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순군의 로)] ---- ||<-4> {{{#fff {{{+1 '''지강로'''}}}[br] 芝江路 | Jigang-ro }}} || || ← [[해남군|{{{#!html해남}}}]] {{{#!html방면}}}[br][[동촌로(전라남도)|동촌로]] ||<-2> [[55번 지방도|{{{#!html
55번
국가지원지방도
}}}]] || [[금산군|{{{#!html금산}}}]] {{{#!html방면}}} →[br][[오성로(화순)|오성로]] || || ← [[장흥군|{{{#!html장흥}}}]] {{{#!html방면}}}[br][[지석로(나주·화순)|지석로]] ||<-2> [[817번 지방도|{{{#!html
817번
지방도
}}}]] || [[광주광역시|{{{#!html광주}}}]] {{{#!html방면}}} →[br][[효덕로]] || ||<-4> '''{{{#fff 노선 번호}}}''' || ||<-4> '''[[55번 지방도]]'''[br]'''[[817번 지방도]]''' || ||<-4> '''{{{#fff 기점}}}''' || ||<-4>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효산삼거리 || ||<-4> '''{{{#fff 종점}}}''' || ||<-4>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 [[칠구재터널]] || ||<-4> '''{{{#fff 연장}}}''' || ||<-4> 10.9km || ||<-4> '''{{{#fff 관리}}}''' || ||<-4> [[화순군]] || ||<-4> '''{{{#fff 왕복 차로 수}}}''' || ||<-4> 2~4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효산삼거리에서 출발하여 [[화순읍]] 세량리 [[칠구재터널]]에서 끝나는 도로. [[55번 지방도]], [[817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도로 이름은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양한묵]]''' 선생의 호인 '지강'에서 유래했다. == 특징 == [[오성로(화순)|오성로]]와 함께 [[광주광역시]]로 가는 우회로 중 하나이자 [[광주광역시]]에서 화순군 도곡면으로 가는 빠른 길 중 하나이다. == 주요 구간 == * 효산삼거리 * 시작점이며 [[지석로(나주·화순)|지석로]]와 만난다. * 도곡면천암리교차로 * 천암1길과 만난다. 지강로는 이 천암리를 우회한다. * 도곡면원화리교차로 * 온천1길과 만난다. 여기부터 원동마을 정류장까지 왕복 2차선이었다가 이 이후로 왕복 4차선으로 늘어난다. * 원화교차로 * 여기서 도로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나주 방향으로 가면 화순읍앵남리교차로와 만나고, 그대로 직진하면 신앵남교를 건너 앵남교차로로 연결된다. 신앵남교 구간은 [[오성로(화순)|오성로]]를 확장하면서 동시에 새로 길을 만들었다. * [[나주]] 방향으로 가면 화순읍앵남리교차로가 있고 [[동촌로(전라남도)|동촌로]]와 만난다. 우회전하여 [[경전선]] 철도건널목을 건너면 앵남교차로와 만난다. * 앵남교차로 * [[오성로(화순)|오성로]]와 [[앵남역]]으로 가는 기존의 도로와 만난다. 여기서부터 나주 남평교교차로까지 [[55번 지방도]]의 확장 공사가 진행중이다. * 세량교차로(가칭) * 세량제로 유명한 세량리로 진출입을 할 수 있다. * [[칠구재터널]] * 이곳에서 끝나고 터널을 나오면 효덕로가 이어진다. == 대체도로 == '[[칠구재터널]] ~ 앵남교차로' 구간은 그 유명한 [[너릿재터널]]([[22번 국도]])를 우회하는 성격이 강하며, 이 이후는 화순읍에서 도곡면을 빠르게 이어주는 구간이라 대체도로는 없다.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 [[경전선]] : [[앵남역|앵남역(폐역)]] === [[버스]] === * [[광주 버스 진월177|진월177번]] : [[칠구재터널]] ~ 도곡면원화리교차로 * [[화순 버스 200|200번]] : (세량리)앵남교차로 ~ 도곡면천암리교차로 * [[화순 버스 318|318(-1)번]] : [[칠구재터널]] ~ (도곡면원화리교차로) ~ 도곡면천암리교차로 == 교통량 == == 주요 시설 == == 기타 == * 개요에서도 언급했지만, 도로의 이름은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양한묵]] 선생의 호에서 유래했으며, 이 도로가 지나가는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의 앵무산에 선생의 묘소가 있다. 원래는 선생 사후 [[서울]]의 수철리 공동묘지(현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서울)|금호동]])에 묻혔지만 [[천도교]]의 주선으로 [[1922년]] 선생의 고향인 [[화순]]으로 반장하게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는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2050500209201002&officeId=00020|1922년 5월 5일자 동아일보의 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기사에서 "[[화순군]] [[도곡면]]의 선영에 이장했다"고 하는데, 선생의 묘소가 있는 앵남리는 예전부터 화순면(현 [[화순읍]])에 속해있었다. 앵남리 바로 아래가 도곡면이라서 혼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양한묵]] 선생이 태어나고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은 영암 옥천(현재 [[해남군]] 옥천면)이지만, 결혼 이후 당시 능주군 오도면 율치리(현 [[화순군]] 도곡면 신덕리)에 정착하여 1897년 상경할 때까지 능주에서 살았다.] [[분류:화순군의 도로]][[분류:55번 지방도]][[분류:817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