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국가행정조직]][[분류:교육부]] [include(틀:다른 뜻1,other1=중화민국의 정부기관, rd1=중화민국 교육부)]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조성부서)] ||<-2><:> '''{{{#ffffff {{{+1 [ruby(中华, ruby=Zhōnghuá)][ruby(人民, ruby=Rénmín)][ruby(共和国, ruby=Gònghéguó)][ruby(教育部, ruby=Jiàoyùbù)]}}}[br]Ministry of Education[br]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br]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 ||<-2> [[파일:Emblem_of_the_Ministry_of_Education,_P.R.C.png|width=80%]] || || '''{{{#ffffff 명칭}}}''' || 教育部 (교육부) || || '''{{{#ffffff 표어}}}''' || '''인민을 위해 복무함[br]为人民服务''' || || '''{{{#ffffff 설립일}}}''' || [[1949년]] [[10월 19일]] 중앙인민정부 교육부 || || '''{{{#ffffff 소재지}}}''' || [[베이징시]] [[시청구]] 시단다무창후퉁37호[br]北京市西城区西单大木仓胡同37号 || || '''{{{#ffffff 부장}}}''' || [[화이진펑]](怀进鹏) || || '''{{{#ffffff 부부장}}}''' || 쑨야오(孙尧)[br]톈쉐쥔(田学军)[br]웡톄휘(翁铁慧)[br]중덩화(钟登华)[br]쑹더민(宋德民) || || '''{{{#ffffff 기검감찰조장}}}''' || 우다오구이(吴道槐) || || '''{{{#ffffff 총독학}}}''' || 정푸즈(郑富芝) || || '''{{{#ffffff 상급기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 '''{{{#ffffff 우편번호}}}''' || '''100816''' || || '''{{{#ffffff 홈페이지}}}''' || [[http://www.moe.gov.cn/| [[파일:Emblem_of_the_Ministry_of_Education,_P.R.C.png|width=3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정부 교육부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소속 교육부서로, 우리나라의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1949년]] [[9월 27일]] 중앙인민정부 소속 교육부로 개관하였으며, [[1954년]] [[9월 27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건립되자 중앙인민정부가 해체되었고, 자연스럽게 교육부 역시 중앙인민정부에서 국무원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그러다가 [[1970년]], 잠시동안 교육부가 '''해산'''되어 관할 부서가 사라지고, 국무원 과교조(国务院科教组)에서 해당 역할을 대신하였다. 그러다 5년만에 다시 교육부가 부활한다. [[1985년]]에는 교육부가 국가교육위원회(国家教育委员会)변경되었으며, [[1998년]]까지 교육위가 교육부를 대체하다가 이후에 다시 교육부가 부활한다. 중국 내 국립대학들은 특수대학을 제외하고 전부 교육부가 총괄하며, 중국 내 학위관리도 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의 철두철미한 사상교육도 교육부 담당이다. [[유네스코]]의 교육 관련 업무도 교육부에서 관리하며, [[HSK]] 관련 사무도 국가한반(国家汉办)이라는 조직을 통해 전담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 정부 교육부 인가 정식 대학의 학위는 모두 쉐신왕(学信网)에서 학력 조회가 가능하다. [[https://www.chsi.com.cn/xlcx/|#]] 학신망 출력자료는 중국, 대한민국 포함 국내외에서 인정된다. == 담당 직무 == * 1. 