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이 문서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음악들을 정리하는 문서로써, 제목이나 가사에 지역명이 포함되거나 암시될 때 추가한다. 응원가 항목과 상당수 중복되지만, 지역별 대표음악은 성격이 다르므로 삭제를 삼간다. [[작품에 등장하는 실존 지명/한국]] 항목과 연동해서 보면 좋다. [목차] == 국내 ==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 ==== [[서울특별시]] ==== * [[검정치마]] - 내 고향 서울엔 * [[김건모]] - [[서울의 달]] * [[김흥국]] - 59년 왕십리 * [[동물원(밴드)|동물원]] - 혜화동, 시청 앞 지하철 역에서 * [[루이스]] - [[중화반점]] : "서울 마포구 아현동 중화반점~" * [[문주란]] - 김포가도[* 문주란의 공항 3연작 중에서 유일하게 [[김포공항]]임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곡이다.][* 현재의 경기도 [[김포시]]가 배경이 아니다. 김포가도는 김포공항에서 [[영등포구]] [[신길동(서울)|신길동]] 사이의 도로로서, 현재는 [[공항대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 [[문희옥]] - 강남멋쟁이, 사랑의 거리(여기는 '''남서울 영동'''~") * [[바니걸스]] - 김포공항 * 방병영 보이즈 - 나는 환승역이었네: 서울의 환승역들이 줄줄이 나온다.[* 가사 내용은 자신은 환승역처럼 갈아타는 대상이었다는 넋두리.] * [[버스커버스커]] - 서울 사람들 * [[배호]] - 돌아가는 삼각지, 비 내리는 명동거리, 안개 낀 [[장충단공원]] * [[설운도]] - [[나침반(설운도)|나침반]]: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떠날까요 ~ " * [[심연옥]] - 한강 * [[싸이]] - '''[[강남스타일]]''' * [[아이유]]X[[서태지]] - 소격동 * [[유재석|유산슬]] - 합정역 5번 출구 * [[은방울자매]] - 마포종점 * [[이문세]] - [[광화문 연가]] * [[이미자]] - 서울이여 안녕 * [[이용(가수)|이용]] - 서울 * [[이은하]] - 지하철을 타고: "'''[[종로]]에서 [[금천구청역|시흥]][* [[시흥시]](곡이 발표된 1986년 당시는 시흥군)가 아닌 [[시흥동(서울)]]을 가리킨다.]까지~/[[남영역|남영]] 지나 [[용산역]]에 도착하니~'''" * [[이효리]] - 서울 * [[이해연]] - 단장의 미아리고개 * [[일기예보]] - 좋아 좋아: "룰루랄라 '''신촌'''을~" * [[자우림]] - 일탈: "'''신도림''' 역 안에서~" * 장철웅 - 서울 이곳은[* 드라마 [[서울의 달]] OST] * [[정형돈]] - [[강북멋쟁이]] * [[조용필]] - 서울 서울 서울 * [[조항조]] - 사랑찾아 인생찾아: '''서울 하늘 하늘 아래서''' 내 꿈도 가까이 온다~ * [[주현미]] - 비 내리는 영동교, 신사동 그 사람 * 채규엽 - 서울 노래 * [[무한도전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처진 달팽이]] - 압구정 날라리 * [[토이]] - 오늘 서울은 하루종일 맑음 * [[포스트맨(가수)|포스트맨]] - 신촌을 못가 * [[패티김]] - [[서울의 찬가]], 서울의 모정 * [[한혜진(가수)|한혜진]] - 서울의 밤 * [[현인]] - 럭키서울, 서울야곡 * [[형돈이와 대준이]] - [[올림픽대로]] * [[혜은이]] - [[제3한강교]][* 현재의 [[한남대교]]] * [[UV]] - 이태원 프리덤 * [[Zion.T]] - [[양화대교]] * [[015B]] - 1월부터 6월까지: "'''이촌동''' 그 길~" * 5월 - 종로에서 * [[경복궁타령]] * 우리의 서울 * 한강찬가(영화 '괴물' OST) * 박은옥 - 서울의 달 * [[최헌]] - HI SEOUL * [[최희준]] - 진고개 신사 * [[나훈아]] - 남자의 인생 ==== [[인천광역시]] ==== * [[김트리오]] - '''[[연안부두]]''' * 박경원 - 이별의 인천항 * [[보이비]] - [[현대 유니콘스]]: "그 땐 많은 것들이 달랐지 인천에는 [[인천 도시철도|지하철]]도 없었네~" "토요일이면 난 친구들과 [[도원야구장]] 앞에 서서~" * [[주현미]] - 내고향 인천항, 월미도를 아시나요 * [[UV]] - [[인천대공원]] * ~~성냥공장 아가씨~~: "인천의 성냥공장~ 성냥공장 아가씨~"[* 주로 군대에서 전래된 구전가요다. 