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일방주/오퍼레이터/스나이퍼]] ||<-4>
{{{#ffffff,#dddddd '''{{{+5 지에윈}}}'''[br]Jieyun[br]ジエユン[br]截云}}} || ||<-2> [[파일:ArKnights_Jieyun_1.png|width=100%]] ||<-2> [[파일:ArKnights_Jieyun_2.png|width=100%]] || ||<-2> 정예화 전 ||<-2> 2차 정예화 후 || || '''{{{#ffffff,#dddddd 포지션}}}''' || [[파일:arknights_sniper.png|width=80]][[파일:Artilleryman_Sniper_Big.png]][br]{{{#ffffff,#dddddd 스나이퍼 - 포격사수}}} || '''{{{#ffffff,#dddddd 진영}}}''' || [[명일방주/등장인물 및 세력#염국|[[파일:arknights_yen.png|width=80]][br]{{{#ffffff,#dddddd 염}}}]] || || '''{{{#ffffff,#dddddd 레어도}}}''' || ☆5 || '''{{{#ffffff,#dddddd 성별}}}''' || 女 || || '''{{{#ffffff,#dddddd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와라 나츠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허예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주디 앨리스 리]][* [[와일드메인]]과 중복.][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邵敏佳[* [[페넌스]], [[압생트(명일방주)|압생트]], [[로빈(명일방주)|로빈]]과 중복.] || '''{{{#ffffff,#dddddd 일러스트}}}''' || [[명일방주/참여 일러스트레이터#伍秋秋秋秋|伍秋秋秋秋]] || ||<-4>
'''{{{#ffffff,#dddddd 기본정보}}}''' || ||<|2> '''{{{#ffffff,#dddddd 직업}}}''' ||<|2> - || || '''{{{#ffffff,#dddddd 특기}}}''' || - || || '''{{{#ffffff,#dddddd 전투 경험}}}''' || 2년 || '''{{{#ffffff,#dddddd 출신지}}}''' || [[명일방주/등장인물 및 세력#염국|염]] || || '''{{{#ffffff,#dddddd 생일}}}''' || 7월 6일 || '''{{{#ffffff,#dddddd 종족}}}''' || [[명일방주/종족#아나사|아나사]] || || '''{{{#ffffff,#dddddd 신장}}}''' || 164cm || || || || '''{{{#ffffff,#dddddd 광석병 감염 상황}}}''' ||<-3> 체표면에 오리지늄 결정이 분포, 의학 테스트 보고서 참고 결과, '''감염자'''로 확인. || ||<-4>
'''{{{#ffffff,#dddddd 종합검진}}}''' || ||<|2> '''{{{#ffffff,#dddddd 물리적 강도}}}''' ||<|2> 표준 || || '''{{{#ffffff,#dddddd 전장 기동력}}}''' || 표준 || || '''{{{#ffffff,#dddddd 생체 인내도}}}''' || 표준 || '''{{{#ffffff,#dddddd 전술 계획력}}}''' || 보통 || || '''{{{#ffffff,#dddddd 전투 기술력}}}''' || 우수 || '''{{{#ffffff,#dddddd 오리지늄 아츠 적응성}}}''' || 표준 || ||
'''{{{#ffffff,#dddddd 프로필}}}''' || ||지에윈, 염국 북서부 사막에 사는 아나사 소녀다. [[와이후]]의 소개로 염국 주재 로도스 아일랜드 사무소에 치료를 받으러 왔으며, 동시에 외근 오퍼레이터 역할을 맡고 있다. || [목차] == 개요 == >내 원래 이름 말이야? 혹시 박사는 아나사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거야? >그래도 로도스 아일랜드에서는 계속 지에윈이란 이름을 쓰고 싶어. 난, 사부님이 지어준 이 이름이 마음에 들거든. >----- >- 획득 시 대사 중국의 [[모바일 게임]] [[명일방주]]의 캐릭터. == 설정 == ||
