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오지방의 던전)] [include(틀: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목차] == 개요 == || [[파일:2021-08-18_지하대동굴_일러스트.png|width=100%]] || ||<(> '''드넓은 지하 세계로 떠나자! 「지하대동굴」에서 모험을 즐기자!''' 이번 작품에서는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의 「[[지하통로]]」가 파워업하여 「지하대동굴」로 등장합니다. 「지하대동굴」은 미로 같이 구불구불한 [[신오지방]] 전역에 펼쳐져 있는 지하 세계입니다. 모험 도중에 받을 수 있는 「탐험세트」를 사용하면, 귀중한 도구나 포켓몬 화석을 발굴하거나 나만의 비밀기지를 만들 수 있으며, 포켓몬 은신처라 불리는 장소에서는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포켓몬을 만날 수 있습니다. 또한, [[Nintendo Switch]]의 로컬 통신이나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면 다른 트레이너와 함께 「지하대동굴」을 모험할 수도 있으니, 친구들과 함께 드넓은 지하세계 모험을 즐겨 보시기 바랍니다. ---- ▶공식 홈페이지의 지하대동굴 설명 페이지 || ||<-3><:><#99ffcc,#3d6651> '''BGM''' || ||<-3><:>{{{#!HTML}}}|| ||<|2> '''지하대동굴[br]{{{-2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작곡가 || 편곡가 || || [[이치노세 고]] || [[카게야마 쇼타]]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원작]]의 [[지하통로]]를 업그레이드한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의 신규 컨텐츠. 전체 지도는 [[https://gamerguides.com/pokemon-brilliant-diamond-and-shining-pearl/maps/grand-underground|여기(영문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NPC 종류별 위치, 도구 위치, 공동 위치 등을 표시하거나 생략하기도 가능하다. 공동을 선택하고 wild pokemon을 누르면 등장하는 야생포켓몬의 목록도 볼 수 있다. == [[지하통로]]와의 변경점 == * 지하대동굴에 진입할 때 혼자 들어갈지, 로컬 통신을 할 지, 인터넷 통신을 할 지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 지도가 바뀌었지만 전체적인 구조는 지하통로의 것과 비슷하다. * 구슬의 크기가 소형/대형 2가지로 간소화되었다. 이에 따라 구슬을 땅에 묻어 크기를 키우는 시스템이 사라졌으며, 특정 크기 이상의 구슬을 요구하던 NPC와의 거래는 특정 구슬의 갯수를 요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구슬 거래 NPC들이 기술머신도 판매한다. * 다른 플레이어와의 대화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화강돌]]의 포획 조건이 '다른 플레이어와 32번 대화'에서 '지하대동굴에 존재하는 32명의 NPC와 모두 대화'로 바뀌었다. * 아지트의 장식품들은 포켓몬 석상과 그 석상을 받치는 대좌로 통일되었다. 석상은 채굴을 하다 가끔 나오는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 아지트는 다른 플레이어의 깃발을 뺏어 점수를 채우는 시스템이 사라지고 석상을 배치해 특정 타입의 포켓몬 출현률을 올리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 경쟁 시스템이 삭제됨에 따라 방해 요소인 트랩이 삭제되었다. * 포켓몬 은신처가 추가되었다. == 포켓몬 은신처 == || [[파일:신오지방 지하세계 지도.png|width=100%]] || ||<(> '''포켓몬 은신처로 가 보자!''' 포켓몬 은신처에는 지저호나 화산 지대 등,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며, 각각에 모이는 포켓몬도 다릅니다. 개중에는 신오지방에 서식하면서, 포켓몬 은신처에서만 모이는 포켓몬도 있다고 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의 지하대동굴 설명 페이지 || 이곳에서 포켓몬들은 심볼 인카운터로 출연한다. BDSP의 [[신오지방]]이 원작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의 야생 분포를 따라가는 대신, 원작의 문제점인 불꽃 타입 불균형성과 신오도감 포켓몬만 등장한다는 점을 포켓몬 은신처로 개선했다.[* Pt 기반 신오도감에 포함되는 포켓몬을 이곳에서 잡을 수 있다.]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의 [[와일드에리어]]와 동일하게 [[색이 다른 포켓몬]] 여부는 필드에서 확인되지 않으며, 한 번 부딪혀서 배틀에 돌입해야 확인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더블슬롯으로 출현한 포켓몬들을 이쪽으로 옮긴 게 많으며, 발매 전 유출에서 DP는 물론이고 Pt 버전의 신오도감에도 없던 [[깜지곰]], [[뽀뽀라]], [[쁘사이저]]가 '''전당등록 이전'''에 출몰하는 게 확정되었다.