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천시의 면]] [include(틀:김천시의 읍면동)] ||<-2> '''[[김천시|{{{#000000,#dddddd 김천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증산면}}}'''[br]甑山面 | Jeungsan-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김천시 증산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김천시 || || '''행정표준코드''' || 5060042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11행정리 43반 || || '''면적''' || 75.25㎢ || || '''인구''' || 991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3.1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김천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송언석]] ,,(재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병근 ,,(초선),, || ||<-2> '''김천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명기(정치인)|이명기]]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상욱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증산로 945-7 (유성리 278-6) || || [[https://www.gc.go.kr/district/jeungsan/main.do|증산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 [[파일:external/233cef113fca0b4890115af4de01fef051ffa2eb246c524580a5b8fdd71ad279.jpg]] || 수도계곡. 오지인 만큼 자연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 == 개요 == [[김천시]] 최남단에 위치한 면. 동으로 [[성주군]] 금수면, 가천면과 접하고, 서로 [[대덕면(김천)|대덕면]]과 접하며, 남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과 접하고, 북으로 [[지례면]]과 접한다.[* 김천시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이다.] == 역사 == 조선시대까지 성주목 관할로, 전통적으로는 [[성주군]] 지역이었던 곳이다. 관내에 있는 시루봉(甑峰)의 이름을 따서 증산면이라 명명됐다. [[1895년]] 관내 행정구역이 성주군 외증산면과 내증산면으로 나누어졌다. 이 당시까지도 [[성주군]] 관할이었다. [[1906년]] 내증산면이 지례군에 편입됐으며, [[1914년]] 지례군이 김천군에 통합될 때 외증산면도 김천군 지례면에 통합되었다. 이때 내증산면은 다시 이름을 증산면으로 고쳐 김천군 증산면이 되었다. [[1949년]]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됨에 따라 [[금릉군]] 증산면이 되었으며, [[1995년]] [[김천시]]와 [[금릉군]]이 다시 도농통합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김천시]] 증산면이 되었다. == 관할 리 == 10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 '''지명''' || {{{#fff '''법정동 코드'''}}} || {{{#fff '''비고'''}}} || || '''황항리''' || 4715045021 || || || '''부항리''' || 4715045022 || || || '''동안리''' || 4715045023 || || || '''황정리''' || 4715045024 || || || '''평촌리''' || 4715045025 || || || '''수도리''' || 4715045026 || || ||'''유성리''' || 4715045027 || 증산초등학교, 면사무소 소재 || || '''금곡리''' || 4715045028 || || || '''장전리''' || 4715045029 || || || '''황점리''' || 4715045030 || || == 교통 == === 도로교통 === [[30번 국도]]가 관내를 관통하며, 관내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동으로 이동 시 [[성주군]]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서로 이동 시 [[대덕면(김천)|대덕면]]으로 이동 시 [[3번 국도]]와 교차되고, [[경상남도]] 거창군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30번 국도]]로는 [[전라북도]] 무주군 방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903번 지방도]] 역시 관내를 관통하며 주요 교통로로 이용된다. 