 대통령의 번역어로 쓰였지만 이것이 실제 중국계 국가 국가원수의 관직명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12년에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이 건국된 이후였다. 이때의 관직명은 '''중화민국 임시대총통'''(臨時大總統). 저게 통째로 관직명이었다. 신해혁명의 주요 인물들이 모인 각성도독부대표연합회(各省都督府代表聯合會)에서 투표를 통해 [[쑨원]]을 임시대총통으로 선출했다. === [[북양정부]] === 그러나 [[신해혁명]]은 큰 준비 없이 일어났기 때문에 청나라가 제대로 대응하기 시작하자 각지에서 청군에 패배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쑨원은 [[북양군벌]] [[위안스카이]]와 타협하여 임시대총통 직위를 넘겨준다. 그러나 처음부터 [[민주주의]]를 할 생각이 없었던 위안스카이는 [[청나라]]를 멸망시키자마자 신해혁명 인사들을 탄압했다. 1912년 3월에 위안스카이는 일종의 약식 헌법인 중화민국 임시약법(臨時約法)을 개정해 정식 국가원수 직책인 '''중화민국 대총통'''(大總統)을 신설했다. 이 때는 중화민국의 양원제 국가 의회(중의원, 참의원)인 국회에서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직책이었다. 물론 [[위안스카이]]가 첫 대총통이 되었으나, 이후 위안스카이는 [[중화민국 국회 해산]] 등 독재를 벌이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황제]]병이 심해져 [[홍헌제제]]를 선포했고, 중국 전역의 반발로 인해 1년 만에 무산 되었고, 얼마 못 가 1916년에 병사하고 말았다. 이후에는 중화민국이 [[군벌/중화민국|군벌]]들의 세력 각축장으로 전락해버려 대총통이 국가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기는 어려웠다. 위안스카이 사후 초대 부총통 [[리위안훙]]이 권한대행을 했지만 그 권한대행조차 [[장훈복벽]]으로 대총통 노릇을 못 한 적도 있고... 1918년에 겨우 국회를 다시 소집해 [[쉬스창]]이 2대 대총통으로 선출되지만 그 이후로도 정치 혼란으로 대총통 자리는 공석이 되는 일이 많았고, 권한대행 체제이거나 행정부 역할인 국무원의 장 [[중화민국 역대 국무총리|국무총리]]가 대총통 권한대행을 하기도 했다. 1923년에 선출된 [[차오쿤]]이 [[북경정변]]으로 축출된 이후 북양정부의 대총통제는 종말을 고했다. 북경정변이 일어난 1924년부터는 북양정부의 수반은 임시집정(臨時執政, 1926년까지), 육해군대원수(陸海軍大元帥, 1928년까지)라는 직함을 썼다. === [[국민정부]] === [[장제스]]와 [[중국 국민당]]은 [[국민혁명]]을 완수하고 형식상 중국을 재통일하여 [[국민정부]]를 수립하였다. 이 시기 국가원수의 직함은 '''국민정부 주석'''(國民政府主席)이었으며, 일종의 [[당대회]]인 중국 국민당 전국대표대회(中國國民黨全國代表大會)에서 투표로 선출되었다. [[탄옌카이]], [[장제스]], [[린썬]] 등이 국민정부 주석 자리에 있었다. 그러나 국민혁명 시기부터 국민당을 이끌었던 인물이 [[장제스]]인 만큼 국민정부 주석이 누가 되었든 그는 [[얼굴마담]]에 불과했고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는 국민정부 시기 내내 장제스였다. 그리고 잠재적 반란군인 군벌들이 중국 각지에서 우글거리는 상황에서 장제스는 [[민주주의]] 이전에 강력한 국가정당, 즉 중국 국민당이 우선 국가 안정을 확보해야 한다는 논리에 따라 제대로 된 헌법도 없이 [[일당독재]]를 펼쳤다. 장제스가 내내 국민정부 주석에 있지 않았던 이유는 국민당 내 군벌/반대파와 타협하기 위해 국민정부 주석에서 물러났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 [[대만 헌법|헌법]] 제정 이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만 총통)] == 명단 == === [[중화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 === * 기간 : [[1912년]] [[1월 1일]] ~ [[1913년]] [[10월 10일]] 이 시기의 직함은 '''임시대총통'''.