{{{#2e2e2e,#dddddd 웨이보 소개}}} || || 원문 링크 || || 한국어 공식 소개 ,,(없으면 비공식 번역),, || ||“내 원래 이름 말이야? 혹시 박사는 아나사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거야? 그래도 로도스 아일랜드에서는 계속 지에윈이란 이름을 쓰고 싶어. 난, 사부님이 지어준 이 이름이 마음에 들거든.” "야, 지에윈이랑 임무 나갈땐 이렇게 음식 많이 가져갈 필요 없어, 양념만 충분히 챙기면 돼." "저번 나갔을 때, 가지고 있건 건조식량을 물에 빠트려 못 먹어서, 다들 굶어죽을 것 같다는 공포에 빠졌던 중에......" "지에윈이 눈부신 동그란 빛을 가지고 숲속에서 나타났어. 마치 기적처럼!" "우리를 위해 가져온건......" "적절한 시기의 원조?" "어......그렇긴 해, 그녀 혼자서 거대한 들짐승 한 마리를 업왔어." || == 성능 == === 능력치 === {{{#!wiki style="word-break:keep-all;" ||<-4>
초기 → 초기 MAX → 1차 정예화 MAX → 2차 정예화 MAX (신뢰도) || ||[[파일:ak_HP.webp]] {{{-1 '''최대 체력'''}}} ||844 → 1056 → 1320 → 1650 ||[[파일:ak_RDP.webp]] {{{-1 '''재배치'''}}} ||느림 (80초) || ||[[파일:ak_ATK.webp]] {{{-1 '''공격'''}}} ||364 → 520 → 651 → 835 (+85) ||[[파일:ak_COST.webp]] {{{-1 '''배치 코스트'''}}} ||26 → 30 || ||[[파일:ak_DEF.webp]] {{{-1 '''방어'''}}} ||59 → 77 → 97 → 115 ||[[파일:ak_BLOCK.webp]] {{{-2 '''저지 가능 수'''}}} ||1 || ||[[파일:ak_RES.webp]] {{{-1 '''마법 저항'''}}} ||0 ||[[파일:ak_ASPD.webp]] {{{-1 '''공격 속도'''}}} ||느림 (2.8초) || ||<-4> 특성 || ||<-4> 적에게 광역 물리 대미지 || }}} ||<-5>
잠재능력 돌파 || || 2 || 3 || 4 || 5 || 6 || || 배치 코스트 -1 || 재배치 시간 -10초 || 배치 코스트 -1 || 재능 강화(공격력 +2%) || 배치 코스트 -1 || ||<-3>
공격 범위 || || 초기 공격 범위 || 1차 정예화 공격범위 || 2차 정예화 공격범위 || || [[파일:akn_lap_xia2.jpg]] || [[파일:ark_lap_met1.png]] || [[파일:ark_lap_met.jpg]] || ||<|2>
태그 || 원거리 || || 범위공격, 감속 || === 재능 === ||
재능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설명 || || 황야 초출[br](初出荒野) || 1차 정예화 || 첫 배치 때, 공격력 +8%, 배치 코스트 -1 || ||<-3> ↓ 2차 정예화 업그레이드 ↓ || || 황야 초출[br](初出荒野) || 2차 정예화 || 첫 배치 때, 공격력 +13%, 배치 코스트 -3 || === 정예화 === ||<-5>
1차 정예화 || ||<-5> 개선 {{{#3366ff 내용}}} 패널티 {{{#ff3300 내용}}} || ||<-5> 소모 재료 || ||<|2> [요구 레벨]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저격 칩.png]][br]스나이퍼 칩 || [[파일:폴리에스테르.png]][br]폴리에스테르 || [[파일:설탕.png]][br]포도당 || || 20000 || 4 || 4 || 3 || ||<-5>
2차 정예화 || ||<-5> 개선 {{{#3366ff 내용}}} 패널티 {{{#ff3300 내용}}} || ||<-5> 소모 재료 || ||<|2> [요구 레벨] || [[파일:용문화.png]][br]용문폐 || [[파일:저격 듀얼 칩.png]][br]스나이퍼 듀얼 칩 || [[파일:케톤 진열장.png]][br]아케톤 팩 || [[파일:RMA70-12.png]][br]RMA70-12 || || 120000 || 3 || 7 || 11 || === 스킬 === ||<-5>
'''{{{+1 앞길 탐색(探前路)}}}''' || ||<-4> 자동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skill_icon_skchr_bdhkgt_1.