참고로 '''가사가 상당히 외설적이다.'''] * ~~[[서영춘]] - 원자폭소대잔치~~: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 [[경기도]] ==== * [[이미자]] - 수원처녀[* 뭐 이런 노래가 있나 싶겠지만 1960년대에는 각 도시마다 돈주고 이런 지역 들어가는 노래들을 하나씩 찍어내는 게 유행이었다.] * 개성 난봉가(박연폭포)[* 정서적으로 수도권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현대곡이 아닌 민요이므로 수도권에 기재.] * [[아리랑|경기 아리랑]] * [[악동뮤지션]] - DINOSAUR[* 나의 옛날 동네가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이다.] === 강원도 === * [[강원도 아리랑]] * [[정선 아리랑]] * 김태희 - [[소양강 처녀]] * 동요 '[[금강산]]' * 가곡 '[[그리운 금강산]]' * [[야호 나는 대관령이 좋아]] * --[[관동별곡]]-- * [[양희은]] - [[한계령]] === 충청도 === * 금잔디 - 청풍명월 * 김하정 - 금산 아가씨 * 박경원 - '''만리포 사랑''' * [[박재홍(가수)|박재홍]] - '''울고 넘는 박달재''' * [[남상규]] - 추풍령 * [[버스커 버스커]] - 벚꽃엔딩[* 후술한 꽃송이가와 [[신부동|같은]] [[안서동|동네]]를 배경으로 쓴 노래이다. 뮤비에 나온 학교의 교복으로 알 수 있다.], 꽃송이가[* 노래 가사 중 [[단대호수]]가 등장한다.], 야우리송[* '야우리'는 '야, 우리'와 원래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터미널]]에 있던 '야우리백화점'을 함께 가리키는 중의적 표현. 원래 백화점 이름 자체가 그런 중의성을 노린 것이었고.] * [[송춘희]] - 수덕사의 여승 * [[안정애]] - '''대전 부르스''' * [[오기택]] - 충청도 아줌마 * 이인권 - 꿈꾸는 백마강 * [[조미미]] - 서산 갯마을 * [[조영남]] - '''[[내 고향 충청도]]''', 삽다리 * 주병선 - '''[[칠갑산]]''' * [[허민(1929)|허민]] - 백마강 * 흥타령[* 천안 삼거리 흥~ 하는 부분으로 유명한 [[민요]]로 보통 흥타령이라기 보단 '천안 삼거리' 라는 제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천안삼거리]]문서 참조.] === 경상도 === * [[박재홍(가수)|박재홍]] - 경상도 아가씨 * [[황정자]] - 처녀 뱃사공 : "낙동강 강바람이 치맛폭을 스치면~" * 최숙자 - 나룻배 처녀 : "낙동강 푸른에 노 젓는 처녀 사공~" ==== 부산광역시 ==== * 강병철과 삼태기 - 항구의 일번지 * 고봉산 - 용두산 엘레지 * [[김수희]] - 남포동 부르스 * [[나훈아]] - 내 고향은 부산입니더, 자갈치 아지매 * [[남인수]] - 울며 헤진 부산항, '''[[이별의 부산정거장]]''' * 문성재 - '''[[부산 갈매기]]''' * 백야성 - 잘 있거라 부산항 * [[손인호]] - 해운대 엘레지 * [[레게 강 같은 평화]] - 부산 바캉스 * [[윤시내]] - '''[[부산찬가]]'''[* [[부산광역시]]의 '''시가(市歌)'''로 지정되어 있다.] * [[조용필]] - '''[[돌아와요 부산항에]]'''[* 원래는 다른 사람이 부른 '돌아와요 충무항에'였는데 조용필이 리메이크할 때 바뀌었다.] * [[현인]] - [[굳세어라 금순아]]: "이 내 몸은 '''[[국제시장]]''' 장사치기다" * 이혜리 - 자갈치 아지매 * 현당 - 태종대의 밤[* 이호섭 작곡이라서 그런지 이호섭이 부른 버젼도 있다.] ==== 대구광역시 ==== * 김수찬 - 대구 아가씨 * [[리듬파워]] - 동성로 * 유유정 - 내 사랑 팔공산 * 장민 - 대구 머스마 * 