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재임기간 ||<:> 정당/군벌 ||<:> 비고 || ||<:> '''초대''' ||[[쑨원]] ||1912.1.1 ||1912.3.10 ||70일 ||중국동맹회 || 난징에서 취임식을 거행 || ||<:> '''제2대''' ||[[위안스카이]] ||1912.3.10 ||1913.10.10 ||1년 214일 ||[[북양군벌]] || 본래 난징에서 취임할 예정이었으나[br] 톈진에서의 폭동으로 행정 수도를 베이징으로 이동 || === [[중화민국/북양정부|북양정부]] === * 기간 : [[1913년]] [[10월 10일]] ~ [[1928년]] [[6월 2일]]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중화민국 대총통'''이다.[* 계임된 대총통은 대수를 따지지 않으며 공식적인 대총통 선거에서 당선된 [[위안스카이]], [[쉬스창]], [[차오쿤]]만 대수로 따진다.] [[펑위샹]][[북경정변|의 정변]] 이후 정식으로 대총통 직함을 쓴 사람은 없다. 차오쿤(曹錕) 밑에 기록된 사람들은 모두 정식 대총통은 아니고 국가원수 대행인데 편의상 기록한 것. ~~그만큼 혼란한 시기였다는 의미도 있고~~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재임기간 ||<:> 정당/군벌 ||<:> 비고 || ||<:>'''초대''' ||[[위안스카이]] ||1913.10.10 ||1916.6.6 ||2년 240일 ||북양군벌 || 국회 선출. [[홍헌제제]] 실패후 병사 || ||<:>계임 ||[[리위안훙]] ||1916.6.7 ||1917.7.17 ||1년 40일 ||북양군벌 || 부총통 자격으로 계임.[[장훈복벽|장쉰의 복벽]]으로 사임 || ||<:>계임 ||[[펑궈장]] ||1917.7.17 ||1918.10.10 ||1년 85일 ||[[직예군벌]] || 리위안훙에 의해 계임. || ||<:>'''제2대''' ||[[쉬스창]] ||1918.10.10 ||1922.6.2 ||3년 236일 ||[[북양군벌]] || 국회선출. [[공자]]의 77세손 [[쿵더청]]의 연성공 작위 세습을 승인. [[직예군벌]]의 압박과 정통성 문제로 하야. || ||<:>계임 ||저우쯔치(周自齊) ||1922.6.2 ||1922.6.11 ||9일 ||[[교통계]] || || ||<:>복임 ||[[리위안훙]] ||1922.6.11 ||1923.6.13 ||1년 2일 ||북양군벌 || 구국회 복구를 선언하며 복임. 직례군벌의 압박으로 하야 || ||<:>계임 ||가오링웨이(高凌霨) ||1923.6.14 ||1923.10.10 ||118일 || || || ||<:>'''제3대''' ||[[차오쿤]] ||1923.10.10 ||1924.11.2 ||1년 23일 ||직예군벌 || [[회선 사건|국회선출]]. [[우페이푸]]가 옹립. [[북경정변]]으로 축출. || ||<:>계임 ||황푸(黃郛) ||1924.11.2 ||1924.11.24 ||22일 | || [[펑위샹]]의 허수아비. || ||<:>'''초대 임시 집정''' ||[[돤치루이]] ||1924.11.24 ||1926.4.20 ||1년 147일 ||[[안휘군벌]] || [[2차 직봉전쟁]]으로 추대, [[펑위샹]]의 압박으로 하야. || ||<:>대행 ||[[후웨이더]] ||1926.4.20 ||1926.5.13 ||23일 || || 외교관, [[국무총리]] 서리 자격으로 권한대행 || ||<:>대행 ||[[옌후이칭]] ||1926.5.13 ||1926.6.22 ||40일 || || 외교관 || ||<:>대행 ||[[두시구이]](杜錫珪) ||1926.6.22 ||1926.10.1 ||101일 ||직예군벌 || ||<:>대행 ||[[구웨이쥔]] ||1926.10.1 ||1927.6.18 ||260일 || 외교관 || 국무총리 신분으로 국가원수 대행 || ||<:>'''초대 중화민국 육해군 대원수''' ||[[장쭤린]] ||1927.6.18 ||1928.6.2 ||350일 ||[[봉천군벌]] || 돤치루이 이후 계속되던 대행 체제 종식, [[국민당의 1차 북벌|국민당의]] [[국민당의 2차 북벌|북벌]]로 축출 || === 호법정부 === 이 시기에는 국가원수 이름이 대원수, 수석총재, 비상대총통 등에서 왔다갔다 한다.