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lSqK_p-Pk,width=100%)]}}} || || 스킬 레벨 || 소모 SP || 배치 시 SP || 지속 시간 || 효과 || || 1 || 30 || 0 || 30초 || 공격력 {{{#007FFF +25%}}}, 공격 속도 {{{#007FFF +20}}} || || 2 || 30 || 0 || 30초 || 공격력 {{{#007FFF +30%}}}, 공격 속도 {{{#007FFF +20}}} || || 3 || 30 || 0 || 30초 || 공격력 {{{#007FFF +35%}}}, 공격 속도 {{{#007FFF +20}}} || || 4 || 30 || 5 || 30초 || 공격력 {{{#007FFF +40%}}}, 공격 속도 {{{#007FFF +20}}} || || 5 || 30 || 5 || 30초 || 공격력 {{{#007FFF +45%}}}, 공격 속도 {{{#007FFF +20}}} || || 6 || 30 || 5 || 30초 || 공격력 {{{#007FFF +50%}}}, 공격 속도 {{{#007FFF +20}}} || || 7 || 30 || 10 || 30초 || 공격력 {{{#007FFF +55%}}}, 공격 속도 {{{#007FFF +20}}} || || 8 || 30 || 10 || 30초 || 공격력 {{{#007FFF +60%}}}, 공격 속도 {{{#007FFF +20}}} || || 9 || 30 || 10 || 30초 || 공격력 {{{#007FFF +70%}}}, 공격 속도 {{{#007FFF +20}}} || || 10 || 30 || 15 || 30초 || 공격력 {{{#007FFF +80%}}}, 공격 속도 {{{#007FFF +20}}} || ||<-5>
'''{{{+1 과거의 먼지(掷旧尘)}}}''' || ||<-4> 공격 회복 || 수동 발동 || ||<-2> [[파일:skill_icon_skchr_bdhkgt_2.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WvcotEfa8,width=100%)]}}} || || 스킬 레벨 || 소모 SP || 배치 시 SP || 지속 시간 || 효과 || || 1 || 20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8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2 || 20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9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3 || 20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95%}}}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4 || 15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0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5 || 15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1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6 || 15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15%}}}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7 || 12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2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8 || 11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25%}}}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9 || 10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30%}}}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10 || 8 || 0 || 15초 || 공격을 {{{#FF0000 중지하고}}} 전방에 차크람을 투척한다; 차그람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멈추며, 스플래시 범위 {{{#007FFF 확대}}}, 매 초마다 주위에 {{{#007FFF 145%}}}의 물리 대미지를 입히고 이동 속도 {{{#007FFF -50%}}} || ||
{{{#!folding 스킬 업그레이드 재료 ▼ ||