조은성 - 팔공산아 * [[패티김]] - 능금꽃 피는 고향 : “대구는 내 고향 정다운 내 고향’’ * [[현인]] - [[비내리는 고모령]] ==== 울산광역시 ==== * 김상희 - 울산 큰애기 * [[오은정]] - 울산 아리랑 * [[황금심]] - 울산 아가씨[* 경기도 민요이기도 함.] ==== 경상남도 ==== * [[노브레인]] - [[마산 스트리트]] * [[밀양 아리랑]] * 진주난봉가 * [[송창식]] - 밀양 머슴 아리랑 * 무안 [[용호놀이]] * [[박재홍(가수)|박재홍]] - 돌아가자 하동포구 * 나현재 - 통영 아가씨 ==== 경상북도 ==== * 이시스터즈 - '''울릉도 트위스트''' * 이화자 - 가거라 초립동: "문경새재 넘어간다~" * [[정광태]] - '''[[독도는 우리땅]]''' * 진성 - '''안동역에서''' * [[최백호]] - '''[[영일만 친구]]''' * [[현인]] - '''[[신라의 달밤]]''', 불국사의 밤 * 홍인숙 - 부석사의 밤 === 전라도 === * [[김수희]] - '''[[남행열차]]''' * [[손인호(가수)|손인호]] - 비내리는 호남선 ==== 전라남도 ==== * [[버스커 버스커]] - '''여수 밤바다''' * [[이난영]] - '''[[목포의 눈물]]''', 목포는 항구다, 해조곡 * [[이미자]] - 낭주[* 영암의 옛지명이 낭주이다]골 처녀 : "월출산 신령님께 소원 빌었네~" * [[|이미자]] - 동백꽃 피는 항구 : 진남관, 돌산, 장군섬, 오동동다리 등 여수 주요 지명이 등장 * [[이미자]] - 유달산아 말해다오 * [[이미자]] - 흑산도 아가씨 * [[손인호(가수)|손인호]] - 눈물의 목포항 * 최정자 - 목포의 설움 * '''[[진도 아리랑]]''' * [[하춘화]] - '''영암 아리랑''' * [[남진]] - 내 사랑 고흥 * ~~[[엘튼 존]] - [[Circle of Life|나주평야 발발이 치와와]]~~ * 조도닻배노래[* 조오환이 예능 보유자다.] * 진도상여소리 - 진도의 전통 장례음악. * 진도씻김굿 - 진도의 전통 장례음악. * 진도다시래기 * 진도 방아타령 * 진도 [[강강술래]][* 선소리꾼으로 무형문화제 조공례 명창이 유명하다.][* 박병천도 관련이 있는 노래다.] * 진도 둥덩기 타령 * 진도 오곡 타령 ==== 광주광역시 ==== * [[정희라]] - [[무등산관광]] * ~~[[광주출정가]]~~ ==== 전라북도 ==== * [[배호]] - 남원의 애수 * 황정자 - 남원의 봄사건 * 남원산성(민요) * ~~[[나훈아]] - 고향역~~[* 직접적으로 지역을 가리키는 단어가 나오지 않아서 취소선을 쳤지만, 이 노래를 작곡한 작곡가 임종수의 고향은 전북 익산시 황등면인데 [[황등역]]에서 [[익산역]]으로 통학할 때가 생각나서 만든 노래로 사실상 익산을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한때 익산역에서도 구내방송으로 이 노래가 나온 적이 있다.] === 제주도 === * 조미미 - 서귀포를 아시나요[* 원곡은 오은주의 내고향 서귀포이다. 하지만 원곡은 평범한 인지도였지만 조미미의 버젼이 엄청 유명해져 버려서 조미미라고 적힌듯 하다.] * 최성원 - '''제주도의 푸른 밤'''[* [[유리상자]], [[성시경]], [[태연]]이 각각 리메이크 곡 부름. 이후 [[오연준]]이 2017년 5월 20일에 리메이크.] * 황금심 - 삼다도 소식 * [[혜은이]] - '''감수광''' : 제목부터 가사 일부가 제주 사투리. 이 노래를 부른 [[혜은이]]의 태생지도 제주도다. * [[이어도사나]] 또는 [[이어도]] - 해녀들이 물질 나갈때 노 젓는 소리 (자세한건 항목 2 참고.) * [[너영나영]][* 신민요or구전민요로 추정된다. 이유는 경기도 민요의 창법,가락을 모방하여 만들었다고 추정해서이다. 그러므로 가사를 제외하면 순수 제주도 느낌의 노래는 아닐수도있다.] * [[영주십경가]][* 가사에 제주도 명승지가 많이 등장한다.] * 검질매는 소리 (김매는 사대 소리) - 제주도의 전통 농업요[* 검질은 밭의 제주도 방언이다.][* 예능보유자는 이명숙 명창이다. 이분의 유일한 정규이자 유작격 음반인 이명숙 명창의 제주민요에서 들을수있다. 다만 CD로만 들을수있다.] * 멜 후리는 소리 - 제주도에서 멸치 잡을때 부르는 노래.