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충청권 프로젝트)] ||<-6><:>{{{+2 '''지탄역'''}}} || ||<:><-2>[[서울역|{{{#!html
서울 방면}}}]][[옥천역|옥 천]][br]← 18.0 ㎞||<-2><:>[[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2>[[부산역|{{{#!html
부산 방면}}}]][[영동역|영 동]][br]15.2 ㎞ →|| ||<:><-2>[[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심천역|심 천]][br]← 4.4 ㎞||<-2><:>[[충북종단열차|{{{#!html
충북종단열차
무궁화호
}}}]]||<:><-2>[[영주역|{{{#!html
영주 방면}}}]][[이원역|이 원]][br]5.6 ㎞ →|| ||<-6><:>[include(틀:지도,장소=지탄역,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2>[[영어]]||<:><-4>Jitan|| ||<:><-2>[[한자]] ||<:><-4>池灘|| ||<:><-2>[[중국어]] ||<:><-4>池滩|| ||<:><-2>[[일본어]] ||<:><-4>チタン|| ||<-6><:><#c0c0c0>'''주소''' || ||<-6><:>[[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지탄1길 28[br](舊 지탄리 807)|| ||<:><-6>'''관리역 등급'''|| ||<:><-6>[[무배치간이역]][br]([[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대전충남본부)|| ||<-6><:><#c0c0c0>'''일반 철도'''|| ||<:><-3>[[경부선]] 개업일||<:><-3>1960년 5월 16일|| ||<:><-3>[[무궁화호]] 영업개시일||<:><-3>1984년 1월 1일|| ||<-6><:>'''열차거리표'''|| ||<:><-2>[[서울역|{{{#!html
서울 방면}}}]][[이원역|이 원]][br]← 5.6 ㎞||<:><-2>'''[[경부선]]'''[br]지 탄||<:><-2> [[부산역|{{{#!html
부산 방면}}}]][[심천역|심 천]][br]4.4 ㎞ →|| ||<-6><:>[[지탄역#s-2|{{{#ffffff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 {{{+1 池灘驛 / Jitan Station }}}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jitan.jpg|width=650]] [[경부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지탄1길 28 (舊 지탄리 807번지)에 위치해 있다. 2007년에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는 역이 되었으나, 지탄리 주민들이 단체로 서명 및 민원을 제기했다. [[옥천군]]청에서 역 운영 비용 제반을 지원하겠다는 협약을 [[코레일]]과 체결하여 2009년 5월 1일 부로 [[무궁화호]]를 다시 정차시켰다.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contents_id=AKR20090217118900064|참고기사]] 현재 상/하행 각 1회씩 정차. 본래 지탄역이 있는 지점의 선로는 하행선과 상행선이 상당히 멀리 떨어져 달리는 구간이었고 철교를 지나서 합류(서울방향)하는 구조였으나, [[경부고속선]] 부설 당시 상행선로가 방해가 되어 때려부수고(...) 하행 선로와 나란히 합쳐 달리도록 이설하고 교량도 새로 만들어 버렸다. 따라서 지금 있는 지탄역은 2002년경에 새로 만들어진 것이며, 역 이름만 그대로 갖다 썼을 뿐 완전히 새로 지은 역이라 보면 된다. 승강장은 2면 2선이며, 주의깊게 창 밖을 보지 않으면 이 역을 통과하는지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애당초 부본선이고 뭐고 갈라지는 선도 없이 그냥 지나치는 역. [[경부선]] 상행 기준으로 이 역을 통과하자마자 진행방향 오른쪽에 펼쳐지는 금강은 대도시만 골라가기 때문에 창 밖의 풍경이 그리 아름답다고는 할 수 없는 경부선 전 구간 중에서 가장 볼 만한 곳 중 하나. 2010년 하반기부터 이 역에 [[명예역장]]님이 근무하고 계시니 [[철도 동호인]]이라면 이 역에 가 보는 것도 괜찮을 듯. 그리고 이 역에서는 조금 떨어져 있고 고도차이가 있지만, [[경부고속선]] 선로가 나란히 놓여 있어서 [[KTX]] 열차가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본 [[돗토리]] 현의 [[제3섹터]] 로컬 철도 [[와카사 철도]]의 하야부사 역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는 역이기도 하다. 2012년 자매 결연을 맺은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지탄역과 교류해 오고 있는 하야부사 역은, 일본의 자동차 · 오토바이 제조 회사인 [[SUZUKI]]의 대표적인 생산 모델 [[GSX 1300R]] '하야부사'와 그 이름이 같은 데 연유하여 바이크 애호가들의 성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곳이다. 매년 이곳에서 바이크 애호가들의 축제가 벌어지며, 이때 지탄역 및 코레일 관계자도 종종 방문하기도... 여기는 완전히 무인역이기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차내에서 예매를 해야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어플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여객열차 운행계통 == ||||||||||||<#FFFFFF><:> {{{#000000 '''급행여객열차'''}}} || ||||||||||||<#f55839><:> [[무궁화호|{{{#FFFFFF '''경부선 무궁화호'''}}}]] || ||<:> [[서울역|{{{#gray 서울}}}]] {{{#gray 방면}}}[br][[옥천역|{{{#000000 옥 천}}}]] ||<:> {{{+1 ←}}}[br]18.0 km ||<:> {{{#000000 '''지 탄''' }}} ||<:> {{{+1 →}}}[br]15.2 km||<:>[[부산역|{{{#gray 부산}}}]] {{{#gray 방면}}}[br][[영동역|{{{#000000 영 동}}}]]|| ||||||||||||<#f55839><:> [[무궁화호|{{{#FFFFFF '''충북선 무궁화호'''}}}]] || ||<:> [[동대구역|{{{#gray 동대구}}}]] {{{#gray 방면}}}[br][[심천역|{{{#000000 심 천}}}]] ||<:> {{{+1 ←}}}[br]4.4 km ||<:> {{{#000000 '''지 탄''' }}} ||<:> {{{+1 →}}}[br]5.6 km||<:>[[영주역|{{{#gray 영주}}}]] {{{#gray 방면}}}[br][[이원역|{{{#000000 이 원}}}]]||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분류: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