업그레이드 레벨 ||<-2> 공통 || ||<|2> 1→2 ||<-2> [[파일:기술개요 1권.png]] || ||<-2> 4 || ||<|2> 2→3 ||<-2> [[파일:기술개요 1권.png]] [[파일: 다이케톤.png]] || ||<-2> 4, 5 || ||<|2> 3→4 ||<-2>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 장치.png]] || ||<-2> 6, 2 || ||<|2> 4→5 ||<-2>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 고원암.png]] || ||<-2> 6, 8 || ||<|2> 5→6 ||<-2> [[파일:기술개요 2권.png]] [[파일: 케톤 세트.png]] || ||<-2> 6, 4 || ||<|2> 6→7 ||<-2>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열합금.png]] [[파일: 케톤 세트.png]] || ||<-2> 6, 3, 3 || || 마스터리 || 방법 탐색 || 과거의 먼지 || ||<|2> 7→8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크리스탈 회로.png]] [[파일: 반자연 용제.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이철 덩어리.png]] [[파일: 크리스탈 소자.png]] || || 5, 3, 1 || 5, 3, 1 || ||<|2> 8→9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정제된 용제.png]] [[파일: 정제원암.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개량장치.png]] [[파일: 오수연마석.png]] || || 6, 3, 7 || 6, 3, 4 || ||<|2> 9→10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소결핵 응집 결정.png|width=25%]] [[파일: 케톤 진열장.png]] || [[파일:기술개요 3권.png]] [[파일: 중합제.png]] [[파일: 열합금 덩어리.png]] || || 10, 4, 3 || 10, 4, 4 || }}} || === 인프라 스킬 === ||
스킬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효과 시설 || 설명 || || 고대 주술[br](원문명) || 초기 || 제조소 || 제조소 배치 시, [속세의 불꽃] 5점마다 [주술 결정] 1점으로 변환 || ||
스킬 이름 || 잠금 해제 조건 || 효과 시설 || 설명 || || 흥망성쇠[br](원문명) || 초기 || 제조소 || 제조소 배치 시, [주술 결정] 1점마다 생산력 +1% || ||<-4> ↓ 2차 정예화 업그레이드 ↓ || || 흥망성쇠[br](원문명) || 2차 정예화 || 제조소 || 제조소 배치 시, [주술 결정] 1점마다 생산력 +2% || === 모듈 === ||<-2>
[[파일:art-y.png]][br] '''ART-Y''' ||<-2> '''돌멩이[br](小石头)''' || || 1 || 체력 +100[br]공격 +37 ||<-2> '''특성 추가'''[br]{{{#007FFF 적의 방어력 100 무시}}} || || 2 || 체력 +150[br]공격 +52 ||<-2> '''재능 [광야로의 첫 걸음] 개선'''[br]첫 배치 때, 공격력 {{{#007FFF +16%}}}(+3%), 배치 코스트 -3 || || 3 || 체력 +180[br]공격 +65 ||<-2> '''재능 [광야로의 첫 걸음] 개선'''[br]첫 배치 때, 공격력 {{{#007FFF +18%}}}(+5%), 배치 코스트 -3 || ||<-2> 모듈 미션 ||<-2> 1. 비지원 지에윈으로 누적 피해량 100000 달성[br]2. 메인 스토리 S2-2 스테이지를 ★3 평가로 클리어, 비지원 지에윈 편성 및 출전 필수, 지에윈으로 적 최소 10명 이상 섬멸 || ||<-2><|2> 개방 시 필요한 조건 ||<|2> 모든 모듈 미션 완료[br]2차 정예화 레벨 50 이상[br]신뢰도 100% 이상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깁사이트.png]] [[파일:용문화.png]] || || 2, 3, 40000 || ||<-2><|3> 업그레이드 시 필요한 조건 || Stage2 || Stage3 ||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데이터 보충 조각.png]] [[파일:이철 덩어리.png]] [[파일:용문화.png]] || [[파일:모듈 데이터 블록.png]] [[파일:데이터 보충 기구.png]] [[파일:케톤 진열장.png]] [[파일:용문화.png]] || || 2, 20, 4, 50000 || 2, 8, 5, 60000 || ||<-5> {{{#!folding 모듈 이미지 / 스토리 [▼] ||
