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의 인명, rd1=지윤(인명))] [include(틀:고려사)] [목차] == 개요 == 지윤(池奫, ?~1377)은 고려 말의 관료이다. == 생애 == 문하찬성사판판도사사 지윤은 원외랑 벼슬을 한 지덕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당씨였다. 원외랑이란 고려때 정6품 직위이며 이부,병부,호부,형부,예부,공부등 6부와 상서고공,상서도관 등에 두었던 고급관리이다. 원외랑 지덕명의 지위로 보아 출생이 미천하다거나 병정출신이라는 설은 그를 폄훼하려는 의도이다. 지덕명의 묘는 풍덕에 있다. 또한 신순이 죽자 아들인 지익겸을 신순의 딸에게 장가들이면서 몰수된 신순의 집, 재산을 지익겸에게 줬고 [[이인임]], [[임견미]], [[염흥방]]과 함께 권력을 전횡했다. [[우왕]]의 유모인 장씨와 [[간통]]했고 지윤의 처와 장씨가 친해 궁중을 드나드는 것으로 인해 김속명이 이를 비난하자 지윤은 앙심을 품고 그를 탄핵해 유배보내게 했으며, 김승득으로부터 송제대가 장씨와 간통한 것으로 탄핵하려는 것을 듣고 송제대를 내치게 했다. 김승득, 김윤승 등을 심복으로 삼았고 지윤은 우왕의 탯줄을 예안에 안장하는 일을 주관했다가 유배 중인 지윤이 그 땅이 좋지 않다고 말하자 이 사실이 알려질까봐 두려워 김승득, 김윤승을 시켜 임박은 [[심왕]]을 고려왕으로 옹립하기 위해 [[북원]]의 중서성에 보내는 글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죄목을 뒤집어씌워 죽게 만들었으며, 이 일을 독단적으로 벌였기에 [[이인임]], [[경복흥]]이 못마땅해 했다. 또한 [[왜적]]이 전주를 공격한 일로 아들 지익겸을 원수로 삼으려 하자 불만을 품어 지윤은 차례대로 함께 상의하고 있는 [[최영]], [[이인임]]을 거론했으며, 요동을 공략하는 일을 내세워 전주에 대한 왜구를 막는 논의를 거부하면서 이 일로 이인임과 다투게 되면서 지윤은 자리에서 물러났다가 경복흥이 울면서 만류하자 경복흥에게 사과했다. 이 일로 인해 이인임이 병을 핑계로 집에 있을 때 그 집을 찾아가지도 않아 사람들은 그 둘의 다툼을 알게 되었으며, 어떤 사람이 지윤의 문객 김윤승 등이 이인임을 탄핵해 내쫓고 지윤을 시중으로 삼으려 한다는 글을 붙여 이인임, 지윤에게 알려졌고 지윤은 이인임의 집안 조카인 [[김상]]이 한 짓이라 했다. 김승득을 비롯한 지윤의 문객이 집에 모여 원나라 사신을 후대하면서 원나라의 연호를 쓰는 것은 어설픈 일이라 비판했다가 이 일에 대한 조사로 인해 지윤의 일당들이 유배당했으며, 순군 부만호로 있던 지윤은 이 일로 인해 이인임에게 공을 음해했다면 천벌을 받을 것이라 맹세할 정도였다. [[최영]]에게 구원을 요청하려고 했지만 실패했고 강은이 이인임에게 붙어 자신의 심복인 김윤승을 탄핵하면서 위험한 처지에 빠지자 김윤승의 말을 듣고 [[경복흥]], [[이인임]]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다가 실패했으며, 결국 김윤승, 지익겸과 함께 문초를 받은 후에 대신들을 살해하려고 한 사실을 자백한 후에 사형당했다. 그가 죽자 사람들이 모두 통쾌해했다고 한다. 그의 장녀와 [[태조(조선)|이성계]]의 장남인 [[진안대군|이방우]]가 결혼해서 [[이성계]]와는 사돈이다. 나중엔 차녀 [[성빈 지씨]]와 삼녀 [[숙의 지씨]]가 이성계의 차남 [[정종(조선)|정종]]의 [[겹사돈|후궁이 되었다.]] 이외에도 [[지득린]] 등 슬하에 2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이들 남매에 대한 이야기인 [[연못에 핀 목화 - 송경별곡]]에도 등장하며 자세한 것은 [[지윤(송경별곡)]] 참조 바람. == 평가에 대한 의문점 == 고려 말, 무관이자 정치가인 지윤은 무인 가문 출신이 아닌 사졸 출신으로 재상인 문하찬성사에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고려사』는 그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이다. 