[* 멜은 멸치의 제주도 방언][* 안복자 선생이 이노래의 명창으로 알려져있다.] === 평안도 === * [[나훈아]] - 대동강 편지, 평양 아줌마 * 손인호 - 한많은 대동강 * [[유세윤]] - [[평양냉면]] * 최갑석 - 평안도 사나이 === 함경도 === * [[강산에]] - 라구요... : "두만강 푸른물에~" "눈보라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부두~"[* 흔히 두만강변이 고향인 1절의 아버지 이야기만 알려져 있는데 2절에서는 흥남부두가 고향인 어머니 이야기가 나온다.] * [[김정구]] - '''[[눈물젖은 두만강]]''' * [[대홍단 감자]][* 북한 당국의 선전노래지만 워낙 유명하므로 별도 기재함.] * 현인 - '''[[굳세어라 금순아]]''' : "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 부두에~" * [[신고산타령]] === 황해도 === * [[이애리수]] - [[황성옛터]][* 황성은 개성 만월대를 가리킨다.] * [[몽금포타령]] * 연평도 난봉가[* 연평도는 현재는 인천광역시 소속이지만 원래 황해도 땅이었다. 현대곡이 아닌 서도민요이므로 황해도에 기재.] * 해주아리랑 === 기타 === * [[조영남]] - '''[[화개장터]]''' :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 [[김혜연(가수)|김혜연]]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 그 외에도 광주, 목포, 개성, 평양, 함흥 등의 도시도 등장. * [[애국가]] : 동해, 백두산, 남산 등 * [[윤도현]] - [[오 필승 코리아]] * [[정수라]] - [[아! 대한민국]] * [[방탄소년단]] - 팔도강산, 어디에서 왔는지, Ma City 등 일부 노래. [* 팔도강산과 어디에서 왔는지는 랩 가사가 경상도와 전라도 사투리이고, Ma City는 멤버들의 고향이 대부분 언급된다.] * [[서수남]], 하청일 - 팔도유람 ~~전국을 누비는 노래~~ * [[송창식]] - [[고래사냥]] : 동해 * [[최남선]] - [[경부철도가]], 호남철도가, 경원철도가, 경의철도가 == 외국 == * 샹젤리제 * [[나스(래퍼)|나스]] - [[뉴욕 주|N.Y. State]] Of Mind * 돌아오라 [[소렌토]]로 * [[런던 보이즈]] - [[런던|London]] Nights * [[런던 보이즈]] - [[할렘|Harlem]] Desire * [[레너드 스키너드]] - Sweet Home [[앨러배마|Alabama]]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Dani [[캘리포니아|California]] * [[레이 찰스]] - [[조지아 주|Georgia]] on my mind * 베닐리 - Samba [[리우데자네이루|de Janeiro]][* 축구 경기에서 골을 넣을 때마다 BGM으로 쓰이는 노래 "삼바 이 골"이 이 노래의 원곡이다.] * [[비치 보이즈]] - Surfing [[USA]] * 스콧 맥켄지 -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 [[Owl City|아울 시티]] - Hello [[시애틀|Seattle]] * [[이글스]] - Hotel [[캘리포니아|California]] * 이시다 아유미 - ブルーライト・[[요코하마|ヨコハマ]] * [[카녜 웨스트]] - Homecoming [* 카녜 웨스트의 고향은 [[시카고]]다.] * [[케이티 페리]] - [[캘리포니아|California]] Gurls * [[패티 페이지]] - [[테네시|Tennessee]] Waltz * [[프랭크 시나트라]] - [[뉴욕|New York]], New York * [[JAY-Z|Jay-Z]] (feat. [[앨리샤 키스]]) - [[Empire State of Mind]] * [[존 덴버|John Denver]] - [[Take Me Home, Country Roads]] * [[백년설]] - 대지의 항구 : [[중국]]의 [[다롄|대련]]. * [[포크송]] - [[Rocky road to Dublin]] : [[아일랜드]]의 [[더블린]] [[분류: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