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탐라 군주)] [목차] == 개요 == 指雲王(483년 ~ 508년) [[탐라국]] 27대 왕. 지운왕이 즉위한 이후 [[고구려]]와 [[북위]]에 사신을 보내 특산물인 가([[진주]], [[마노]])를 조공한다. 그리고 498년 갑작스럽게 [[백제]]군이 탐라국을 치려고 무진군(武珍郡, 지금의 [[광주광역시]])까지 내려오려하자 탐라국에서 급히 사신을 보내 화의를 청한다. 이에 백제는 군대를 다시 회군시킨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백제가 이후 탐라국에 간섭하여 고구려, [[신라]]와의 외교를 끊은 걸 보면 탐라국을 복속시키는 데 성공한 듯 하다. 이후 내법좌평[* 백제 관직 16등급의 최상급인 6좌평의 하나로서 대신급이다.] 고진로(高眞老)[* 정사인 [[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아 존재가 불명확하다. 삼국사기에는 그 대신 이름이 비슷한 [[진로]](眞老)가 병관좌평으로 등장한다.]가 파견되어 탐라국의 산천 지형을 시찰한다 고구려 [[문자명왕]]대의 기록을 보면 북위에 사신 [[예실불]]을 파견해 탐라국이 복속에서 벗어나게 되었다는 보고를 올린다. 그렇다면 탐라국은 원래 백제의 산하에 있었다가 [[장수왕]]대에 고구려가 백제를 멸망에 가깝게 박살낼 때 겸사겸사 바닷길을 통해 복속시켰지만 백제가 중흥하자 다시 백제의 산하로 돌아가게 된 것이 된다. 또한 498년이면 마침 [[웅진성]]을 수도로 다시 백제를 중흥시킨 [[동성왕]]의 치세에 해당한다. [[분류:탐라국의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