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지구방위군 6)] [목차] == 개요 ==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병과는 총 4가지이다. 병과별로 각각 다른 조작체계와 기능,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 레인저 == [[파일:EDF6_레인저.png|width=400]] >원래는 민간 경비 회사에 다니던 신입 경비원. 행사장 경비를 위해 기지에 파견된 날, 프라이머의 공격이 시작됐다. EDF의 주요 전력인 육전 보병 부대의 총칭. 앞선 전쟁에서는 화기를 다루는 실력이 뛰어난 전투 전문가로서 다양한 총기와 화기를 능숙하게 다뤘다. 「졸이 없는 장기는 패배한 장기」라는 말처럼, 공격과 수비의 균형을 갖춘 병과이다. 게릴라 전투가 펼쳐지는 이 세계에서 EDF의 핵심을 이룬다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 기본 조작 방법 === ||<-2>
'''RANGER'''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스틱.png|width=30]]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스틱.png|width=30]] ||조준점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1.png|width=30]] ||확대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점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30]] ||백팩 툴 사용[br]계속 누르고 있으면 재장전/기폭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공격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3.png|width=30]] ||대시 || ||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버튼 ||왼쪽으로 긴급 회피 || ||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버튼 ||오른쪽으로 긴급 회피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세모.png|width=30]] ||무기 변경(무기 1과 무기 2를 바꿔 든다)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네모.png|width=30]] ||재장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동그라미.png|width=30]] ||탑승 유닛 탑승/쓰러진 플레이어 구조 || || [[파일:듀얼센스 버튼 가위.png|width=30]] ||발연탄 투척(탑승 유닛 호출)[br]※특수 장치에 탑승 유닛을 장비 중일 때 한정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옵션.png|width=30]] ||일시 정지 메뉴 표시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십자키.png|width=30]] ||채팅 상용구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채팅 상용구 빠른 입력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버튼 ||위치 지정 마킹 || === 특성 === * 무기 1, 무기 2, 백팩, 특수 장비의 4가지를 장비한다. 무기 변경 버튼을 누르면 무기 1과 무기 2를 바꿔 든다. * 백팩에는 수류탄 등 특수 무기를 넣을 수 있다.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25]] 버튼(표준 설정 시)으로 백팩 장비를 사용한다. 보유 무기의 재장전 중에 사용할 수 있어, 잘 활용하면 전투를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 보조 장비를 이용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 유닛을 요청하는 발연탄을 장비할 수도 있다. * [[파일:듀얼센스 버튼 L3.png|width=25]] 버튼(표준 설정 시)을 누르면 대시한다. 한번 더 누르면 대시를 정지한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시를 정지할 수 있다. * [[파일:듀얼센스 버튼 L스틱.png|width=25]]을 아래로 기울인다. * 공격 버튼을 누른다(표준 설정 시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25]] 버튼) * 점프 버튼을 누른다(표준 설정 시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25]] 버튼) * 발연탄을 던지는 버튼을 누른다(표준 설정 시 [[파일:듀얼센스 버튼 가위.png|width=25]] 버튼) * 백팩 툴 사용 버튼을 누른다(표준 설정 시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25]] 버튼) 대시 중에는 아이템 회수 범위를 나타내는 원이 표시되며, 평상시보다 더 넓은 범위까지 아이템을 회수할 수 있다. * 특수 장비에 탑승 유닛 요청용 발연탄을 장비한 상태에서 [[파일:듀얼센스 버튼 가위.png|width=25]] 버튼(표준 설정 시)을 눌러 투척하면 그 우 ㅣ치로 탑승 유닛이 수송된다. == 윙 다이버 == [[파일:EDF6_윙 다이버.png|width=400]] >입대 전에는 개인용 플라이트 유닛을 장비한 비행사. 비행 쇼에 출연하기 위해 기지를 찾은 날, 프라이머의 공격이 시작됐다. 앞선 전쟁에서 비행 유닛을 장비한 비행 병사로 활약한 특수 부대.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탄약이 필요 없는 에너지 무기를 장비하고 공중을 이동하며 싸우는 정예 부대이다. 레인저와 비교해 간소한 장비를 착용하여 내구력은 떨어지지만 이를 보완하고도 남을 기동력과 강력한 무기를 가졌다. === 기본 조작 방법 === ||<-2>