[[파일:jieyun_modY_image.png|width=50%]] || || 기본 정보 || ||해가 지면 내일 아침에 다시 동쪽에서 떠오르고 달이 뜨면 내일 아침에 다시 서쪽에서 떨어지네 사막에 틈이 가득 갈라지면 내년에 비가 이를 적시겠지 사막의 헛개나무가 말라 죽으면 지하의 샘물이 이를 살리겠지 어머니, 눈물을 흘리지 마세요 옷소매가 눈물에 적셔질 테니 아버지, 이맛살을 찌푸리지 마세요 내 옷에 담배 냄새 배게 될 테니 오라버니, 오라버니 피리 그만 좀 부세요 이 길이 불안해 갈 수 없을 테니 장래에 어여쁜 꽃이 되어 어머니 귀밑머리에서 웃고 있을게요 장래에 강한 짐승이 되어 아버지를 태우고 먼 동쪽으로 갈게요 오라버니, 오라버니 피리를 좀 더 불어주세요 장래에 작은 돌멩이가 되어 바람 불면 빙그르르 굴러와 오라버니 곁에서 맴돌 거예요 ——염국 북서부에 사는 아나사 부족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래. 가족이나 친구가 세상을 떠나면 부족 전체가 그들이 묻힌 곳에서 이 노래를 부른다고 한다. 로도스 아일랜드에 온 후, 환자가 죽을 때마다 지에윈은 갑판에서 죽은 자들을 위해 이 노래 불렀다. || }}} || === 평가 === [[등림의]] 이벤트에서 배포되는 5성 포격사수 오퍼레이터. 2스킬의 메커니즘이 독특한 편이고 장거리 물리 딜링과 감속 효과를 동시에 가할 수 있지만, 어느 쪽도 딱히 특출나지는 않아서 성능적으로 주목받는 오퍼레이터는 아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000000 '''재능'''}}}}}}은 해당 작전에서 처음으로 배치할 때 공격력 증가와 배치 코스트 감소 효과를 얻는 것. 한 자리에 눌러앉아서 끝까지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면 무난하게 좋은 재능이지만, 퇴각 후 재배치가 필요해지는 상황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1스킬'''}}}}}}은 공격력과 공격 속도가 증가하는 단순한 스킬이다. 스킬 효율은 공용 스킬인 신속공격γ보다 소폭 높은 정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793f;" {{{#ffffff '''2스킬'''}}}}}}은 [[시라유키(명일방주)|시라유키]] 2스킬과 [[피아메타]] 3스킬을 합친 듯한 스킬로, 전방 3칸 앞 위치에 차크람을 던져서 그 주변에 지속적으로 물리 대미지와 이동 속도 감소를 가한다. 스플래시 범위는 반경 1.3칸 정도로 보기보다 넓다. 공격 회복 스킬이라 스킬 회전율이 떨어지는 편이므로 [[아르케토]]나 [[첸(명일방주)|첸]]으로 SP 보조를 받으면 좋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f0;" {{{#ffffff '''인프라'''}}}}}}는 '속세의 불꽃'에 비례해서 제조소 생산력을 얻는 효과. 속세의 불꽃 조합에 대해서는 [[총웨]] 문서를 참고. 조합을 전부 갖출 경우 생산력 +30%가 되는데, 제조소 최상위 조합 기준으로 딱히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특수 조합을 활용하면서 겸사겸사 배치한다고 생각하면 무난하게 쓸 수는 있는 정도의 효율이다. 추후 쉐이 오퍼레이터가 더 추가된다면 +32%까지 가능해진다. 이후 '주술 결정' 관련 인프라 스킬이 추가된다면 고효율이 될것이라 기대해볼만 하다. == 오퍼레이터 상세 기록 == ||
잠재력 상승 증표 || || || ||
계약 || || || ||
임상 진단 분석 || || || ||
파일자료 1 || || || ||
파일자료 2 || || || ||
파일자료 3 || || || ||
파일자료 4 || || || ||
승진 기록 || || || == 스킨 == ||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설명 || || (인게임 상점 설명, 웨이보 설명 원문) (번역) || == 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n83jPetYQ8)]}}} || || {{{#fff 보이스 }}} || ||