이 길을 이용하는 편이 김천시 시가지 중심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수월하기 때문에 사실상 더 자주 이용되는 편이다. 북으로 [[지례면]]으로 통하고 [[3번 국도]]와 만나서 [[김천시]] 시가지 중심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남으로는 장전리 방향으로 이동하다 장전리에서 길이 끊어져 버렸었지만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와 잇는 터널이 2021년 12월에 뚫렸으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903442|관련 기사]] 2025년 11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국도, 지방도를 가리지 않고 관내 도로사정이 심하게 좋지 않다. 관내 대부분 지역이 산악지역이라 지형이 험준하여 급격한 경사는 물론이고 선형도 매우 좋지 않아 운전자들의 안전운전이 요구되는 곳이다.[* [[김천시|김천시내]], [[지례면|지례]] 방면에는 '가목재'라고 하는 고개가 있는데, 매우 꼬불꼬불하다. 정확히는 증산과 지례의 경계에서 꼬불꼬불함이 시작된다. 증산 방면은 커브길 몇 번만 조심하면 되지만 지례 방면은 매우 많은 급커브를 따라 한참이나 내려와야 한다. 초보운전자들은 차라리 조마 쪽으로 우회하는 것이 낫다. [[대덕면(김천)|대덕]], 무주 방면은 대덕면에 진입하자 마자 헤어핀 1번과 함께 급커브를 여러번 만나게 되며, [[성주군|성주]] 방면은 계곡을 따라 꼬불꼬불한 길이 한참 이어진다.] 하지만 오지인 만큼 자연환경은 잘 보존되어 있어, 여유를 가지고 운전한다면 상쾌한 드라이브코스가 될 수도 있는 곳이기도 하다. 초보운전자가 차를 끌고 증산면에 가려고 할 경우 다시 한번 깊게 재고해보는 것이 좋다. 농담이 절대 아니다. 비명횡사 할 수 있다. 그나마 2025년 11월 가천면 신계리 방면으로 향하는 가천증산터널이 개통되면 증산면의 접근성이 조금 나아진다. [[거창군]] 가북면과도 경계를 맞대고 있긴 한데... 길이 없다. 직선거리로 5~10km 남짓한 거리를 [[대덕면(김천)|대덕면]], [[거창군]] 웅양면, 주상면, 거창읍, 가조면을 거쳐 크게 돌아가야 한다. 산간 오지의 위엄. === 철도 === 관내 철도시설은 ~~아예~~ 없다. 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김천역]]을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1시간여 소요. 고속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면 된다. 역시 승용차로 1시간여 소요. 이곳은 [[김천시]] 내에서 손꼽히는 교통 사각지대로 [[김천역]]이든 [[김천(구미)역]]이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부항면]]이 길이 좋지 않아 오래 걸리고, [[대덕면(김천)|대덕면]]이 멀어서 오래 걸리는데, 이곳은 멀기도 멀고 길도 좋지 않다. 관내 최고 오지라는 타이틀을 괜히 가지고 있는게 아니다.[* 관내 제일의 산간오지라고 면사무소 홈페이지에 공식적으로 나와있다(...).] === 버스 === 대부분의 시외교통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하여야 한다. 승용차로 1시간여 이상 소요. [[대구광역시]] 방면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성주군]] 지역으로 이동하여 [[성주, 칠곡 버스 250|성주 버스 250]]을 이용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선형이 개판인 이름뿐인 국도긴 하지만 어쨌든 국도로 바로 [[대구광역시]]까지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특이사항으로 [[성주군]] 관내 농어촌버스가 들어온다. [[김천시]] 시가지 중심지역으로 가는 버스는 [[농소면]], [[남면(김천)|남면]]을 거치는 버스이고, 이곳으로 오는 버스는 다른 노선의 버스. 증산면의 면사무소 소재지인 유성리까지만 운행되는 노선이다. 창천으로 가는 버스와 성주읍내로 가는 버스로 나뉜다. 성주읍내로 가는 버스는 아침 7시 15분에 출발한다. ||<-5> 증산면을 경유하는 일반(입석)버스 노선 || ||<:> 노선번호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기타사항 || ||<|2><:>92 ||<|2> 지례 || → 속수 → 대덕 → 황황 → 황정 → 증산 → 청암산(장뜰) → ||<|2> 수도리 ||<|2> 왕복 1회 지례 방면 대덕만 경유 || || ← 대덕 ← || ||<|2><:>93 || 지례 || → 대덕 → 청암산(장뜰) → ||<|2> 수도리 ||<|2> 왕복 1회 수도리 방면 지례에서 출발 수도리 방면 대덕,청암사만 경유 ||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 황금동 ← 중앙고 ← 구성 ← 지례 ← 속수 ← 대덕 ← 황황 ← 황정 ← 증산 ← 청암산(장뜰) ← || ||<-5> 증산면을 경유하는 좌석버스 노선 || ||
