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쥐새}}}(생쥐새)[br]Mousebi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Urocolius macrourus.jpg|width=100%]]}}}[br][* 해당 이미지의 종은 푸른목쥐새(''Urocolius macrourus'')다.] || || [[학명|{{{#000 '''학명'''}}}]] || ''' ''Coliidae'' '''[br]Swainson, 1837 || ||<-2> {{{#000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fc6>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쥐새목(Coliiformes) ||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쥐새과(Coliidae) || ||<#fc6> '''아과''' ||쥐새아과(Coliinae) || ||<-2>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2>콜리우스속(''Colius'') 우로콜리우스속(''Urocolius'') || [목차] [clearfix] == 요약 == 쥐새목 쥐새과 쥐새아과에 속한 새.[* 쥐새목에는 쥐새과 단 1과 2속만이 존재하며 나머지는 모두 멸종했다.] 총 6종이 알려져 있으며, 붉은등쥐새가 가장 대표적이다.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종이다. 한국에서 서식하지 않는 새라, 국내에 시판되는 도감에도 잘 등재되어 있지 않은 새이다. == 분류 위치 == 가장 가까운 친척은 코뿔새류, 뻐꾸기파랑새류와 파랑새류, 딱따구리류다. 쥐새는 참새목의 명금류보다 딱따구리와 더 가깝다. == 특징 == 새 중에서 발 구조가 특이하다. 일반적인 새는 대부분 앞에 3개, 뒤에 1개 (즉, 첫 번째 발가락은 뒤로 향하고 나머지 3개는 앞에 향한다.) 로 있는 삼전지족이나, 앵무새, 물수리, 딱따구리류는 앞뒤에 각각 2개씩 있는 (바깥의 2개의 발가락은 뒤를 향하고 안쪽의 2개는 앞을 향한다.) 대지족이나 쥐새는 바깥쪽 발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삼전지족과 대지족의 발을 다 따라 할 수 있다. 그런 다리를 이용해서 숲을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움직임이 생쥐와 비슷해서 쥐새라고 불리게 되었다. == 생김새 == 머리에는 깃벼슬이 있으며, 부리가 짧다. 새 중에서는 작은 편이다. == 근연종 == 한때 최초의 참새목 명금류에 속한 멸종한 조류가 이제는 참새목에서 떨어져 나와 쥐새와 근연종으로 보고 있다. [[분류:쥐새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