상황 || 대사 || || 어시스턴트 임명 ||[[박사(명일방주)|당신]]을 지키겠어. 그렇게 약속했으니까. 근데 이 문서에 쓰여있는 글씨들을······ 이해하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지만······ 뭐, 열심히 할게. || || 대화 1 ||황야에서 생활하려면 언제나 조심해야 해. 부싯돌은 늘 두 개씩 챙기고, 호신용 검 한 자루랑 물을 정화하기 위한 천도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지. 불에 타기 쉬운 물건은 사무실에 들일 수 없다고? 하지만 정전이라도 되면 어쩌려고? || || 대화 2 ||사부님은 우리에게 무술을 가르쳐 주셨고, 재앙을 피해 밭을 일궈 식량을 비축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셨어. 덕분에 우린 더 이상 떠돌아다니며 생활하지 않아도 되게 됐지. 사부님은 뭐든지 다 알고 있는 사람 같았어. 박사처럼 말이야. 난 사부님이나 박사 같은 사람이 될 수 없겠지만, 그래도 너희를 지키고 더 많은 사람들을 돕고 싶어. || || 대화 3 ||부족 대이동을 할 때가 되면 정말 살기 좋은 곳을 찾을 수 있을지 다들 불안해했어. 하지만 [[명일방주/설정#s-3.3.2|이동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하나도 무서워하지 않는 것 같아. 그들에게 이동이란······ 새로운 고향을 찾는 게 아니라, 고향과 함께 방랑하는 느낌이려나······? || || 1차 정예화 후 대화 ||광석병은 우리 부족에서도 흔했어. 우린 그냥 몸에 난 돌이 황야에서 파는 보석이랑 많이 닮았다고만 생각했는데······ 이 세상엔 이미 사람의 생명을 쉬이 앗아가는 것들이 많은데······ 어째서 사람들은 하나의 병을 이유로 타인을 해치려는 걸까. || || 2차 정예화 후 대화 ||‘아나사’는 뿔이 없는 사람이란 뜻이야. 부족 사람들은 [[무소유|내려놓지 못할 게 없다]]면, 자연스레 번뇌에 사로잡히는 일도 없을 거라고 말했어. 하지만······ 부족을 떠나 내가 만났던 모든 사람들은 다들 어떤 집념을 가지고 있는 듯했지. 나? 은혜를 갚고 싶은 마음도 집념이란 거야?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1 ||천리에 비를 뿌리던 구름도 이 산에 막혀 날이 갰구나. 이건 사부님께서 처음 가르쳐 준 염국의 시야. 내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지. 오랜 시간 떠다녔던 구름이 마침내 산에 가로막혀서 더 이상 갈 곳 없이 떠돌지 않게 됐다는 의미야. 사람은 누구나 집이라고 부를만한 곳이 필요하다라고 사부님이 말씀하셨어.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2 ||그 무공이 엄청난 [[총웨|사람]]도 여기 있구나. 예전에는 매정하고 의리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야 깨달았어. 오랜 시간 살았어도 아직 갈 길이 먼 사람은 많은 것들을 짊어지고 갈 수 없다는 걸 말이야. 사부님도 아마 그렇게 생각했을 테지. || || 신뢰도 상승 후 대화 3 ||가끔 멀리서 재앙이 지나가면 깨끗한 밤하늘을 볼 수 있어. 먼 곳에서부터 바람도 불어오고 별은 마치 손을 뻗으면 닿을 것처럼 가까워 보이지. 모닥불을 피우면 짐승들도 다가오지 않고 노래를 부르다 보면 추위도 잊을 수 있어. 황야는 위험하지만 무섭진 않아. || || 방치 ||박사, 이제 쉬는 거야? 그럼 [[불침번]]은 내가 서도록 할게. || || 오퍼레이터 입사 ||내 원래 이름 말이야? 혹시 박사는 아나사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거야? 그래도 로도스 아일랜드에서는 계속 지에윈이란 이름을 쓰고 싶어. 난, 사부님이 지어준 이 이름이 마음에 들거든. || || 작전 기록 학습 ||전쟁의 이치는 어디서나 변치 않는 법이지. || || 1차 정예화 (승진) ||익숙했던 황야를 떠나 나도 점점 많은 것들에 익숙해지고 있어. 네가 날 신뢰하고 있다면 나도 더 많은 것들을 해보고 싶어. 일낙천금이란 말처럼 말이야. || || 2차 정예화 (승진) ||세상 일은 알 수 없는 법이니까 나도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될지에 대해선 아직 고민해 본 적 없어. 하지만 로도스 아일랜드라면 분명 많은 이들의 집이 되어줄 수 있겠지······ 고마워, 박사. || || 팀 배치 ||맡은 일은 반드시 해낼 거야. || || 팀장 임명 ||놓치지 않게 잘 따라와. 황야에서 길을 잃으면 아주 위험하니까. || || 작전 출발 ||모두 무사히 돌아오도록 하자. || || 작전 개시 ||모래바람이 모든 흔적을 지울 순 없지. 여긴 뭔가 의심스러워. || || 오퍼레이터 선택 1 ||알겠어. 