<:> 노선번호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기타사항 || ||<:><|2>885-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증산, 청암사(장뜰) ||<|2> 장전 || 장전 방면 1회 터미널 방면 2회 || || 봉계 || 코아루,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증산, 청암사(장뜰) || 장전 방면 편도 운행 봉계~터미널 구간 토,휴일 운휴 || ||<:>885-7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동안리, 증산, 청암사(장뜰) || 장전 || 왕복 4회 || ||<:>885-8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대덕, 청암사(장뜰), 증산 || 장전 || 왕복 1회 || ||<:>886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황금동, 중앙고등학교, 구성, 지례, 속수, 대덕, 청암사(장뜰), 증산 || 영천[*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영천리] || 왕복 2회 || ||<-6> 증산면을 경유하는 [[성주군]] 소속 버스 || ||
<:> 노선번호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기타사항 ||운수회사명 || || 농어촌 || 유성리(증산) || 가천터미널 || 성주터미널 || 농어촌버스 || [[경일교통]] || == 관내 자연부락 == === 황항리 === === 부항리 === === 동안리 === === 황정리 === === 평촌리 === === 수도리 === === 유성리 === === 금곡리 === === 장전리 === === 황점리 === == 기타 == * 김천시 관내 제일의 산간오지로, 대중교통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승용차가 없다면 들어가고 나오기 어려운 곳이다. 다행인 점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대덕방면, 지례방면, 성주방면 모두 버스가 다닌다. 대신 자연경관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자연을 즐기기에는 매우 좋은 곳이다. * 관내 수도리에 청암사라는 [[절(불교)|절]]이 있어 [[불자#s-1|불자]]들이 종종 찾으며, 근처 자연경관이 수려해 일반 시민들도 종종 찾는 명소 중에 하나이다. * 역사적으로 [[성주군]]에 속했던 지역인데, 실제로 [[감천]]수계인 [[김천시]] 다른 지역과는 달리 증산면 지역만 [[회천]](대가천) 수계로 마시는 물이 다르다. * 관내 장전리에서 [[합천군]] [[해인사]]까지 직선거리로 약 8km, 리 경계지점에서는 겨우 5km 남짓한데, 문제는 길이 없다. 장전리에서 [[해인사]]를 가려면 무려 51km를 1시간 반에 걸쳐 돌아가야 한다. 8km 거리를 51km나 돌아가는 위엄.... 어느 정도 오지인지 감이 오시는지? 자동차가 다니기 전 옛날에는 이곳을 통해 [[해인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사람 다니는 등산로는 있다. 물론 지금은 일부 등산객을 제외하면 사실상 잊혀진 길이 되었으며 현재는 등산객들 사이에서도 점점 잊혀지고 있다. * [[지례면]]과 증산을 잇는 가목재 터널 건설 문제가 이 지역에서 요즘 뜨거운 감자다. 위에 서술되어 있다시피 증산면은 김천에서도 손에 꼽히는 오지이며, 김천시 동 지역도 아니고 [[지례면]]에서도 구불구불한 산길을 따라 20여분 들어와야 될 정도로 교통상황이 좋지 않다. 때문에 [[지례면]]과 증산의 유성리를 이어주는 가목재에 터널을 뚫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는데, 사실 증산면 지역은 인구가 약 1,000명으로 많지 않아 [[김천시]]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면으로 전체 인구의 1%도 채 되지 않으며 그 인구를 위해 나머지 99% 시민의 세금을 이용해 터널을 뚫는다는 게 김천시 입장에서는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터널건설이 연장되고 있는 실정이며, 증산면 주민들은 터널을 뚫어주지 않을거라면 차라리 [[성주군]]으로 편입을 시켜달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다만 이곳에서 성주읍까지의 길도 결코 좋지는 않으며, 35km 거리를 45분~50분 정도에 걸쳐 이동해야 된다. 결국 가목재에 터널을 뚫는 것이 아닌 선형 개량을 하기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4987020|관련 기사]] == 관련 문서 == * [[김천시/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