교육 업무에 대한 지침 및 정책을 연구하고 공식화하고 교육과 관련된 법률 및 규정을 제작한다. * 2. 교육 개혁 및 발전 전략 및 국가 교육 발전 계획을 연구 및 제안하고 교육 시스템 개혁과 교육 발전의 초점, 구조 및 속도를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을 지도 ,조정한다. * 3. 부서의 교육 자금을 총 관리하며 교육 자금, 교육 자금 및 교육 인프라 투자를 위한 지침 및 정책 수립에 참여, 전국 교육 자금의 자금 조달 및 사용 모니터링한다. 관련 규정에 따라 대와 교육 지원 및 중국에 대한 교육 대출을 한다. * 4. 각종 중등 및 초등 교육 학교의 설정 기준, 기본 교육 요건 및 기본 교육 문서를 조사하고 제시하며, 중등 및 초등 학교의 통합 교과서에 대한 심정(審定)을 조직하고, 중등 및 중등 교육의 교육 및 교육 개혁을 지도한다. 9년간 의무교육을 조조직함과 동시에 청장년의 문맹퇴치를 감독하고 평가한다. * 5. 일반 고등교육, 대학원 교육, 고등직업교육, 성인 고등교육, 사회역량에 의해 조직된 고등교육, 성인 고등교육 자학(自學)고시 및 지속교육을 시행한다. 고등 교육 기관의 설립 표준을 연구 및 제출하고 심핵 고등교육의 설치, 개명, 취소 및 조정을 조정하고 과학전업목록, 교학기본문서를 작성하고 고등 교육 교육 개혁 및 고등 교육 평가사업을 지도한다. "[[211공정]]"의 실시 및 조정작업을 담당한다. * 6. 소수민족 교육을 조정하고 지도하며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교육지원을 협조한다. * 7. 각 고등학교에서 대학의 당건설사업과 사상정치사업, 도덕교양사업, 체육위생예술교양사업, 국방교육사업을 기획 지도한다. * 8. 전국 교사의 업무를 책임지고 각급 및 유형의 교사 자격의 표준준을 제정 및 실시하며 각급 및 유형의 학교에 대한 표준 편제를 연구 및 제출하고 학교 교사 및 관리 인력 건설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총괄한다. * 9. 고등 교육을 위한 모든 종류의 입학 및 시험을 총괄한다. 모든 종류의 고등 교육을 위한 신입생 계획을 수립하고 모든 종류의 고등 교육 학적관리사업을 하며 고등졸업생의 취업제도를 개혁하여 고등졸업생의 취업정책을 비정, 조직하여 분배하는 사업을 한다. * 10. 각 고학교의 자연과학, 철학, 사회과학 연구를 계획하고 지도한다. 고등학교의 첨단기술 연구 및 보급을 거시적으로 지도한다. 각 연구성과 전화 및 '산학연' 결합 등을 시행한다.국가대과연항목을 받아서 고등학교에 지도 및 협조한다. * 11. 교육시스템을 총괄하는 외사사무를 지도 및 총괄하고, 해외유학 및 중국 냐유학 관리사업의 방침, 정책 정책을 비정하여 규정, 협조하며 대외 중국어 교육사업의 기획 및 조율, 지도, 재외 중국 교육기관의 업무를 지도한다. [[홍콩]] 및 [[마카오]], [[대만]]과의 교육교류도 담당한다. * 12. 교육 기본 정보의 통계, 분석, 발표를 책임진다. * 13. 국가언어문자작업의 지침, 정책을 수립하며 언어문자 작업의 중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중국어와 소수민족 언어 문자의 규범 및 표준을 제정하고 조직, 관리감독검찰을 한다. 보통화와 보통화 시행사업을 한다. * 14. 학위 업무를 총괄하고 관련 학위 업무에 관한 법률 초안을 기안하며 국가적 학위제도를 실시, 국제적 학위 취급 및 학위 상호 인정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국무원 학위위원회의 관련 구체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 15. '중국 유네스코 전국위원회'의 각 위원 단위 및 기타 부서, 기관과 유네스코의 교육, 과학기술, 문화 등의 협력과 교류를 조율하고,유네스코 본부, 아시아태평양지역 사무소, 주베이징 사무소와의 연계 및 교류, 유네스코 중국 상설대표단과의 연락 및 지도 업무를 담당한다. * 16. 