네가 말한 건 전부 기억해뒀어. || || 오퍼레이터 선택 2 ||내가 가게 해줘. || || 배치 1 ||사시나무들의 위치를 기억해두면 길을 잃지 않을 거야. || || 배치 2 ||근처에 돌을 쌓아 표시를 남길게. || || 작전 중 1 ||너희들은 패배하면 바로 포기하는 거냐? || || 작전 중 2 ||멋대로 남의 집에 쳐들어오다니! || || 작전 중 3 ||돌아갈 수 없다면 너희 가족들도 슬퍼할 거야. || || 작전 중 4 ||황야의 작은 언덕들이 또 늘어나겠네. || || 4★ 작전 종료 ||모든 것이 모래바람에 묻히고 나면 저들을 기억해 줄 사람이 있을까? || || 3★ 작전 종료 ||나도 박사의 전술을 배울 수 있다면 분명 부족 사람들의 집을 지킬 수 있겠지? || || 비 3★ 작전 종료 ||사부님은 무슨 일이든지 해냈느냐보단 그 일로부터 도망치지 않고 최선을 다했는지가 중요하다고 했어. 박사, 우린 이미 충분히 잘 싸웠다고 생각해. || || 작전 실패 ||거, 걱정하지 마. 돌아가는 길은 기억하고 있으니까. 지금 철수해도 늦지 않을 거야. || || 시설에 배치 ||어두운 곳도 계속 있다 보면 적응할 만한······ 어? 밝아졌다. || || 터치 ||조심해, 박사. 날 노리는 짐승으로 착각할 뻔했잖아. || || 신뢰도 터치 ||박사, 네 발소리는 잘 알고 있어. || || 인사 ||박사, 바람 쐬러 가지 않을래? || == 기타 == * 이름 중 "윈"에 대해 비공식 번역으로 한국 커뮤니티에서 널리 쓰이던 "윤"이라는 표기는 병음 로마 문자 표기 "yun"을 한국에서 흔히 읽히는 발음으로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일본어 번역 표기인 "[[https://www.arknights.jp/news/342|ジエ'''ユ'''(유)ン]]"이 영향을 준 것으로도 보인다. 일본에서 중국어 병음 표기 "yun"을 가타카나로 치환할 때 쓰이는 방식은 "イン(인)"과 "ユン(윤)" 양쪽 모두 유효하여 병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 [[https://fimi.info/pinyin/onsetu/|"イン(인)"으로 정의한 경우]], [[https://cn.heibonsha.co.jp/media.pdf|"ユン(윤)"으로 정의한 경우]]][* 혹시나 해서 추가로 첨언해두지만, [[외래어 표기법/중국어#s-2.1|중국어 병음 표기의 한글 표기법]]에서도 [[https://law.go.kr/LSW/admRulLsInfoP.do?chrClsCd=&admRulSeq=2100000080513#|'''윈'''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해당 페이지의 첨부파일 참조), 비공식 번역은 실제 발음은 물론이고 외래어 표기법조차도 고려하지 않은 명백한 오류이다.] '''구름 운''', 즉 "雲(정자)/云(간체)"의 한어병음 표기는 "'''yún'''"으로서, 한글로 최대한 가깝게 받아적으면 "윈"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실제 발음은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위" 발음과는 조금 다르다.[* 현대 한국어에서 "위"의 발음은 /ɥi/ 혹은 /wi/ 등의 평순 이중모음 발음으로 변해가는 중이지만, 중국어의 "ü" 발음은 독일어 등과 같이 '''둥근 입술을 끝까지 유지'''하는 원순 단모음 /y/ 발음이다.] 중국어 병음 표기에서 /y/ 발음의 표기는 초성 자음, 즉 성모가 있을 때 "ü", 성모가 없을 때 반모음 글자를 넣어 "yu"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초록 绿(록)자의 병음 표기는 "l'''ü'''(뤼)", 고기 鱼(어) 자의 병음 표기는 "'''yu'''(위)"가 된다. (绿 자의 /y/ 발음을 성조를 넣어 ǜ로 표기하면 문자가 뭉개져 잘 안 보이는 관계로 양쪽 모두 성조 표기를 뺀 글자로 대신함) / 그밖에 j, q, x 등 설면음 자음값이 ü의 앞에 선행하는 때에도 변모음 표시를 떼어내어 u로 표기하지만 이 역시 발음은 유지된다. (예: 去(qù)의 발음은 "추"가 아닌 "취")] 즉, ü와 yu는 둘 다 같은 발음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명일방주/오퍼레이터)] [include(틀:명일방주/배포 오퍼레이터, 배포순서=39, 배포일자1=2022.12.15, 이벤트1=불로 비춰주소서, 대원1=퍼즐, 배포일자2=2023.01.17, 이벤트2=등림의, 대원2=지에윈, 배포일자3=2023.03.07, 이벤트3=불을 쫓는 낙엽, 대원3=테라 대륙 조사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에윤, version=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