일단 그를 '간신'으로 분류했으며 출신에 관해서도 어머니는 무당, 사졸 출신으로 누차 종군하여 군공이 있다며 간략하게 부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우왕 때 최고권력을 누렸던 이인임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대정객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언급은 처음부터 끝까지 부정적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공민왕 때 신돈이 사형을 당하자 승경부 판사로 있던 지윤은 신돈의 재산을 모두 자신이 취하였다. 1. 판도사 판사로 있을 때, 강을성이란 자가 판도사에 금을 바치고 대금을 받기로 되어 있었는데 그 사이에 중죄에 걸려 사형당했다. 그러자 지윤은 강을성의 처를 자기 첩으로 삼고 금값으로 포목 1500필을 받아 챙겼다. 1. 신순이라는 재상이 사형 당하자 지윤은 아들 지익겸을 신순의 딸에게 장가들인 다음 몰수당했던 신순의 집과 가산을 되찾아 아들에게 주었다. 1. 지윤은 우왕의 유모 장씨와 간통했다. 1. 찬성사에 오른 지윤은 30명이나 되는 첩을 거느렸는데 오로지 부자만을 취했고 미색은 문제 삼지 않았다. 청백리는 아니더라도 이런 사항은 반역과는 거리가 먼 사안들이다. 그래도 반역조에 실리지 않고 간신조에 실린 것도 실은 역모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일 것이다. 굳이 『고려사』가 지윤을 간신으로 분류한 이유를 따지면 최종적으로 주목할 만한 게 이인임과 권력을 다투다가 패배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신하들끼리 권력투쟁을 하다가 패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그런데 왜 지윤은 조선 세종 때 편찬한 『고려사』 편찬자들로부터 이토록 가혹한 평가를 받은 것일까? 지윤의 사위이자 2대왕 정종에 대한 태종과 세종의 철저한 소독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진안군 [[이방우]]도 지윤의 딸을 아내로 맞았지만 이쪽은 그거말고 다른 이유에 걸려서[* 공양왕때 이성계측이 이색을 비롯한 반대파 탄핵에 자주 써먹던 명분이 역적 신창을 옹립했다는건데 창왕 즉위년 11월 강회백과 함께 명에 가서 창왕의 친조를 요청했다. 여기에 사위는 이색의 손자고, 며느리는 공양왕의 조카딸이며 어머니 신의왕후가 조선 개국전에 죽어버려 왕비 자리가 온전히 신덕왕후에게 돌아가기까지 하면서 장자 대우는 받는데 후계자는 못되는 상황에 빠져 소주를 마시다 죽는다.] '''[[공양왕]] 시기부터''' 밀려나 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드니 제외하고, [[성빈 지씨|지윤의 차녀]]와 [[숙의 지씨|삼녀]]와 혼인하면서 겹사돈을 맺은 [[정종(조선)|영안군 이방과]], 정종이 중요하다. 정종은 정안왕후와의 사이에선 왕자가 없었고 [[성빈 지씨]](지윤의 차녀)와의 사이에서 [[덕천군]]과 [[도평군]]을, [[숙의 지씨]](지윤의 삼녀)와의 사이에서는 [[의평군]], [[선성군]], [[임성군]] 등 세 명의 아들을 낳았다. 흔히 태종이 정종과 마냥 사이가 좋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 둘의 관계는 [[이원계]]-[[이성계]]와 비슷했다.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이 발생한 그 해에 사망한 이원계의 아들들을 거둬 챙겨주었고 겉으로는 무난한 형제였으나 실제론 형과의 후계자 경쟁 벌여 이겨서 이자춘의 뒤를 이었고 자기 정통성 강화를 위해 첫째 부인 태생인 형을 첩의 자식으로 조작했다. 