'''WING DIVER'''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스틱.png|width=30]]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스틱.png|width=30]] ||조준점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1.png|width=30]] ||확대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점프. 길게 누르면 비행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30]] ||독립 작동 장비를 사용.[br]길게 누르면 독립 작동 장비를 재장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공격(충전형 무기를 들고 있을 경우 계속 누르고 있으면 무기에 에너지를 충전. 손을 떼면 공격)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3.png|width=30]] ||왼쪽 스틱을 기울인 방향으로 고속 이동. 공중에서는 장거리, 지상에서는 단거리 이동(일정량의 에너지를 소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세모.png|width=30]] ||무기 변경(무기 1과 무기 2를 바꿔 든다)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네모.png|width=30]] ||재장전/충전 무기 발사 중단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동그라미.png|width=30]] ||탑승 유닛 탑승/쓰러진 플레이어 구조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옵션.png|width=30]] ||일시 정지 메뉴 표시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십자키.png|width=30]] ||채팅 상용구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채팅 상용구 빠른 입력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버튼 ||위치 지정 마킹 || * '''비행''': 윙 다이버는 점프 버튼을 길게 누르면 비행할 수 있다. 비행 중에는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지만 점프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비행 유닛의 에너지가 계속 소모된다. * '''에너지 게이지''': 플라스마 코어에서 생성되어, 비행 유닛에 축적된 에너지를 나타낸다. 비행하거나 무기를 사용하면 줄어들며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회복된다. 에너지 게이지의 증가량은 플라스마 코어의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코어의 성능이 높을수록 에너지도 빨리 회복된다. 게이지가 0이 되면 비행 유닛이 「긴급 충전 모드」로 전환된다. 단시간에 에너지 게이지가 회복되지만 그동안에는 무방비 상태가 된다. * '''긴급 충전''': 비행 유닛의 에너지가 0이 되면 긴급 충전 상태로 전환된다. 긴급 충전 중에는 평상시보다 더 빨리 에너지가 회복되지만 그동안 비행하거나 무기에 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게 된다. === 특성 === * 무기 1, 무기 2, 독립 작동 장비, 플라스마 코어의 4가지를 장비한다. 무기 변경 버튼을 누르면 무기 1과 무기 2를 바꿔 든다. * 플라스마 코어는 윙 다이버가 사용하는 비행 유닛의 심장부로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탑재한 플라스마 코어의 종류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윙 다이버의 비행 능력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윙 다이버의 무기 대부분은 비행 유닛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로 작동한다. 강력한 무기는 그만큼 많은 에너지를 필요하기 때문에 성능 플라스마 코어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플라스마 코어의 성능이 윙 다이버의 전투 능력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 플라스마 코어의 성능 * 최대 에너지: 축적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양 * 충전: 1초 동안 생성되는 에너지양(긴급 충전 중일 때 외에는 계속 생성된다) * 긴급 충전: 긴급 충전 상태로 전환했을 때 1초당 생성되는 에너지양 * 비행소비: 비행 중에 1초당 소비되는 에너지양 * 부스트 소비: 부스터 사용 시에 소비되는 에너지양 그밖에도 특수한 능력을 지닌 플라스마 코어가 존재한다. * 독립 작동 장비: 윙 다이버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비행 유닛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장비가 개발되었다. 이 장비는 비행 유닛에 접속하지 않고 독립적인 배터리만으로 구동된다. 그만큼 파워는 떨어지지만 긴급 충전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긴급 상황의 호신용으로 휴대하기를 추천한다. * 특수 액션 부스트: [[파일:듀얼센스 버튼 L3.png|width=25]] 버튼(표준 설정일 때)를 누르면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일정량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지상에서도 고속 이동을 할 수 있지만, 이동 거리는 그리 길지 않다. == 에어 레이더 == [[파일:EDF6_에어 레이더.png|width=400]] >군용 탑승 유닛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정비사. 탑승 유닛 수리를 위해 기지에 왔다가 사건에 휘말린다. 공습유도병. 이전 전쟁이 일어나기 전 테러리스트 집단과의 시가전이 자주 발발했다. 난전에서는 효과적인 항공 지원을 할 수 없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에 보병을 수행하며 적확한 공중 폭격을 요청하는 스페셜리스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에어 레이더가 탄생했다. 소모전을 반복하는 나날, 공습 요청 등이 어려운 세계에서 이전 같은 화려한 활약을 보일 수 있을 것인가. === 기본 조작 방법 === ||<-2>
