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ffff00 '''[[중국|{{{#ffff00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ffff00 티베트 자치구}}}]]의 국경통상구[br]{{{+1 [ruby(吉隆, ruby=Jílóng)][ruby(口岸, ruby=Kŏuàn)][br]रसुवा }}}'''[br] Jilong(Keyrung) Por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रसुवागढी,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분류}}}''' || 육로(도로) || ||<-2> '''{{{#ffff00 등급}}}''' || 국가급(1류) || ||<-2> '''{{{#ffff00 접경지}}}''' || [[파일:네팔 국기.svg|height=15]] [[네팔]] [[바그마티 주]] || ||<-2> '''{{{#ffff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라싸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시짱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ffff00 운영시간}}}''' || 24시간 || ||<-2> '''{{{#ffff00 주소}}}''' || {{{-2 [[티베트 자치구]] [[르카쩌시]] 지룽현}}}[br]{{{-2 西藏自治区日喀则市吉隆县}}} || ||<-2> '''{{{#ffff00 설치년도}}}''' || 1961년 || [[파일:20200723114447218.jpg|width=450]] [[네팔]]에서 바라본 통상구 모습 [[파일:지룽 통상구.jpg|width=450]] 중국쪽에서 바라본 통상구 모습 [목차] [clearfix] == 개요 == 지룽 통상구(吉隆口岸)는 중국과 네팔 사이의 통상구로 네팔 북부 [[바그마티 주]] 라수와가디(रसुवागढी : Rasuwagadhi)와 접하며 동린짱부(东林藏布)와 트리슐리강[* 겐지스강의 지류로 티베트에서 발원하며 중국 측에서는 지룽짱부(吉隆藏布)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장부(藏布)는 티베트어로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이 만나는곳에 위치한다. 네팔측에는 라수와(रसुवा : Rasuwa) 국경사무소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통상구는 제3국 국민에게 개방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 보고 갈 것.'''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입경하려면 외국인의 경우 중국 비자 외에도 별도의 [[중국의 신분증#변경관리구증|여행허가증]]이 필요하다.''' == 교통 == 중국측은 [[중국 216번 국도]]의 종점이다. 네팔측에는 사람 이름을 딴 '''파상 라무 도로'''(Pasang Lhamu Highway)[* '''파상 라무'''(Pasang Lhamu)는 [[셰르파]]족 여성으로 33세에 네팔 최초로 [[에베레스트산]]을 등반했으나 안타깝게도 하산 중에 사망했다고 한다. 그녀의 이름을 따서 만든 봉우리 이름도 있다. [[http://san.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1/25/2019112501458.html|참조]] ]가 피팔타르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상태가 그리 좋지 않다. [[분류:티베트 자치구의 국경통상구]][[분류:중국의 외교]][[분류:네팔의 외교]][[분류:중국-네팔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