[* 참고로 깜지곰은 에메랄드 더블슬롯으로 [[211번도로]], [[예지호수 근처]](DP)/[[예지호수]](Pt)에서 출현했었고, 뽀뽀라는 Pt 한정으로 [[선단신전]]에서 출현했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ttK1EPd7gKltKcW_W7EAG-tfFGj8PXVH7rtSXXJy5is/edit|출현 스프레드 시트]] 등장하는 포켓몬의 레벨은 현재 소유한 배지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https://www.reddit.com/r/PokeLeaks/comments/qs823j/regular_underground_encounter_preliminary/|#]] 일반적인 필드에서 볼 수 있는 포켓몬보다 레벨이 높기 때문에 레벨 업 노가다가 수월해졌다. || '''배지 수''' || '''최저 레벨 - 최대 레벨''' || || 1 || 16 - 20 || || 2 || 25 - 29 || || 3 || 29 - 33 || || 4 || 33 - 37 || || 5 || 36 - 40 || || 6 || 39 - 43 || || 7 || 42 - 46 || || 8 || 50 - 55 || || 전당등록 후 || 58 - 63 || 이곳에서 등장하는 포켓몬들은 공통적으로 첫번째 기술 슬롯에 통상적으로 습득할 수 없는 교배기를 배우고 있다.[* 물론 메탕이나 코일처럼 애초에 교배기가 존재할 수 없는 포켓몬은 교배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표적으로 [[누오]]가 [[꿀꺽]]을 배우고 있는가 하면 [[냉동펀치]]를 배운 [[포푸니]]나 [[에레브(포켓몬스터)|에레키드]]가 나오기도 하고 심지어 '''[[역린(포켓몬스터)|역린]]을 배운 [[딥상어동]]'''이 출현하기도 한다. 이는 기술 가르침이나 기술레코드가 사라진 본작에서 교배 없이 이러한 기술을 가진 포켓몬을 입수하는 유일한 방법이므로 원하는 교배기를 배운 포켓몬을 골라 포획하는 것이 좋다. 특이점으로 8세대부터 100%로 상향된 특성 '싱크로'가 동굴에 들어가는 순간 적용된다. 보통 포켓몬 성격작을 할 경우 싱크로 특성의 포켓몬을 맨 앞에 두고 포켓몬을 조우 후 포획 포켓몬을 교체하는 식으로 진행하지만, 지하대동굴에서는 포켓몬 은신처에 입장하는 순간 싱크로가 적용되므로 싱크로 특성의 포켓몬을 선두에 놓고 동굴 진입 후 다시 포획 포켓몬을 선두에 두어 배틀하면 된다. 일일이 자리를 바꿀 필요가 없어졌다. === 공동 목록 === [[더미 데이터]]는 제외한다. * 넓은 공동 * 초원 공동 * 지하수맥 공동 * 암석 공동 * 마그마 공동 * 습지초원 공동 * 빛나는 공동 * 눈보라 공동 * 고드름 공동 * 강가 공동 * 열사 공동 * 물거울 대공동 * 양달 대공동 * 낭떠러지 대공동 * 별빛 대공동 * 빙하 대공동 * 끝없는 늪 대공동 * 블레이범 대공동 === 출현 포켓몬 === 신오도감 완성 전에는 코일, 헬가, 내루미, 꾸꾸리 등 신오도감에 등록되지 않은 포켓몬이 출현한다. 이후 신오도감을 완성하고 전국도감을 입수하면 지하대동굴에서 관동, 성도, 호연지방의 포켓몬들이 출현한다.[* 포켓몬HOME이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레전드 아르세우스와의 연동이 가능해진 이후 1회차 엔딩 전에 신오도감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1회차 이전에 타 지방의 포켓몬을 잡는 것이 가능해졌다.] 지하대동굴의 존재로 인해 브다샤펄 두 소프트만으로 전국도감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사실상 해당 시리즈만으로 전국도감 완성이 가능한 유일한 소프트가 되었다.[* 6세대의 경우 XY/ORAS 양쪽이 필요하다.] 낮은 확률로 '''[[스타팅 포켓몬/신오지방|신오지방의 스타팅 포켓몬]]인 [[모부기]], [[불꽃숭이]], [[팽도리]]가 야생 출현''' 한다. == 화석 채굴 == ||<(> '''「화석 채굴」로 보물을 발견하자!''' 「지하대동굴」의 일부 벽은 피켈과 해머로 파낼 수 있습니다. 계속 파다 보면 모험에 유용한 도구나 귀중한 포켓몬 화석은 물론, 이번 작품에서는 새로 「포켓몬석상」 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발굴한 도구는 신오지방을 모험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포켓몬 화석은 복원하면 동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포켓몬석상」은 컬렉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벽을 팔 수 있는 횟수는 정해져 있으며 너무 많이 파내면 벽이 무너져 버리니 신중하게 보물이 있는 위치를 확인하며 많은 보물을 발굴해 보시기 바랍니다. ---- ▶공식 홈페이지의 지하대동굴 설명 페이지 || 지하대동굴의 채굴 포인트 벽에서 A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채굴 포인트는 미니맵에서 반짝이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채굴 포인트 근처에서 R버튼을 누르면 정확한 위치를 탐지해낼 수 있다. 