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군벌 ||<:> 비고 || ||<:> 대원수 ||[[쑨원]] ||1917.9.1 ||1918.5.20 || 중화혁명당 || 호법정부 개조로 축출 || ||<:> 수석총재 ||[[천춘쉬안]] ||1918.6.19 ||1920.11 || 정학회 || [[월계전쟁]]으로 축출 || ||<:> 비상대총통 ||[[쑨원]] ||1921.4.7 ||1923.3.2 || [[중국 국민당]] || [[영풍함 사건]]으로 축출 || ||<:> 대원수 ||[[쑨원]] ||1923.3.2 ||1925.3.12 || [[중국 국민당]] || || ||<:> 대원수 대리 ||[[후한민]] ||1925.3.12 ||1925.7.1 || [[중국 국민당]] || [[국민정부]] 수립 || === [[중화민국/국민정부|국민정부]] === ==== 광저우 국민정부 ~ 우한 국민정부 ==== [[중산함 사건]]으로 [[왕징웨이]]가 퇴진한 이후로는 뚜렷한 국가원수를 내세우기도 힘든 상태이다. 광저우 국민정부 시기에는 중집위 상무위원장, 연석회의 주석 등이 난립하며 [[4.12 상하이 쿠데타]] 직전에는 아예 정부위원제가 운영된다.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군벌 ||<:> 비고 || ||<:> 정부주석 ||[[왕징웨이]] ||1925.7.1 ||1926.4.1 || [[중국 국민당]] || [[중산함 사건]]으로 하야 || ||<:>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장 ||[[장제스]] ||1926.5.22 ||1927.3.20 || [[중국 국민당]] || || ||<:> 연석회의주석 ||[[쉬첸]] ||1926.12.13 ||1927.3.20 || [[중국 국민당]] || || ||<:> 국민정부 상무위원 ||[[왕징웨이]], [[쉬첸]], [[탄옌카이]], [[쑨커]], [[쑹쯔원]] ||1927.3.20 ||1927.9.15 || [[중국 국민당]] || [[영한합작]]으로 우한 국민정부 해체 || ==== 난징 국민정부 ==== * 기간 : [[1928년]] [[10월 10일]] ~ [[1948년]] [[5월 20일]] 이 시기 중화민국은 국민당 일당독재 체제인 훈정(訓政)기간으로,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국민정부 주석'''이었다.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재임기간 ||<:> 정당 ||<:> 출신지[*A 현재의 성급 행정구역 기준]||<:> 학력 ||<:> 비고 || ||<:> 1대 ||[[탄옌카이]] ||1928. 2. 7 ||1928.10.10 || 247일 || [[중국 국민당]] || [[후난성]] || 청나라 진사 || || ||<:> 2대 ||[[장제스]] ||1928.10.10 ||1931.12.15 || 3년 66일 || [[중국 국민당]] || [[저장성]] || 바오딩군관학교 || [[1차 양광사변]]과 [[만주사변]]으로 하야 || ||<:> 3대 ||[[린썬]] ||1931.12.15 ||1943.8.1 || 11년 232일 || [[중국 국민당]] || [[푸젠성]] || 학령영화중학 || 교통사고로 임기 중 사망 || ||<:> 4대 ||[[장제스]] ||1943.8.1 ||1948.5.20 || 4년 294일 || [[중국 국민당]] || [[저장성]] || 바오딩군관학교 || || 1925년 3월 20일 쑨원 사후, 1925년 7월 1일 국민정부 출범까지 후한민이 대원수 대리 자격으로 국가원수를 대행했으며 7월 1일부터는 [[왕징웨이]]가 국민정부 주석을 맡았지만 1926년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하고 외유를 떠났다. 이후에는 장제스가 상무위원회 주석, 군사위원회 주석, 국민혁명군 총사령관 자리를 겸임하며 실질적으로 1인자였으며 1927년 4월 18일 난징 국민정부 수립 직후부터 1928년까지는 [[후한민]]이 정치회의 주석을 맡으면서 국가원수 직에 있었다. === [[대만 헌법|헌정 이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만 총통/명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화민국 총통, version=326, paragraph=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화민국 총통/명단, version=56)] [[분류:중화민국의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