국가 과학기술교육 영도소조를 담당한다. * 17. 국무원에서 처리한 기타 사항을 담당한다. == 산하 기관 == === 내부 기관 === * 판공청(办公厅) * 정책법규사(政策法规司) * 발전계획사(发展规划司) * 종합개혁사(综合改革司) * 인사사(人事司) * 재무사(财务司) * 교재국(教材局) * 국가교재위원회 판공실(国家教材委员会办公室) * 기초교육사(基础教育司) * 교외교육배훈감관사(校外教育培训监管司) * 직업교육 및 성인교육사(职业教育与成人教育司) * 고등교육사(高等教育司) * 교육감도사(教育督导局) * 국무원 교육위원회 판공실(国务院教育督导委员会办公室) *민족교육사(民族教育司) * 교사공작사(教师工作司) * 체육위생 및 기술교육사(体育卫生与艺术教育司) * 사상정치공작사(思想政治工作司) * 사회과학사(社会科学司) * 과학기술 및 정보화사(科学技术与信息化司) * 고등학교사(高校学生司) * 학위관리 및 연구생교육사(学位管理与研究生教育司) * 국무원 학위위원회판공실(国务院学位委员会办公室) * 언어문자응용관리사(语言文字应用管理司) * 언어문자정보화관리사(语言文字信息管理司) * 국제합작 및 교류사(国际合作与交流司) * 강아오타이판공실(港澳台办公室) * 순시공작판공실巡视工作办公室 * 기관 당위(机关党委) * 이퇴휴간부국(离退休干部局) * 중국연합국 교과문조직 전국위원회 비서처(中国联合国教科文组织全国委员会秘书处) === 직속 사업 === * 교육부 기관복무센터(教育部机关服务中心) * 국가교육행정학원(国家教育行政学院) * 중국 교육과학연구원(中国教育科学研究院) * 교육부 교육발전연구센터(教育部教育发展研究中心) * 교육부 고등학교사회과학발전연구센터(教育部高等学校社会科学发展研究中心) * 교육부 직업기술교육중심연구소(教育部职业技术教育中心研究所) * 교육부 중외언어교류합작센터(教育部中外语言交流合作中心) * 교육부 과기발전센터(教育部科技发展中心) * 언어문자응용연구소(语言文字应用研究所) * 국가어위 보통화 및 문자응용측시센터(国家语委普通话与文字应用测试中心) * 국가개방대학国家开放大学 * 중앙방송텔레비전대학(中央广播电视大学) * 중앙전화교육관(中央电化教育馆) * 교육부 기초교육자원센터(教育部基础教育资源中心) * [[중국 교육 텔레비전]](中国教育电视台) * 교육장학비연구 및 발전센터(教育装备研究与发展中心) * 교육부 교육관리정보센터(教育部教育管理信息中心) * 교육부 기초교육과정교재발전센터(教育部基础教育课程教材发展中心) * 국가유학기금관리위원회 비서실(国家留学基金管理委员会秘书处) * 교육부 경비감관사무센터(教育部经费监管事务中心) * 교육부 민족교육발전센터(教育部民族教育发展中心) * 중국교육보간사(中国教育报刊社) * 교육부 고시센터(教育部考试中心) * 교육부 유학복무센터(教育部留学服务中心) * 중국유학복무센터(中国留学服务中心) * 전국학생자조관리센터(全国学生资助管理中心) * 교육비 외자대관사무센터(教育部外资贷款事务中心) * 전국고등학교학생정보자문 및 취업지도센터(全国高等学校学生信息咨询与就业指导中心) * 교육부 학위 및 연구생교육발전센터(教育部学位与研究生教育发展中心) * 교육부 고등교육학평가센터(教育部高等教育教学评估中心) * 교육부 중외인교류센터(教育部中外人文交流中心) === 산하 공기업 === * 중국교육출판미디어집단유한공사(中国教育出版传媒集团有限公司) * 인민교육출판사(人民教育出版社) * 고등교육출판사(高等教育出版社) * 어문출판사(语文出版社) * 언어문자보간사(语言文字报刊社) * 언어음상출판사(语文音像出版社) === 산하 단체 === * 중국교육국제교류협회(中国教育国际交流协会) * 교육부 항생체육협회(教育部学生体育协会) * 중국교육학회(中国教育学会) === 산하 기관 === * [[중국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 == 역대 교육부장 == [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교육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