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14호 ||<|2> ← || '''115호''' ||<|2> → || 116호 || || [[지장사 아미타불도]] || '''지장사 극락구품도''' || [[지장사 감로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5호}}}]]''' || ||<-2> {{{#fff {{{+1 '''지장사 극락구품도'''}}}[br]{{{-1 地藏寺 極樂九品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호국지장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서울)|현충로]] 210[br]([[동작동]], 호국지장사) || || '''{{{#fff 분류}}}''' ||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 || '''{{{#fff 수량 / 면적}}}''' || 1幅 || || '''{{{#fff 지정연도}}}''' || [[1999년]] [[5월 19일]] || || '''{{{#fff 제작시기}}}''' || [[1893년]]([[고종(대한제국)|고종]] 30년)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호국지장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호국지장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지장사_극락구품도.jpg|width=100%]]}}} || || {{{#fff ''' 지장사 극락구품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2588024&ccbaKdcd=21&ccbaAsno=0115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립서울현충원]] 내에 있는 호국지장사에 있는 극락구품도이다. 극락구품도는 그림을 9파트로 나누어 [[극락]]세계를 그린 [[불화]]이다. 《[[관무량수경]]》에서 파생된 것으로, 중생들이 왕생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1999년 5월 19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5호로 지정받았다. == 상세 == 1893년([[고종(대한제국)|고종]] 30년)에 제작했다. 그림을 그린 스님은 원명 긍우(圓明 肯祐), 경은 계윤(慶隱 戒允)을 포함하여 총 6명이라 한다. [[비단]]에 그렸으며, 가로 길이는 170.8cm이고 세로 길이는 166.3cm이다. 그림 속 부처님은 [[아미타불]]이다. 그림 정 중앙 위에 있으며 다. 양손은 펴서 배 쪽으로 고스란히 모으고 있다. 머리 위에는 둥근 구슬이 있고[* 이를 정상계주라고 한다.], 머리와 육계[* [[상투]]같이 생긴 것인데, 상투와는 다르다. 상투는 머리카락만 올리는 것이고, 육계는 불교설화에 따르면 [[부처님]]의 정수리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형태가 된 것이기 때문이다.]의 경계선 부분에는 반달 모양의 중간계주가 그려져 있다. 통견가사[* 양쪽 어깨를 다 가리는 가사.]는 붉은 색이고 녹라의[* 가사 안에 입는 옷.]는 푸른 색인데 꽤 아래로 내려와있어 가슴이 넓게 드러나 있다. 통견가사와 녹라의 모두 옷 가장자리마다 검은 바탕에 금색 무늬를 한 띠가 둘러져있다. 그리고 아미타불 뒤에는 둥근 광배가 있는데, 몸 둘레에 하나가 있고 그 위에 머리 주변으로 하나 더 두른 것이 특징이다. 각 광배마다 푸른 색, 붉은 색, 금색 띠가 둘러져있으며, 광배 중 몸을 두른 부분의 안은 구불구불한 무늬 여러 개로 채워져 있다. [[아미타불]] 양 옆에는 [[부처님]]을 옆에서 가까이 모시는 협시보살을 배치해두었다. 왼쪽 보살은 관음보살이고, 오른쪽 보살은 대세지보살이다. 관음보살의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닿은 채 들고 있는 모습이고 왼손은 내린 채 [[금]]으로 만든 밥그릇을 든 형태이다. 대세지보살은 왼손에 [[경전]]을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아미타불과 보살들을 합쳐서 아미타삼존이라 하는데, 아미타삼존은 모두 [[연못]]에서 피어오른 [[연꽃]] 위에 앉아있다. 아미타삼존 양 옆에는 팔작지붕을 한 3층 짜리 [[기와|청기와]] 전각이 각각 1채 씩 있다. 오른쪽 건물에는 아미타삼존, 왼쪽 건물에는 아미타불과 8대 보살이 머물고 있다. 이들은 모두 고개를 중앙의 아미타삼존을 향했다. 전각 아래에는 [[천인#s-1|천상계의 거주자들]]이 있는데 개중 몇 명은 [[비파]]와 [[장고]] 등 [[악기]]를 들고 있다. 이는 [[음악]]이 흐르는 아름다운 [[극락]]세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요소이다. 비슷한 시기에 만든 [[불화]]처럼 붉은색, 초록색을 주로 사용했으나 다른 불화에 비해 색이 좀 탁한 편이다. 다만 푸른색은 꽤 짙다. 이는 조선 말기 불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장사 아미타불도, version=2)] [[분류:불화]][[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