정종과 정안왕후의 자식이 되어 왕위에 오른 태종은 등극 이후 태조의 아들로 돌아가기 위해, 자신을 실질적인 조선의 창업자로 강조하기 위해서 정종과 정안왕후 권위 깎는 행동을 꾸준히 진행했다. 이숙번이 정종 집앞으로 길내는걸 방치하고, 성비 원씨를 우대해 조선 첫 대비인 정안왕후의 지위를 흔들었으며, 사후에는 묘호도 올리지 않게 했다. 물론 이때 왕은 세종이지만 상왕 태종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순 없다. 아버지의 작업을 이어받은 세종은 용비어천가 등으로 태종 중심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작업을 지속했고 정종은 묘호도 못받고 공정왕으로 불리며 철저히 묻혔다. 그 와중에 정종의 처가이자 아들 다섯을 낳은 두 지씨의 아버지 지윤도 불똥을 맞아 이중 삼중으로 부정적 해석의 희생물이 되는 액운을 당해야 했던 것으로 보인다. == 가족 관계 == * 조부 : 지흡(池翕) * 조모 : 조씨(趙氏) * 백부 : 지덕로(池德老) * 백모 : [[광산 김씨]](光山 金氏) * 부 : 지덕명(池德溟) * 모 : 이름 미상, 무녀 * 정부인 : [[순흥 안씨]](順興 安氏) * 계부인 : [[원주 원씨]](原州 元氏) * 장자 : 지익겸(池益謙, ? ~ 1377년) * 자부 : [[영산 신씨]](靈山 辛氏) - 재상 신순의 딸 * 차남 : 지득린(池得鱗) * 장녀 : 삼한국대부인 지씨(三韓國大夫人 池氏) * 사위 : [[진안대군]](鎭安大君, 1354 ~ 1394) - [[태조(조선)|태조]]의 장남 * 외손자 : 봉녕군 안강공 이복근(奉寧君 安簡公 李福根, ? ~ 1421)[* 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봉녕 부원군(奉寧府院君)에 책봉되다.] * 외손녀 : 경혜옹주(敬惠翁主) * 외손서 : 지돈녕부사 [[한산 이씨|이숙묘]](知敦寧府事 李叔畝) * 차녀 : [[성빈 지씨]](誠嬪 池氏) * 사위 : [[정종(조선)|정종]](定宗, 1357 ~ 1419) - 충주지씨족보에는 차녀와 삼녀는 동일인(1인)으로 등재됨 * 외손자 :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 ~ 1465) * 외손자 : [[도평군]] 이말생(桃平君 李末生, 1402 ~ 1439) * 3녀 : [[숙의 지씨]](淑儀 池氏) * 사위 : [[정종(조선)|정종]](定宗, 1357 ~ 1419) * 외손자 : [[의평군]] 이원생(義平君 李元生) * 외손자 : [[선성군]] 이무생(宣城君 李茂生) * 외손자 : [[임성군]] 이호생(任城君 李好生) * 외손녀 : [[함양옹주]](咸陽翁主) * 첩부인 : 강을성의 처 등 약 30명 * 사촌 : 지환(池桓) * 종질 : 지용수(池龍壽) == 대중매체 == * [[정도전(드라마)]]에서는 [[방형주]]가 배역을 맡았는데 이인임의 심복으로 나온다. 그러나 1375년부터 1380년까지의 드라마의 모든 내용이 생략되면서 지윤이 숙청되는 과정 역시 [[홍산대첩]] 등과 함께 통으로 분량이 날아가면서 자연스럽게 하차했다. *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명예훼손 문제로 대부분의 이름이 바뀌어 나온 권문세족들과 마찬가지로 백윤으로 바뀌어 나온다. 배우는 [[김하균]]. 초반에 등장한 권문세가 삼두의 일원으로 다른 일원인 [[길태미]]와는 내부적으론 사사건건 대립하지만 전체적으로는 함께 권세를 누리는 입장이다. 그러다 장삼봉에게 무술을 배운 이방지의 습격을 받아 살해되고 그의 빈 자리는 [[홍인방]]이 채운다. * [[연못에 핀 목화 - 송경별곡]] - [[지윤(송경별곡)]] [[분류:고려의 관리]][[분류:고려의 재상]][[분류:충주 지씨]][[분류:137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