아이템은 2개에서 4개까지 캘 수 있다. 신오도감을 완성하고 전국도감을 입수한 뒤에는 채굴 포인트에서 '수수께끼의 조각L', '수수께끼의 조각S'가 일정 확률로 등장한다. 이것을 [[해당화파크]]에서 석판과 교환하여[* L은 1개, S는 3개로 석판과 교환 가능.] 전설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다. 지하대동굴을 돌아다니면 디그다랑 닥트리오가 나오는 자리를 지나면 카운트가 되는데 카운트가 40이 채워진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화석채굴을 하면 호화로운 빛상자를 캘 수 있으며, 포켓몬 은신처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의 등장 확률이 2배가 된다. 이 카운트는 멀티플레이에서는 같이 접속 중인 모든 플레이어가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으로 플레이하면 보다 빠르게 쌓아올릴 수 있다. 화석의 경우, 창기둥의 디아루가 / 펄기아 이벤트를 보기 전에는 버전별로 두개의화석 / 방패의화석의 한 종류만 나온다. 그 이후에는 3세대까지의 모든 화석을 낮은 확률로 채굴할 수 있다. == 비밀기지 == ||<(> '''「포켓몬석상」을 장식해서 나만의 「비밀기지」를 만들자!''' 「지하대동굴」에서 「구멍파기드릴」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벽 속에 「비밀기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비밀기지」에는 화석 채굴로 발견할 수 있는 「포켓몬석상」을 자유롭게 장식할 수 있으며, 자기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석상」을 「비밀기지」에 장식하면 포켓몬 은신처에 모이는 포켓몬이 변화한다고 합니다. 또한, 「포켓몬석상」 중에는 일반적인 석상과 다른 소재로 만든 희귀한 석상도 있다고 하니 열심히 화석 채굴을 해서 석상을 모아 보시기 바랍니다. ---- ▶공식 홈페이지의 지하대동굴 설명 페이지 || 위의 화석 채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포켓몬 석상을 여기에 배치할 수 있다. 포켓몬 석상은 배치된 양에 비례해 은신처에서 그 포켓몬이 해당하는 타입의 포켓몬 출현율을 증가시킨다. 한 번에 적용되는 타입 부스트는 가장 배치율이 높은 한 타입 뿐이므로, 잡고자 하는 타입을 통일해서 배치해두는 것이 효율이 좋다. 빛나는 포켓몬 석상의 경우는 통상에 비해 출현율 증가량이 2배다. 멀티플레이의 경우 다른 플레이어의 비밀기지로 인한 타입 부스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비밀기지는 지하대동굴 안에 몇 군데 존재하는 NPC에게 가서 총 두 번에 걸쳐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데, 첫 번째에는 일정량의 모든 S타입 구슬을, 두 번째에서는 모든 L타입 구슬을 필요로 한다. == 기타 == * 유저들 사이에서 [[아오지 탄광]]으로 불리는데, [[해당화파크]]에서 전설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석판과 교환할 수 있는 수수께끼의 조각이 여기서만 나오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등장 확률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운이 나쁘면 하루종일 탄광에 처박혀있어야 한다. * 기술머신이 1회성으로 바뀐 본작에서 가장 본격적으로 기술머신을 모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진, 오물폭탄, 에너지볼, 악의파동, 스톤샤워 등 장막시티의 백화점에서 구매할 수 없는 고가치 기술머신들은 배틀타워에서 BP로 구매하는게 아니면 지하대동굴의 상인에게서 구슬과 교환함으로서 여러개를 얻을 수 있다. 큰 구슬과 작은 구슬로 바꿀 수 있는 기술머신 종류는 다르며, NPC들이 판매하는 기술머신의 종류와 가격은 매일 변하기 때문에 매일매일 체크해주는 것이 좋다. 만약 구슬이 부족할 경우에는 기지 확장 NPC에게 발굴한 보물을 팔아 구슬로 환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 확대/축소 및 범례 표시가 가능한 지도(영문) : [[https://gamerguides.com/pokemon-brilliant-diamond-and-shining-pearl/maps/grand-underground]] * 참고 : [[https://bulbapedia.bulbagarden.net/wiki/Grand_Underground|불바피디아 지하대동굴 항목]],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pokemon&no=9373452|일본쪽 자료 번역정리글]] [[분류:포켓몬스터/지역/신오지방]][[분류:포켓몬스터/서브 콘텐츠]]