'''WING DIVER'''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스틱.png|width=30]]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스틱.png|width=30]] ||조준점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1.png|width=30]] ||확대/기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 점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30]] ||무기 변경[br](무기 1, 무기 2, 무기 3을 바꿔 든다)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공격 || ||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버튼 ||왼쪽으로 긴급 회피 || ||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버튼 ||오른쪽으로 긴급 회피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세모.png|width=30]] ||발연탄 투척 (탑승 유닛 호출)[br]※탑승 유닛을 장착 중일 때 한정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네모.png|width=30]] ||재장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동그라미.png|width=30]] ||탑승 유닛 탑승/쓰러진 플레이어 구조 || || [[파일:듀얼센스 버튼 가위.png|width=30]] ||백팩 툴 사용[br]길게 누르면 재장전/기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옵션.png|width=30]] ||일시 정지 메뉴 표시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십자키.png|width=30]] ||채팅 상용구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채팅 상용구 빠른 입력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버튼 ||위치 지정 마킹 || === 특성 === == 펜서 == [[파일:EDF6_펜서.png|width=400]] 입대 전에는 항만 시설 등에서 화물 운반에 사용하는 「외골격 강화 슈트」 조종 면허를 소지한 인부. 화물 운반 작업을 위해 기지를 찾은 날, 프라이머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이도장갑병. 외골격식 파워 어시스트 장치를 장비한 강화 병사. 군용 외골격 「파워드 스켈레톤」을 장착한 병사의 완력은 1톤을 넘으며 중장비를 휴대할 수 있다. 앞선 대전에서는 파워드 스켈레톤을 장착한 병사로만 구성된 펜서 부대가 크게 활약했다. 「펜서」라는 이름은 펜서에 특화된 장비 「블래스트홀 스피어」에서 유래했다. === 기본 조작 방법 === ||<-2>
'''WING DIVER'''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스틱.png|width=30]]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스틱.png|width=30]] ||조준점 이동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1.png|width=30]] |장비 사용-왼손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2.png|width=30]] ||공격-왼손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1.png|width=30]] ||장비 사용-오른손 || || [[파일:듀얼센스 버튼 R2.png|width=30]] ||공격-오른손 || || [[파일:듀얼센스 버튼 L3.png|width=30]] ||실드 재장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가위.png|width=30]] ||점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세모.png|width=30]] ||무기 변경[br](「무기 1-좌우 양손」과 「무기 2-좌우 양손」을 변경한다)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네모.png|width=30]] ||무기 재장전 || || [[파일:듀얼센스 버튼 동그라미.png|width=30]] ||탑승 유닛 탑승/쓰러진 플레이어 구조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옵션.png|width=30]] ||일시 정지 메뉴 표시 || || [[파일:듀얼센스 버튼 십자키.png|width=30]] ||채팅 상용구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채팅 상용구 빠른 입력 || || [[파일:듀얼센스 버튼 터치패드.png|width=30]] 버튼 ||위치 지정 마킹 || * '''파워 게이지''': 비브로 해머 등 일부 무기는 「공격 버튼을 길게 눌러 파워를 축적」할 수 있다. 공격 버튼을 길게 누르면 파워 게이지가 상승하며, 버튼에서 손을 떼면 파워에 맞춰 공격이 발동된다. [[분류:THE 지구방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