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8호[* 9호 [[종친부|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2021년 12월 27일에, 10호 '[[서울 호암산성|한우물]]'은 1991년 2월 26일 해제 후 각각 보물과 사적 343호로 승격했다. 한우물의 경우, [[문화재청|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에서 '한우물및주변산성지'를 거쳐 2011년 7월 28일 '서울 호암산성'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2> ← || '''11호''' ||<|2> → || 12호 || || [[사육신공원|사육신묘]] || '''양녕대군 이제 묘역''' || [[청권사|효령대군 이보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호}}}]]''' || ||<-2> {{{#fff {{{+1 '''양녕대군 이제 묘역'''}}}[br]{{{-1 讓寧大君 李禔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지덕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양녕로]] 167[br](상도4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3棟, 분묘 1基, 석물 7基, 토지 1,739㎡ || || '''{{{#fff 지정연도}}}''' || [[1972년]] [[8월 30일]] || || '''{{{#fff 시대}}}''' || [[1675년]] ([[숙종(조선)|숙종]] 1년) || || '''{{{#fff 홈페이지}}}''' || [[http://www.jiduksa.com/jiduksa/index.html|지덕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녕대군묘.jpg|width=100%]]}}} || || {{{#ffd400 ''' 양녕대군 묘소[*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078&ccbaKdcd=21&ccbaAsno=001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녕대군_이제_묘역_전경2_(촬영년도___2015년).jpg|width=100%]]}}} || || {{{#ffd400 ''' 지덕사 전경[*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817&ccbaKdcd=21&ccbaAsno=001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녕대군_이제_묘역_지덕사_(촬영년도___2015년).jpg|width=100%]]}}} || || {{{#ffd400 ''' 지덕사 정문[*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819&ccbaKdcd=21&ccbaAsno=001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3대 임금 [[태종(조선)|태종]]의 맏아들이자 4대 임금 [[세종(조선)|세종]]의 큰형 [[양녕대군|양녕대군 이제]]의 [[무덤|묘소]] 및 [[사당]]이다. == 역사 == 1675년([[숙종(조선)|숙종]] 1년)에 건립했다.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양녕대군]]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었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양녕대군이 [[세종(조선)|세종]]에게 왕위를 양보했다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했고, [[숙종(조선)|숙종]] 시기 들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태백과 같이 덕이 있는 아우에게 왕위를 양보한 현인'이라는 명분으로 숙종이 사당을 세웠다. 자세한 내용은 [[양녕대군/평가]] 문서 참조. 사당 이름 '지덕(至德)'은 '인격이 덕(德)의 극치에 달했다(至)'는 뜻이다. [[주나라]]의 [[고공단보]]가 3남 [[계력]]을 후계자로 삼을 때 장남 [[태백(오나라)|태백]]이 아버지의 뜻을 안 후 삭발하고 숨어살았던 일을 두고 [[공자]]가 태백은 지덕이라고 칭송한 데에서[* [[논어]] 제8편 泰伯] 유래했다. 이후 역대 임금들이 신하를 보내어 제사를 지내게 했다. 1757년(영조 33년)에 [[영조]]는 [[양녕대군]]의 후손을 골라 등용시키게 하고 사당을 보수시켰으며, 직접 제문을 짓고 제를 올리게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3302002_002|#]] 1789년(정조 13년)에는 [[정조(조선)|정조]]가 직접 지덕사의 유래와 양녕대군의 일생을 적은〈지덕사기(至德祠記)〉를 친히 써서 사액했다. 또한 판부사 [[채제공]]에게는 현판을, 지중추부사 윤동섬에게는 사당 액호를 쓰라고 명했다.[[http://www.jiduksa.com/jiduksa/intro2.html|#]] 1873년([[고종(대한제국)|고종]] 10년)에는 16대 사손 이승보[* 경복궁 중건 당시 영건도감의 제조(총책임자)였다.]가 중수했다. 처음에는 [[숭례문]] 밖 도동[* 지금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동]] 일대.]에 있었다가 [[일제강점기]]였던 1912년에 현재 자리로 옮겼다. 1972년 8월 30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받았다. 첫 등재명칭은 '지덕사부묘소'였고 2008년 10월 30일에 '양녕대군 이제 묘역'으로 바뀌었다. 2002년에서 2005년에는 묘역을 정화했고 2005년 3월에 재실 도광재를 준공했다.[[http://www.jiduksa.com/jiduksa/intro2.html|#]] 지금까지 양녕대군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다. == 관람 == 2000년부터 문화재 보호 등의 이유로, 제사 등 특별한 행사를 할 때에만 개방했고 평상시에는 닫아두었다. 그러다가 [[서울특별시]]와 [[동작구]]에서 2018년부터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296315|#]] 시민들에게 전면 개방했으며, 묘역 개방과 함께 근처에 있는 국사봉 산책로도 같이 정비했다. 입장료는 없다. 관람일과 시간은 매주 화요일에서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고, 일요일과 월요일에는 휴관한다. 지하철 역은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승배기역]]과 [[상도역]]이 가깝다. 둘 중 어느 역에서 내려도 거리는 비슷하기 때문에 편한 역에서 내리면 된다. 장승배기역과 상도역 둘 다 2번 출구로 나오면 된다. 걸어서는 약 18분 정도 걸린다. 장승배기역에서는 [[서울 버스 500|500번]][* [[당곡역]]과 [[봉천역]]에서 버스를 탄다.]과 [[서울 버스 5535|5535번]][* 당곡역에서 버스를 탄다.] 버스를, 상도역에서는 [[서울 버스 동작08|동작08번]] 버스를 타면 가장 빨리 갈 수 있다. == 구조 == * 묘역 11,888평에 사당 건평 9평, 건물 3동, 묘 1기가 있다. 사당 동측 옆에 있는 연못 위의 다리를 건너 언덕을 오르면 묘역이 보인다. 사당 내부에는 [[양녕대군]]과 부인 수성부부인 김씨의 위패를 모셔놓았다. == 유물 == * [[숭례문]](崇禮門) 현판 탁본: 양녕대군 필적. * [[소식(시인)|소동파]] [[적벽부|후적벽부]](蘇東坡 後赤壁賦) · 팔곡병풍 목각판. * 《지덕사기(至德祠記)》: [[정조(조선)|정조]] 作, [[허목]] 作. * 금자현액(金字懸額): [[세조(조선)|세조]] 作. == 여담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부터 [[한강대교]] 북단까지 이어지는 도로 [[양녕로]]의 이름은 지덕사를 지나는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 [[경술국치]] 하루 전날인 1910년 8월 28일에 양녕대군 묘비가 번개를 맞아 갈라졌다고 한다. 현재 있는 묘비는 1915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vXjJCc6zQY)]}}} || || {{{#ffd400 ''' 이승만 대통령 양녕대군묘 성묘를 다룬 《대한뉴스》 영상 '''}}} || [[양녕대군]]의 16대손인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57년 10월 27일에 양녕대군 묘역에 참배하고 헌화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양녕대군/평가, version=91, paragraph=2.2)] [[분류:양녕대군]][[분류:사당]][[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동작구의 건축물]][[분류:서울특별시의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